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5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원

           https://www.krcert.or.kr/data/secNoticeView.do?bulletin_writing_sequence=27524


□ 개요
 o 리눅스 커널에서 조작된 패킷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서비스거부 취약점 발생 [1]
 o 공격자는 해당 취약점을 이용하여 서비스거부 등의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 설명
 o 수신되는 모든 패킷이 특정 함수를 강제로 호출하여 CPU과부하를 발생시키는 서비스 거부 취약점 (CVE-2018-5390) [1]
 o 수신된 데이터를 재조립할 때, CPU 과부하를 발생하는 서비스거부 취약점(CVE-2018-5391) [2]
 o 수신된 데이터를 재조립할 때, 비효율적인 알고리즘 사용으로 인해 CPU 및 네트워크 과부하로 발생하는 서비스거부 취약점(CVE-2018-6922) [1]
 
□ 영향을 받는 시스템
 o CVE-2018-5390
  - 리눅스 커널 4.9를 포함한 이후 버전을 사용하는 시스템
 o CVE-2018-5391
  - 리눅스 커널 3.9를 포함한 이후 버전을 사용하는 시스템
 o CVE-2018-6922
  - 11.2-RELEASE-p1, 11.1-RELEASE-p12 및 10.4-RELEASE-p10 이전의 모든 FreeBSD 버전
 
□ 해결 방안
 o 해당 취약점에 해당되는 커널 버전 사용자는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수행
 o 보안 업데이트가 공개된 운영체제를 운영하고 있을 경우, 참고 사이트의 내용을 참조하여 보안조치 또는 최신 업데이트 수행
  - Debian [3]
  - Ubuntu [4]
  - Red Hat/CentOS [5]
  - SUSE/openSUSE [6]
  - FreeBSD [7]
 
□ 기타 문의사항
 o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 국번없이 118
 
[참고사이트]
[1] https://www.kb.cert.org/vuls/id/962459
[2] https://www.kb.cert.org/vuls/id/641765
[3] https://www.debian.org/security/
[4] https://usn.ubuntu.com/
[5] https://access.redhat.com/articles/3553061
[6] https://download.suse.com/patch/finder/
[7] https://www.freebsd.org/security/advisories/FreeBSD-SA-18:08.tcp.asc


--


출처: http://la-nube.tistory.com/466 [la Nube | 라 누베]


리눅스 커널 서비스 거부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 한국인터넷진흥원 : https://www.krcert.or.kr/data/secNoticeView.do?bulletin_writing_sequence=27524


1. 수신되는 모든 패킷이 특정 함수를 강제로 호출하여 CPU과부하를 발생시키는 서비스 거부 취약점 (CVE-2018-5390)


2. 수신된 데이터를 재조립할 때, CPU 과부하를 발생하는 서비스 거부 취약점 (CVE-2018-5391)


3. 수신된 데이터를 재조립할 때, 비효율적인 알고리즘 사용으로 인해 CPU 및 네트워크 과부하로 발생하는 서비스 거부 취약점 (CVE-2018-6922)


--


데비안 9 Stretch (Stable) // LMDE 3 Cindy


CVE-2018-5390

 - linux 4.9.110-3+deb9u3 에서 패치 완료 (fixed)


CVE-2018-5391

 - linux 4.9.110-3+deb9u3 에서 패치 완료 (fixed)


CVE-2018-6922

 - kfreebsd-10 10.3~svn300087-3 은 취약하나, 아직 패치가 없음 (vulnerable)



데비안 8 Jessie (OldStable) // LMDE 2 Betsy


CVE-2018-5390

 - linux 3.16.57-2 는 취약하지 않음 (fixed)


CVE-2018-5391

 - linux 3.16.57-2 는 취약하나, 아직 패치가 없음 (vulnerable)


CVE-2018-6922

 - kfreebsd-10 10.1~svn274115-4 는 취약하나, 아직 패치가 없음 (vulnerable)



우분투 18.04 LTS // 리눅스민트 19.x


CVE-2018-5390

 - linux 4.15.0-30.32 에서 패치 완료 (released)


CVE-2018-5391

 - linux 4.15.0-32.35 에서 패치 완료 (released)


CVE-2018-6922

 - Untriaged : Does not apply to software found in Ubuntu. (FreeBSD)



우분투 16.04 LTS // 리눅스민트 18.x


CVE-2018-5390

 - linux 4.4.0-133.159 에서 패치 완료 (released)

 - linux-hwe 4.15.0-30.32~16.04.1 에서 패치 완료 (released)


