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719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LTS : Long Term Support - 5년 간의 장기 지원

 *HWE : Hardware Enablement - 하드웨어 지원 강화를 위한 커널로, 6개월마다 4번에 걸쳐 판올림하면서 지원

 *GA : General Availability - 출시 당시의 커널로, 5년 간 판올림 없이 지원



<우분투 18.04 LTS>


우분투 18.04 LTS가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지도 어언 3개월이 다 되어 갑니다.

그 동안 우분투 18.04 LTS는 3번의 추가적인 커널 업데이트를 발표했으며,

그 3번 만에 부팅 지연 75분이라는 안타까운 기록도 세우고 있습니다.


 * Newer 4.15 kernels contain the following fix for CVE-2018-1108: 43838a23a05fb ("random: fix crng_ready() test") This causes cloud-init to stall for a potentially long time during boot (waiting for entropy I presume). Google reported boot delays of 75 minutes.


우분투 18.04 LTS의 첫 번째 포인트 릴리즈인 18.04.1의 출시는 2018년 7월 26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 ubuntu-18.04.1 : Expected 2018-07-26



<우분투 17.10>


한편, 작년 10월에 나왔던 우분투 17.10의 수명도 이제 거의 끝나가고 있습니다.

즉, 2018년 7월 19일에 우분투 17.10은 그 수명을 다하게 됩니다.

우분투 17.10의 사망 선고(?)가 다가오고 있다는 것은 커널 4.13의 수명도 끝난다는 이야기입니다.


 * Artful Aardvark (17.10) will officially be end of life as of July 19, 2018.



<우분투 16.04 LTS>


현재 우분투 17.10의 커널 4.13은 우분투 16.04 LTS에서 HWE 커널로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우분투 16.04 LTS의 3번째 HWE 커널인 커널 4.13은 2018년 7월 2일을 끝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7월 2일에 우분투 18.04 LTS의 GA 커널인 커널 4.15가 우분투 16.04 LTS의 4번째이자 마지막 HWE 커널로서 업데이트되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분투 16.04 LTS와 리눅스민트 18.x 사용자 중에서 커널 4.4를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들은 모두 커널 4.15.0-24 또는 그 이후 버전으로 업데이트해야 2021년 4월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linux-hwe (4.15.0-24.26~16.04.1) xenial : Published on 2018-07-02


아울러 우분투 16.04 LTS의 마지막 포인트 릴리즈인 16.04.5는 2018년 8월 2일에 출시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커널은 4.15이며, 우분투 16.04 LTS의 수명이 다하는 2021년 4월까지 지원을 받게 됩니다.


 * ubuntu-16.04.5 : Fifth 16.04 point release, with 18.04 kernel, Expected 2018-08-02



::: 본 문서의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



출처: http://la-nube.tistory.com/445 [la Nube | 라 누베]
  • profile
    행복한펭귄 2018.07.09 14:36

    우분투 18.04.1 버전을 통해서 알려진 문제들이 제대로 해결되길 바라겠습니다.

    특별히 부팅시 문제는 심각하네요. ㅋㅋ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3011
1061 리눅스 민트 설치 시 멈춤 현상 6 file 0 jissi 2017.12.28 1642
1060 리눅스 민트 사용시 화면 멈춤및 하드에서 소리가나는 현상.. 1 0 크루미나 2015.02.07 12036
1059 리눅스 민트 로드맵 확인하기 (18.2 개발 현황 파악 가능) 0 행복한펭귄 2017.02.06 6823
1058 리눅스 민트 기반 최신 배포판 안내 1 file 0 행복한펭귄 2017.05.02 7389
1057 리눅스 민트 급 멈춤 3 0 SinyW 2016.10.06 6630
1056 리눅스 민트 KDE판을 없앤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2 0 행복한펭귄 2017.10.26 2664
1055 리눅스 민트 19용 시나몬에서 더 빠른 응용 프로그램 시작 가능 2 file 0 행복한펭귄 2018.03.17 1364
1054 리눅스 민트 19 타라 설치 후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10가지 팁 0 행복한펭귄 2018.06.10 2787
1053 리눅스 민트 18.X 리뷰 기사 모음 2 0 행복한펭귄 2017.06.09 5789
1052 리눅스 민트 18.3을 리눅스 민트 19로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10 0 행복한펭귄 2018.07.05 1436
1051 리눅스 민트 18.3 실비아 베타 버전 공개 5 file 0 행복한펭귄 2017.11.14 2453
1050 리눅스 민트 18.3 실비아 KDE, Xfce 베타 버전 발표 14 file 0 행복한펭귄 2017.12.02 2223
1049 리눅스 민트 18.3 실비아 KDE, Xfce 공식 릴리즈 소식 4 file 0 행복한펭귄 2017.12.17 982
1048 리눅스 민트 18.3 개선된 백업도구, 창 진행 등 작업 시작 file 0 행복한펭귄 2017.09.08 4126
1047 리눅스 민트 18.2 소냐 베타 버전 지금 다운로드 받아볼 수 있습니다 file 0 행복한펭귄 2017.06.07 5460
1046 리눅스 민트 18.2 뉴스... 2 0 행복한펭귄 2017.04.04 6723
1045 리눅스 민트 18.1 세리나 버전 한글 관련 정보 6 file 0 행복한펭귄 2017.01.10 6488
1044 리눅스 민트 18.1 11 0 string 2016.12.17 8053
1043 리눅스 민트 18 파이널 (테스팅 아님) 7 0 string 2016.06.29 7110
1042 리눅스 민트 1 0 ศรีНью-ЙоркX 2016.11.28 5881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