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2018.10.23 21:00

만자로와 우분투

조회 수 2520 추천 수 0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랩탑 구매를 앞두고 있습니다.

윈도우 랩탑을 구매한다면 리눅스를 설치하려는데요.

만자로와 우분투, 그놈과 KDE가 고민되네요

만자로와 우분투는.. 정말 조금씩 웹 개발을 배우고 있어서 우분투가 나은가 싶기도 하지만 랩탑에는 만자로가 그렇게 좋다더라구요

만자로를 선택한다면 아마 KDE로 갈 것 같긴 합니다..

우분투가 고민되는건 서버를 우분투로 많이들 하신다길래..

그리거 지금까지 리눅스 민트를 써보기도 했구요

우분투로 간다면 그놈이 적용된 18.04로 사용하겠죠

오늘 만자로 설치해서 조금 사용해봤느데 윈도우보단 맘에 듭니다만.. 잘 모르겠어요 ㅠㅠㅠ

여러분들은 어떤 배포판, 어떤 DE를 사용하시나요??

그리거 랩탑에는 무엇이 어울릴까요??
  • ?
    Ohnine 2018.10.23 22:55
    자기 쓰기 편하고 조은거요 ^^;;;
  • ?
    WDever 2018.10.25 20:36
    오늘 만자로 KDE , 우분투를 사용해봤고

    내일은 만자로 그놈도 사용해보고 우분투를 다시 설치해볼 예정이빈다

    버추얼 박스긴 하지만 만자로 KDE가 그놈들에 비해 조오오금 더 버벅이는것 같긴 하네요
  • ?
    꼬꼬댁 2018.10.24 09:23
    서버하시는분들은 익숙한것을 계속 쓰게 됩니다.
    세계적인 추세로 볼때 얼마전까진 우분투,민트가 인기가 좋았지만,최근갑자기 만자로가 인기가 엄청나게 높아졌네요. 그게 아마도 우분투나 민트도 장기지원이 있지만, 5년마다 새로 갈아엎어야하는 강박감이 생기죠. 그리고 사람들이 리눅스에 익숙해졌습니다. 핸드폰도 2년에한번 갈아야하는데, 데스크탑, 랩탑도 갈아엎어야하니 사람들이 머리가 아프죠..그러다보니 롤링릴리즈인 배포판인 만자로가 인기가 높아진겁니다.

    제가 두세달 사용해보니 정말 편하고 쉽습니다. 안정적입니다. 갈아엎어야할 강박감에서 탈출했고요. 윈도우10도 롤링릴리즈이잖아요.

    우리나라는 아직 우분투 계열이 인기가 많습니다만...아마도 익숙하기때문에 다른배포판 접근이 힘들고, 서버는 지금 잘 돌아가고있는데, 갑자기 바꿀수가 없잖아요..그래서 못바꾸는거죠.

    개인사용자시라면 만자로 괜찮아요. 쉽고요.
  • ?
    WDever 2018.10.25 20:37
    팩맨과 AUR이 신기하더라구요 처음 써보는 KDE도!
  • ?
    Moordev 2018.10.24 15:42
    개인이면 만자로 좋습니다.
    그리고 최근 Appimage같은 물건이 나오고 있어서 배포판도 가리지 않고 있고요.

    정 만자로에서 우분투 환경이 필요하면 Docker를 쓰면 됩니다.

    저는 뭐... 그동안 사용한것이 우분투기반 리눅스민트 MATE이니 계속 그걸 쓸겁니다.
  • ?
    WDever 2018.10.25 20:55
    음..근데 만자로에서 우분투 환경이 필요할까요??

    도커는 배포할때 쓰는걸로 아는데.. 배포할땐 우분투를 쓰는게 좋은가봐요???
  • ?
    Ohnine 2018.10.25 17:13
    만자로는......
    아치위키 한국어 번역 모금이라도 해서 번역이 되기라도 하면
    그때 한번 도전해보고 싶네요.
    ......
    그러니깐 불가능할듯? ㅡ.ㅡㅋ
  • ?
    WDever 2018.10.25 20:55
    몇개 번역된게 있긴 하더군요 ㅋㅋㅋ

    저도 영어 못해서 그냥 유튜브에서 보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3012
1884 한글입력과 관련한 정보 링크 퍼왔습니다. 4 0 K-Lint.net 2021.01.25 951
1883 갤럭시북 S(인텔 코어 i5 모델)에서의 하모니카 구동 관련 질문 2 0 나비엔 2021.01.25 850
1882 질문 드립니다. 2 0 MJY 2021.01.25 767
1881 스케일 어떻게 설정하는지 궁금합니다. 1 0 MJY 2021.01.25 789
1880 이름, 컴퓨터이름, 사용자이름의 개념에 대해 궁금. 1 0 MJY 2021.01.25 888
1879 번역에 기여하려면 어떻게 시작해야합니까? 4 0 MJY 2021.01.25 820
1878 쓸만한 노트북만 나오면 하모니카로 갈아탈텐데 나오질 않네요 1 0 가벼운게최고 2021.01.24 886
1877 헐... (initramfs) fsck /dev/sda3 -y 명령으로 부팅 성공하니 책갈피에 이런게 수백개 생겼습니다. 3 file 0 친절한우주인 2021.01.24 875
1876 하모니카4.0을 멀티부팅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3번이나 이렇게 되면서 부팅이 안됩니다. 2 file 0 친절한우주인 2021.01.22 1002
1875 gcc 로 컴파일 하고 실행할때. 2 0 K-Lint.net 2021.01.21 886
1874 VMware에서 hamonikr-jin-4.0-amd64 동작시 전체 화면 7 0 아르헨홍 2021.01.19 1117
1873 스타크래프트 실행법 5 0 hamin 2021.01.18 1508
1872 LMDE4 와 데비안. 그외 몇 가지 질문입니다.. 2 0 K-Lint.net 2021.01.17 887
1871 마인크래프트 순정은 되는데 포지는 안되네요. 9 0 석크 2021.01.17 1136
1870 넘버원 리눅스가 배포를 중단했다고 하는데 7 0 6Gelemen 2021.01.16 1070
1869 하모니카에서 갑자기 리눅스 민트 코드네임이 되어 버렸어요. 2 0 khj 2021.01.18 1000
1868 정부 주도 개방형 OS 생태계 잰걸음 ~~ 1 0 프리나눔 2021.01.15 917
1867 Onedrive 동기화 관련해서 여쭙니다 9 file 0 바닷바람 2021.01.15 1149
1866 윈도 10 기본 탑재 모델에 하모니카를 설치할 수 있을까요? 4 0 khj 2021.01.14 933
1865 마제야에서 디스코드랑 님프 설치 가능한가요? 4 0 6Gelemen 2021.01.12 925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