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780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영국의 캐노니컬(Canonical)에서 개발하는 우분투(Ubuntu) 18.04 LTS Bionic Beaver와16.04 LTS Xenial Xerus, 그리고 14.04 LTS Trusty Tahr 리눅스 커널의 새로운 기능 추가나 버그 수정 또는 보안 취약점 문제를 해결한 GA 커널 4.15.0-24 버전, HWE 커널 4.15.0-24 버전, GA 커널 4.4.0-130 버전, HWE 커널 4.4.0-130 버전, GA 커널 3.13.0-153 버전이 업데이트를 통해 배포되었습니다.


*LTS : Long Term Support - 5년 간의 장기 지원
*HWE : Hardware Enablement - 하드웨어 지원 강화를 위한 커널로, 6개월마다 4번에 걸쳐 판올림하면서 지원
*GA : General Availability - 출시 당시의 커널로, 5년 간 판올림 없이 지원

--


USN-3695-1: Linux kernel vulnerabilities

Ubuntu 18.04 LTS - Several security issues were fixed in the Linux kernel.


Wen Xu discovered that the ext4 file system implementation in the Linux kernel did not properly initialize the crc32c checksum driver. A local attacker could use this to cause a denial of service (system crash). (CVE-2018-1094)


It was discovered that the cdrom driver in the Linux kernel contained an incorrect bounds check. A local attacker could use this to expose sensitive information (kernel memory). (CVE-2018-10940)


Wen Xu discovered that the ext4 file system implementation in the Linux kernel did not properly validate xattr sizes. A local attacker could use this to cause a denial of service (system crash). (CVE-2018-1095)


Jann Horn discovered that the 32 bit adjtimex() syscall implementation for 64 bit Linux kernels did not properly initialize memory returned to user space in some situations. A local attacker could use this to expose sensitive information (kernel memory). (CVE-2018-11508)


It was discovered that an information leak vulnerability existed in the floppy driver in the Linux kernel. A local attacker could use this to expose sensitive information (kernel memory). (CVE-2018-7755)


그 외 자세한 업데이트 내역은 아래 링크의 Changelog 정보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


<주의>


우분투 18.04 LTS와 그에 기반한 리눅스민트 19의 커널 4.15.0-24에서 부팅 지연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다음과 같이 짧게는 4~5분, 길게는 75분 등에 걸쳐 부팅이 지연되는 문제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업데이트 이후 해당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이전 커널인 4.15.0-23을 임시로 사용하기 바랍니다.


Newer 4.15 kernels contain the following fix for CVE-2018-1108: 43838a23a05fb ("random: fix crng_ready() test")

This causes cloud-init to stall for a potentially long time during boot (waiting for entropy I presume). Google reported boot delays of 75 minutes.


CVE-2018-1108 취약점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현재 추정되며, 몇 시간 전에 아래와 같이 새로운 커널 4.15.0-26이 제안되었습니다. 테스트가 마무리되면 배포될 것으로 보입니다.


linux (4.15.0-26.28) bionic; urgency=medium

  * linux: 4.15.0-26.28 -proposed tracker (LP: #1780112)

  * failure to boot with linux-image-4.15.0-24-generic (LP: #1779827) //

    Cloud-init causes potentially huge boot delays with 4.15 kernels (LP: #1780062)

    - random: Make getrandom() ready earlier


--

[영향을 받는 리눅스 커널 및 업데이트 버전]

■ 우분투 18.04 LTS Bionic Beaver // 리눅스민트 19.x

※ GA 커널 4.15 → GA 커널 4.15.0-24 버전으로 업데이트
https://usn.ubuntu.com/3695-1/


※ 2023년 4월 지원 종료 예정


--


■ 우분투 16.04 LTS Xenial Xerus // 리눅스민트 18.x

※ HWE 커널 4.15 → HWE 커널 4.15.0-24 버전으로 업데이트
https://usn.ubuntu.com/3695-2/

※ GA 커널 4.4 → GA 커널 4.4.0-130 버전으로 업데이트
https://usn.ubuntu.com/3696-1/

※ 2021년 4월 지원 종료 예정

--

■ 우분투 14.04 LTS Trusty Tahr // 리눅스민트 17.x // 하모니카 2.1 Rosa

※ HWE 커널 4.4 → HWE 커널 4.4.0-130 버전으로 업데이트

https://usn.ubuntu.com/3696-2/

※ GA 커널 3.13 → GA 커널 3.13.0-153 버전으로 업데이트
https://usn.ubuntu.com/3698-1/

※ 2019년 4월 지원 종료 예정

--

■ 우분투 12.04 LTS Precise Pangolin // 리눅스민트 13 Maya

※ 2017년 4월 28일 지원 종료

--

그러므로 우분투 LTS 사용자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기 바랍니다.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dist-upgrade && sudo apt-get autoremove --purge && sudo apt-get autoclean

그리고 리눅스민트 및 하모니카 사용자는 '업데이트 매니저 → 메뉴 중 보기(V) → 리눅스 커널' 메뉴를 실행하여 해당하는 커널 내에서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기 바랍니다.


