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038 추천 수 0 댓글 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세요. 여러분 덕에 Lenovo Mini PC 잘 쓰고 있습니다.

집에 있는 TV에 HDMI 로 PC를 연결했는데 화질이 그리 좋지 않네요.

xrandr 프로그램 쓰면 될 거 같긴 한데 방법을 잘 몰라서...

이번에도 여러분의 도움 부탁드립니다.

  • ?
    Moordev 2021.02.03 08:23
    1080p로 괜찮게 나오지 않나요?
    저는 그냥 TV가 워낙 오래된 모델이라 720p로 낮췄는데 그냥 xrandr쓰시면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 profile
    행복한펭귄 2021.02.03 10:43
    Plasma bigscreen 관련한 내용을 참고해 보세요.
    이젠 TV에서도 리눅스를 쓰는 시대가 열립니다.
    어디서나 누구나 리눅스를 쉽고 편하게 사용하는 그날까지
  • profile
    행복한펭귄 2021.02.03 10:51
    스마트TV와 미러링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법도 있고 알아보면 TV를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많습니다.

    이제는 대중들이 TV에서 리눅스를 항상 접하는 그날이 하루 빨리 오길 기대합니다. 이미 리눅스 세계에서는 이런 시도들이 여거 저기서 진행되고있습니다.

    진정 대중에게 다가가는 리눅스 시대가 열리기 시작했습니다.
    TV, 스마트폰, 라디오, 각종 가전제품, 각종 컴퓨터....
    어디서든지 리눅스와 함께하는 세상.
    지금 열랍니다.
  • ?
    재팔 2021.02.03 11:59

    xrandr 은 모니터가 있는 상태에서 추가로 TV 를 연결할때 필요한 것 아닌가요?   Single monitor 의 경우 기본 해상도 설정으로 거의 대부분 해결이 되기 때문에 저는 dual monitor 연결할때만 사용해 봐서리.......

    TV 만 연결하신하면 그냥 HDMI 로 연결하면 될거로 생각됩니다.  저도 그렇게 해서 사용중인데 해상도는 TV 의 해상도에 의해 좌우되더군요.   저는 구형 720P TV 에 리눅스컴을 DVI-HDMI 로 연결했는데 1368X768 로 설정해야 TV 화면에 맞게 설정이 되더군요.

    4살먹은 1080P TV 의 경우 해킨토시로 1920X1080 으로 세팅하여 사용중입니다.

    각각의 해상도 세팅이 다른 이유는 TV 화면비가 16:9와 16:10의 차이 때문인 것 같습니다. 

     

  • ?
    세벌 2021.02.03 13:29

    1920X1080 1368X768 둘 다 설정은 되는데, 둘 다 화질이 사알짝 부옇게 나와서, 미세조정 같은 게 있을 거  같아서요.

    컴퓨터는 이번에 받은 거고, 모니터를 따로 사지 않고, 집에 있는 TV에 HDMI로 연결해서 쓰고 있습니다.

  • ?
    세벌 2021.02.03 13:23

    여러분 답변 고맙습니다. 저는 리눅스에서 디스플레이 설정을 1080p 설정했는데 화면이 아예 안 나오는 건 아니고, 촛점이 안 맞은 듯 사알짝 부옇게 나오네요. TV 볼  때 처럼 선명하게 컴퓨터에서도 보이도록  설정하는 방법이 따로 있나 해서요... TV 볼 때도 부옇게 나오면 TV 성능이 그것밖에 안 되나보다 생각할 텐데.  TV 볼때는 선명하게 잘 나와요.

  • profile
    행복한펭귄 2021.02.03 13:54
    선명하게 보는 방법
    https://comterman.tistory.com/1093
    https://coolenjoy.net/bbs/37/2672

    위 2가지 방법을 참고하면 해결될 것입니다.
    꼭 성공하세요.
  • profile
    행복한펭귄 2021.02.03 13:59
    대부분의 TV는 아날로그 출력과 디지탈 출력에 따라 지원 해상도 범위가 틀립니다.

    또한 HDMI와 PC에서의 컬러를 인식하는 범위와 주파수 범위가 차이기 납니다. 대부분 이런 부분은 세팅해 주면 일반 모니커처럼 정상적으로 깨끗하게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운영체제와는 무관합니다.

    물론 OS별로 그래픽 카드 세팅 방법은 당연히 있지만 기본 원리는 똑같습니다. 많은 분들이 실제로 TV에 연결해서 모니터 대신 사용하십니다.
  • profile
    행복한펭귄 2021.02.03 14:05
    TV 화면 선명하게 보는 방법
    https://motivation.tistory.com/501

    이 방법도 참고하세요
    다 같은 얘기입니다.

