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1650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하드권한문제 발생원인 

 

리눅스는 윈도우 운영체제의 Ntfs포맷을 권장하지는 않지만 지원은 가능합니다.

단)데이터 디스크로 활용 할때만 지원합니다. 즉 리눅스 운영체제 시스템 파일,

백업 파일등은 Ntfs 포맷일 경우 동기화 되지 않습니다. 문서파일 저장등 기타

데이터 전송은 가능합니다.

 

정상적인 경우 윈도우10,7 등과 공유하는 데이터 Disk를 같이 사용이 가능합니만..

윈도우10,7의 운영체제에 타사 백신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1.윈도우 디펜더의 경우 - 자체 시스템의 부트섹터에 접근 권한이 부여되므로

  자기 방어수단인 미러파일을  따로 생성하지 않습니다.

2.타사 백신인경우 - 시스템 부트섹터 접근 권한이 없으므로 별도의 미러파일을

  숨김파일로 생성해서 자기 보호파일을 사용하는 모든 디스크에 추가합니다.

  단)리눅스가 설치된 디스크 파티션-원천봉쇄 미러가 쓰지못함.

3.미러파일이 생성되는 경우 자기 운영체제가 아니면 디스크 접근권한을 차단합니다.

  거의 모든 타사백신이 이에 해당합니다. V3/알약/네이버백신/어베스트 등등..

4.미러 파일이 생성되는 Disk 종류 - 장착된 백신으로 1번 이라도 검사를 실행한

  모든 Disk에 생성, USB/HDD/SSD 등 기타 Disk 전부~

5.미러파일 생성후 발생증상 - 타 OS 접근시 Mout 방해, 접근 권한차단.

 

문제 해결방법.

1.소극적 대처 방안 - 터미널에 다음 구문 명령으로 Disk Fix를 실시합니다.

  

  먼저 해당 디스크의 정보를 확인합니다.

  $ sudo fdisk -lu

  

  Disk Fix를 실시

  $ sudo ntfsfix /dev/sdb1      여기서 sdb1은 앞서 확인한 디스크 주소.

   

   단점)멀티부팅으로 타 운영체제 다녀온후 라면 매번 작업해야 합니다.

   주의)스크립트 추가해서 자동시작 불가, 미러파일에 막혀 작동하지 않습니다.

           자동마운트 옵션에 추가도 역시 불가, 시스템 부팅완료후 수동만 가능.

 

 

2.근본대책 - 타사백신을 지우고 윈도우디펜더 사용, 지운 다음 위에 Disk Fix

    명령으로 해당 디스크마다 1번씩만 수행하면 퍼펙트~

  • ?
    Ooooh-Soorry 2019.11.04 15:46

    응??? 이 문제 말씀하시는 건가요? 그럼 아래의 방법이 더 간단합니다.

    1. 윈도우 끄실 때마다, 실행에서 ㅡ shutdown -s -t 0 ㅡ 입력해서 완전 종료하시거나, 아니면 아예.......


    2. 관리자 cmd에서 ㅡ powercfg /hibernate off ㅡ 입력해서 하이버네이트를 꺼주시면 이후로 문제 없습니다. (2기가 가량의 파일이 삭제되서 용량도 늘어날겁니다.)

    ::: ssd시고 노트북이시면 어차피 하이버네이트 빠른 부팅 포기하고 일반 절전 기능 사용하는 것이 훨씬 낫습니다.

  • ?
    반시12 2019.11.04 16:04

    최대 절전 모드(Hibernate)를 말씀 하셨네요..그건 말씀대로 조처 하는게 맞구요.

    그와는 좀 다른 문제입니다. 윈도우용 백신중에서 윈도우 디펜더만  제외하고

    기타 백신들은 자가 보호용 미러파일을 남깁니다. 이 미러파일들이 문제를 유발

    해서 접근권한을 차단합니다. hwp001.dat 이런 종류의 숨김파일이 생기지요.

    이에 대한 대책을 설명 드린겁니다.

  • ?
    Ooooh-Soorry 2019.11.04 16:07

    아!!!!!

    윈도우 및 노트북 안 쓴지 오래되서 잘 몰랐습ㄴ다~;;; 쓸 때도 윈도우디펜더 애용자였던지라 ^^;

  • ?
    리눅스초짜 2019.12.10 19:13

    1 ssd 1 os 를 실천하고 있는 경우라 이런 이슈가 있는지 몰랏네요..

    지금당장도 무리없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단 OS선택은 UEFI 바이오스단에서 하지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5062
1985 코딩 속도를 2배 이상 올려주는 마인드 셋 2 0 행복한펭귄 2018.05.10 694
1984 썬더버드(Thunderbird) 52.6.0 업데이트 3 0 la_Nube 2018.01.27 695
1983 우분투 16.04.4 출시가 CPU 취약점으로 인해 연기됨 3 0 la_Nube 2018.02.16 695
1982 하모니카 리눅스 1.3 으로 기업은행 ... 안되네요 0 고유치 2019.08.21 695
1981 하모니카3.0 단축키 컨트롤+스페이스 가 안되네요. 1 0 ddpp2 2020.05.04 695
1980 노트북 터치패드 문제로 문의 드립니다. 1 file 0 박두범 2022.01.04 695
1979 루트권한 얻는 방법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0 스크린세이버 2023.03.09 696
1978 하모니카에서는 오라클 버전 몇까지가 설치가 되나요? 1 0 OS루키 2022.01.07 697
1977 [해결] USB 라이브부팅 후 usb 내부에 저장가능한가요? 6 file 0 꿈나무 2022.08.20 698
1976 우분투 게임팩과 그냥 우분투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1 0 라루미 2023.05.10 698
1975 우분투 LTS (리눅스민트 포함) 리눅스 커널 업데이트 - 2018.02.21. 9 0 la_Nube 2018.02.28 699
1974 X11Docker라는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1 0 Moordev 2018.03.21 699
1973 Krita 4.1 오픈 소스 디지털 페인팅 앱으로 사용자가 세션을 저장하고로드 할 수 있습니다. 1 0 행복한펭귄 2018.07.05 700
1972 리눅스 사이트에서 추천 리눅스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2 file 0 라루미 2022.07.30 700
1971 리눅스 설치하려고 하니 부팅디스크에 들어가니 블랙스크린만 뜹니다. 3 0 라루미 2023.05.10 700
1970 그놈에서 Kwin이 실행됩니다 0 6Gelemen 2020.10.25 701
1969 리눅스 민트19 타라 개발 소식 5 0 행복한펭귄 2018.04.04 702
1968 Ubuntu 18.04 소개 영상 1 0 Kevin 2018.04.28 702
1967 Lenovo ThinkPad T15 Gen2i 에서 터치인증 사용 불가 1 0 Japser 2022.08.11 702
1966 바이오스 부팅 설정순서가 초기화 되었더니 하모니카 부팅 매니저가 사라졌습니다. 3 0 Japser 2022.08.24 702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