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913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 게시물은 2019년 5월 15일에 작성되었으며, 이 날까지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합니다.]


Linux Kernel Prior to 5.0.8 Vulnerable to Remote Code Execution


리눅스 커널 5.0.8 미만의 버전에서 원격 코드 실행(RCE)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취약점을 악용하면 공격자가 기기를 서비스 거부(DoS) 상태로 만들 수 있으며,

원격에서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됩니다. (즉, 악성코드를 깔 수 있는 것이죠!)


이번에 발견된 취약점은 High 등급을 부여 받았으며, 이름은 CVE-2019-11815로 명명되었습니다.


리누스 토발즈 등이 개발하는 업스트림 커널에서는 리눅스 커널 5.0.8에서 패치가 완료되어 배포되었으며,

레드햇, 데비안, 우분투를 포함한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서는 아직까지 패치가 없는 상태입니다.



<Debian>


데비안 9 Stretch (Stable) // LMDE 3 Cindy

 - linux : 최신 버전인 커널 4.9.168-1+deb9u2 는 취약하며, 아직 보안 패치가 없음 (vulnerable)


데비안 8 Jessie (OldStable)

 - linux : 최신 버전인 커널 3.16.64-2 는 취약하며, 아직 보안 패치가 없음 (vulnerable)


https://security-tracker.debian.org/tracker/CVE-2019-11815



<Ubuntu>


우분투 19.04

 - linux : 최신 버전인 커널 5.0.0-15 는 취약할 것으로 예상되며, 아직 조사 중임 (needs-triage)


우분투 18.10

 - linux : 최신 버전인 커널 4.18.0-20 은 취약할 것으로 예상되며, 아직 조사 중임 (needs-triage)


우분투 18.04 LTS // 리눅스민트 19.x

 - linux : 최신 버전인 커널 4.15.0-50 은 취약할 것으로 예상되며, 아직 조사 중임 (needs-triage)


우분투 16.04 LTS // 리눅스민트 18.x

 - linux : 최신 버전인 커널 4.4.0-148 은 취약할 것으로 예상되며, 아직 조사 중임 (needs-triage)


우분투 14.04 LTS // 리눅스민트 17.x

 - 2019년 4월 30일 지원 종료


※ 하모니카와 하모니카 커뮤니티 배포판은 각각 리눅스민트 버전에 맞추면 됩니다.


https://people.canonical.com/~ubuntu-security/cve/2019/CVE-2019-11815.html




아직 보안 패치가 없거나, 어디가 취약한 지를 조사 중이라고 하니,

보안 패치가 나올 때까지 좀 더 기다려야 합니다.

보안 패치가 배포된다면 다음을 참고하여 업데이트를 하기 바랍니다.


보안 패치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터미널에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데비안과 우분투>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dist-upgrade


<리눅스민트와 하모니카>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dist-upgrade

$ sudo mintupdate-cli upgrade



<참고>

https://www.bleepingcomputer.com/news/security/linux-kernel-prior-to-508-vulnerable-to-remote-code-execution/



출처: https://la-nube.tistory.com/651 [la Nube | 라 누베]
  • profile
    행복한펭귄 2019.05.22 10:34

    신속하고 정확하게 보안 패치가 이뤄져야겠네요.


    리눅스가 이제 더욱 다양한 부분에서 사용될 것인데, 보안 문제가 더욱 핫이슈로 오를 것으로 예상되네요.

    보안 전문가가 대접받으려나... ㅋㅋ


    여하튼 일반 사용자든 전문가든 보안 문제는 항상 큰 고치 덩어리이자 요즈음 사회 문제로 분류됩니다.

    그 만큼 보안 문제가 심각하다는 얘기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5497
1366 리눅스 커널 4.6 공개 1 0 행복한펭귄 2016.05.21 5942
» 리눅스 커널 5.0.8 미만에서 RCE 취약점 발견됨 1 0 la_Nube(누베) 2019.05.21 913
1364 리눅스 커널 로컬 권한 상승 취약점(CVE-2017-6074) 0 la_Nube 2017.03.10 8033
1363 리눅스 커널 서비스 거부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la_Nube(누베) 2018.08.21 646
1362 리눅스 커널 업데이트 시 NVIDIA 그래픽 드라이버 문제 2 0 더기버 2021.01.10 1283
1361 리눅스 커널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3 0 la_Nube 2017.04.16 7117
1360 리눅스 커널(Kernel) 보안 업데이트 - 3.16.43-2+deb8u3, 4.10.0-33, 4.4.0-93, 3.13.0-129, 2.6.32-696.10.1.el6 0 la_Nube 2017.09.04 4042
1359 리눅스 커널(Kernel) 보안 업데이트 - 4.8.0-58 ☞ 4.10.0-27 0 la_Nube 2017.07.21 4052
1358 리눅스 커널(Kernel) 보안 업데이트 - Debian 9, CentOS 6 0 la_Nube 2017.10.09 2882
1357 리눅스 커널(Kernel) 보안 업데이트 - Ubuntu, Linux Mint, HamoniKR 3 0 la_Nube 2017.10.11 3216
1356 리눅스 커널(Kernel) 보안 업데이트 - 데비안, 우분투, 리눅스민트, 하모니카 등 0 la_Nube 2017.09.19 3992
1355 리눅스 커널(Kernel) 보안 업데이트 - 우분투, 리눅스민트, 하모니카 0 la_Nube 2017.08.11 4788
1354 리눅스 커널(Kernel) 보안 업데이트 4.9.30-2+deb9u3, 3.13.0-126 1 0 la_Nube 2017.08.09 4461
1353 리눅스 커널(Kernel) 보안 취약점 CVE-2017-11176 0 la_Nube 2017.07.17 4431
1352 리눅스 커널(Kernel) 보안 취약점 CVE-2017-11472, CVE-2017-11473 0 la_Nube 2017.07.21 4163
1351 리눅스 커널(Kernel) 업데이트 - RHEL, CentOS 0 la_Nube 2017.07.17 4356
1350 리눅스 커널(Kernel) 업데이트 - Ubuntu 5 0 la_Nube 2017.07.19 5068
1349 리눅스 컴퓨터를 암호화하는 KillDisk 랜섬웨어 발견 4 0 la_Nube 2017.04.26 8608
1348 리눅스 타깃 비트코인 채굴 마이너 결합된 버터플라이 랜섬웨어 유포 8 0 la_Nube 2018.03.21 654
1347 리눅스 터미널은 어떻게 이용하나요? 2 0 Tara 2019.10.03 3412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