    꼭 성공해서 즐겁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 ?
    세벌 2021.02.03 19:36

    https://www.samsung.com/au/support/tv-audio-video/hdmi-pc-connection-text-is-fuzzy-image-isn-t-clear/

    행복한펭귄 님이 알려주니까 이런 게 보이네요. 전에 그렇게 잦아도 안 보이더만...

    잘 될 것 같은 좋은 예감. 그런데 아직 사무실이라...

    집에 가면 해 봐야겠네요.

  • ?
    재롱이 2021.02.03 20:38

    제가 42인치 umax 디지털 티브이를 하모니카에 hdmi로 연결하여 모니터로 쓰고 있습니다.

    4k 지원하는데 현재 fhd설정으로 씁니다.

    모니터설정을 티브이 자체에서도 하셔야 합니다.

    하모니카가 자동으로 해상도 설정을 하는데 그것과 별도로  티브이에서 리모콘으로 해상도 설정을 하신 후

    다시 컴에서 적절한 해상도를 다시 설정해야 합니다.

  • ?
    세벌 2021.02.04 09:02

    여러분이 가르쳐준 대로 이것 저것 해 봤는데... 여전히 뿌옇게 나와요. 설상가상으로 제 컴퓨터 모니터까지.

    그런데 그 원인은? 바로...

    제 눈.

    노안이 왔나봐요. 세월의 흐름은 막을 수 없나봅니다...

  • profile
    행복한펭귄 2021.02.04 10:34
    기술적으로는 해결되었겠죠.

    40대 이상이면 눈건강 잘 챙겨야합니다.
    세벌님 나이대를 모르니 구체적인 얘기는 못 드리겠고, 여하튼 건가유잘 챙기면서 뭘하든 해야 하는 나이인가 봅니다.

    앞뒤 내용을 보니 TV에서 정상적으로 디지탈 방식으로 볼 수 있게된 것으로 보이니 다행이네요.

    눈 건강은 전문가와 상의해서 꼭 회복해서 즐거운 컴퓨터 생활하시길 바래요.
  • ?
    세벌 2021.02.04 11:14

    제 나이는? 공개하지는 않겠습니다만. 제 글 투 보면 대충 아실 거 같은데요?

    저도 행복한펭귄 님 나이를 모르지만 저랑 비슷한 거 같기도 하고...

    건가유잘? 사자성어인가요? 이런 어려운 용어는 제가 몰라요...ㅜㅜ

  • profile
    행복한펭귄 2021.02.04 11:20
    지천명입니다. 40대 이상은 무조건 건강 잘 챙기면서 사회생활해야 합니다. 여하튼 즐거운 시간되시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33 태풍 조심하세요 ㅠㅠ 0 따스한커피 2019.09.07 642
1332 리누스 토발즈 "M1 맥에서 리눅스 실행되길 원해” (소식) 0 나눔앱하자 2020.11.25 643
1331 리눅스민트20.1 공개 2 0 행복한펭귄 2021.01.15 643
1330 VM웨어 써보신분 2 0 다찌마와 2022.05.26 643
1329 요즘은 5시만 넘어도 진자 어둡네요. 1 0 재여이 2022.12.20 643
1328 ai 사업이 다양하네요. 0 다찌마와 2023.05.29 643
1327 리눅스 생태계의 활성화를 위해.. 7 0 형식 2023.12.02 643
1326 하모니카6 설치했더니 메모리 인식을 못하네요 5 file 0 Zer0 2022.12.21 644
1325 [뉴스] PC 교체예산으로 DX 하겠다는 정부…업계 "가격후려치기 안돼" 0 새벽별빛 2023.08.10 644
1324 [잡담] 우리는 왜 다양한 것을 허용하지 않는가? 7 0 행복한펭귄 2018.03.25 645
1323 리눅스민트 45가지 FAQ 모음 3 0 행복한펭귄 2021.02.10 645
1322 베틀넷 실행 오류가 나네요.. (해결했습니다 감사합니다..) 2 file 0 화련씨 2022.10.11 645
1321 리눅스 생태계를 발전하기 위해서는 1 0 닝니니 2023.12.06 645
1320 너무너무 신기한 석고상~ 0 보라짱 2018.02.22 646
1319 [SD러닝데이] 광고에서의 생성 AI 활용 실무사례 모음집 file 0 인공지능팩토리1 2023.12.07 646
1318 몇번 헤 봄 요상하네여 7 0 뇌성마비중증입니다 2021.12.17 647
1317 안녕하세요 가입인사도 드릴겸 질문드립니다. 5 0 프러 2020.07.02 648
1316 블로그 누락 한달동안 싸워서 100% 재반영 누락글 다잡아 file 0 닭발곰탕 2023.09.11 648
1315 Debian FAQ 0 세벌 2021.10.12 649
1314 개발자 필수역량 3일만에 뽀개기! 캐치 커리어콘 #취준파이널 선착순 무료 신청중 (~8/26) file 0 pje 2022.08.11 649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95 Next
/ 9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