CVE-2018-5391

 - linux 4.4.0-133.159 에서 패치 완료 (released)

 - linux-hwe 4.15.0-32.35~16.04.1 에서 패치 완료 (released)


CVE-2018-6922

 - Untriaged : Does not apply to software found in Ubuntu. (FreeBSD)



우분투 14.04 LTS // 리눅스민트 17.x // 하모니카 2.1


CVE-2018-5390

 - linux 3.13.0-155.205 에서 패치 완료 (released)

 - linux-lts-xenial 4.4.0-133.159~14.04.1 에서 패치 완료 (released)


CVE-2018-5391

 - linux 3.13.0-155.205 에서 패치 완료 (released)

 - linux-lts-xenial 4.4.0-133.159~14.04.1 에서 패치 완료 (released)


CVE-2018-6922

 - Untriaged : Does not apply to software found in Ubuntu. (FreeBSD)



2018년 8월 21일 20시 현재, 각 커널의 최신 버전


데비안 9 Stretch (Stable) // LMDE 3 Cindy

 - 커널 4.9.110-3+deb9u2 버전


데비안 8 Jessie (OldStable) // LMDE 2 Betsy

 - 커널 3.16.57-2 버전


우분투 18.04 LTS // 리눅스민트 19.x

 - GA 커널 4.15.0-32 버전


우분투 16.04 LTS // 리눅스민트 18.x

 - HWE 커널 4.15.0-32 버전

 - GA 커널 4.4.0-133 버전


우분투 14.04 LTS // 리눅스민트 17.x // 하모니카 2.1

 - HWE 커널 4.4.0-133 버전

 - GA 커널 3.13.0-155 버전



::: 본 문서의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



출처: http://la-nube.tistory.com/466 [la Nube | 라 누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3010
1861 넷플릭스 질문 2 0 미르나래하늘 2021.01.10 1174
1860 하모니카4.0_kodi 로 넷플릭스 볼려고 합니다. 초딩도 알 수 있게 알려주세요. 4 0 친절한우주인 2021.01.08 1126
1859 윈도우10에서 자체구동 가능한 하모니카USB를 만들 수 없을까요? 4 0 롯시 2021.01.06 910
1858 한글명 파일 다운로드시 글꼴 깨짐 현상 4 file 0 봉팔봉팔 2021.01.02 1128
1857 멀티 부팅이 안되네요 1 file 0 재희아빠 2021.01.02 882
1856 리눅스 고수님들 간단한 GRUB부팅문제와 OLD커널 삭제법좀 알려주세요. 4 0 흐엉 2020.12.29 1016
1855 하모니카 4 버전 virtualbox 설치관련 4 0 김현재앙이 2020.12.23 1045
1854 와이파이 핫스팟 기능 켜기 하모니카 + 우분투 공통 버그? 0 Japser 2020.12.18 748
1853 카톡 문의 1 0 5D5 2020.12.18 1026
1852 듀얼부팅 상태에서 하나의 OS 만 남기고 싶을 경우, 또는 각각 os 덤프를 할수 있을까요? 4 0 Japser 2020.12.18 1017
1851 Dell 레티튜드 5175에 하모니카 4.0 설치해서 글 남깁니다. 1 0 monocrom 2020.12.17 1369
1850 "업데이트 메니저 오류" 해결 방법 (명령어) 실행 후 무선 wifi 가 먹통이 됩니다. 13 0 youngman 2020.12.16 1373
1849 노트북에서 윈도우10과 하모니카리눅스와 같이 사용하고 싶은데요. 5 0 해인 2020.12.16 1145
1848 민트20 키보드 단축키 를 하모니카 단축키 으로 변경 할 수 있나요???? 1 0 리눅스초보777 2020.12.16 804
1847 하모니카 사용 중 파티션 분할 후 윈도우 설치법 2 0 코코멜로디 2020.12.11 1180
1846 [HamoniKR Jin] 사용자계정 로그인 화면에서 PC 종료 시 무한로고 + 팬이 엄청 돌아갑니다. (버그?) 5 0 코코멜로디 2020.12.09 1380
1845 민트 트리샤에서 폴더 복붙이 안 되네요 2 0 변신 2020.12.07 956
1844 [HamoniKR 4.0 JIN 64bit] Fonts (글꼴) 켜면 바로 꺼지는 현상 (버그?) 2 0 코코멜로디 2020.12.07 989
1843 하모니카 플랭크 제거 방법 1 file 0 Fomalhaut 2020.12.07 1326
1842 업데이트 매니저 오류... 2 0 붉은남도 2021.03.05 963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