또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기 바랍니다.

sudo apt-get update && sudo mintupdate-cli upgrade -r


아울러 업데이트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마지막에 반드시 재부팅을 하기 바랍니다.

--

배포판의 종류와 사용 중인 커널 버전을 알기 위해서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기 바랍니다.
lsb_release -a && uname -a

--

리눅스민트 19는 우분투 18.04 LTS Bionic Beaver를 변형한 배포판입니다.
리눅스민트 18, 18.1, 18.2, 18.3은 우분투 16.04 LTS Xenial Xerus를 변형한 배포판입니다.
리눅스민트 17, 17.1, 17.2, 17.3은 우분투 14.04 LTS Trusty Tahr를 변형한 배포판입니다.
리눅스민트 13 Maya는 우분투 12.04 LTS Precise Pangolin을 변형한 배포판입니다.
하모니카(HamoniKR) 커뮤니티 배포판 MoorDev 1.0은 리눅스민트 18.3 Sylvia를 변형한 배포판입니다.
하모니카(HamoniKR) 2.1 Rosa는 리눅스민트 17.3 Rosa를 변형한 배포판입니다.



::: 본 문서의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



출처: http://la-nube.tistory.com/439 [la Nube | 라 누베]

  • ?
    la_Nube(누베) 2018.07.06 12:18

    역시 새로운 우분투는 xx.04.1이 나올때쯤(출시 이후 3~4개월 뒤) 써야 할 것 같습니다.

    우분투 18.04의 출시 이후 2번째 커널 업데이트만에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군요;;;

  • profile
    행복한펭귄 2018.07.06 13:04

    아하! 머든지 바로 나오면 100% 완벽한 것이 없는 듯합니다.

    개선 과정이 지나간 후 정착이 되면 일반인들은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리눅스에 익숙하신 분은 그냥 사용해도 무난할 줄 압니다.

    이런 문제 정도는 자신의 스타일에 맞게 적절하게 적용해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니 말입니다.

    여하튼 빠르고 정확하게 개선해 나가고 정착되고 배포되고 완전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져서 잘 사용되길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3011
2361 하모니카내 소프트웨어 매니저 1 0 빅파이프 2023.12.01 455
2360 윈도우에 설치된 exe 파일을 wine 프로그램로더로 실행합니다. 바탕화면 아이콘으로 어떻게 만들수있나요? 5 0 Japser 2023.11.29 608
2359 하모니카 7에 바끼니 사용하기 쉽네요 그러나 1 0 예안이 2023.11.27 587
2358 안녕하세요. 금강을 설치했습니다. 2 0 신상 2023.11.27 507
2357 블루투스 마우스 연결 안됨/이어폰 프로파일 문제 1 file 0 killsystem10 2023.11.25 422
2356 hypnotix 무한로딩 해결법 아시나요..? 1 file 0 UHNLM 2023.11.25 393
2355 "/timeshift/snapshot 용량을 줄이거나 옮기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1 0 SilverBullet 2023.11.25 444
2354 다음 패키지의 의존성이 맞지 않습니다 1 0 지속가능한 2023.11.25 411
2353 라즈베리파이에 하모니카OS 설치 0 지속가능한 2023.11.24 482
2352 윈도우용 오피스 프로그램 와인 설치방법 문의 2 0 Japser 2023.11.24 572
2351 wine 으로 잘못설치된 파일중 아이콘이 계속 남아있어요 1 0 Japser 2023.11.24 475
2350 하모니카에서 윈도우용 스팀이나 스토브 오리진 등 설치는 어덯게 할까요 0 Japser 2023.11.23 418
2349 crontab 설명 부탁드립니다. 1 0 %%%% 2023.11.21 435
2348 하모니카 설치 후 사라짐 3 0 해연 2023.11.20 573
2347 하모니카 7.0 출시를 다시 한번 축하드리며... 1 0 KongS 2023.11.18 513
2346 기본입력기 nimf 문제 5 file 0 killsystem10 2023.11.18 781
2345 하모니카 7.0 설치가 안됩니다. 2 0 bellumin 2023.11.18 654
2344 터치 스크린이 되는 노트북에서 쓸만한 리눅스용 노트앱이 있을까요? 1 0 Japser 2023.11.17 410
2343 하모니카 + 윈도우10 멀티부팅으로 잘쓰다가, 하모니카가 사라졌어요 그냥 윈도우로 부팅해요 1 0 clony 2023.11.16 465
2342 하모니카 7.0 출시를 축하드리며..저는 약속대로.. 0 KongS 2023.11.17 37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