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사용기

조회 수 997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추가)

기존에 설치되어있는 stacer와의 충돌 때문에 발생한 오류였습니다! 기존에 설치되어있는 stacer를 삭제하고 다시 install 하면 기존과 같이 정상 실행 됩니다.

삭제 후 재설치 명령어 :

sudo apt-get --purge remove stacer

sudo apt-get install stacer

 

시스템 최적화, 관리 툴인 Stacer을 하모니카 4.0 JIN 에서 설치하고 사용해 보았습니다.

Stacer를 하모니카os에 호환되도록 한 프로젝트 저장소입니다.

readme 를 보니, 기존 설치 방법이 하모니카4.0에서는 아직 지원되지 않는것 같네요!

그래서 4.0버전에서도 호환되는, 소스로 빌드하는 설치방법을 따라해 봤습니다!

하모니카 4.0에서 Stacer 설치

1. 가장 먼저 아래 명령어를 통해 필요한 패키지들을 설치합니다.

sudo apt install build-essential cmake dh-make qt5-default libqt5charts5-dev libqt5svg5-dev qttools5-dev ccache

 

2. 해당 링크를 git clone 합니다

https://github.com/hamonikr/hamonikr-stacer.git

 

3. 아래 명령어로 생성된 프로젝트 폴더 안에 build 폴더를 만들고 안으로 들어갑니다.

cd hamonikr-stacer

mkdir build && cd build

 

4. 아래 명령어로 빌드합니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make -DCMAKE_BUILD_TYPE=Release -DCMAKE_PREFIX_PATH=/usr/lib/x86_64-linux-gnu/qt5/bin ..

16.png

 

5. 아래 명령어로 컴파일합니다. 아래와 같이 100%가 되면 완료됩니다.

make -j $(nproc)

17.png

 

18.png

 

6. 아래 명령어로 output 폴더로 이동합니다.

cd output

 

7. 아래 명령어로 stacer 를 실행합니다. 아래와 같이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acer

1.png

 

 

 

 

stacer 사용하기

dashboard에서는 아래와 같이 cpu, memory, disk 사용량을 확인하고, 시스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png

 

startup apps 항목에서는 컴퓨터 재부팅시 자동 실행되도록 설정한 프로그램들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png

 

CopyQ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였는데도 설정에 등록되어있네요. X 버튼을 통해 삭제해 주었습니다.

3.png

 

System cleaner 항목에서는 로그, 캐시, 쓰레기통 등을 삭제해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4.png

 

slect all에 체크하여 clean해 주었습니다. 아래와 같이 삭제된 메모리 크기를 알 수 있습니다.

5.png

 

services 항목에서는 서비스들의 on/off 상태, 실행 상태를 보고 키고 끌 수 있습니다.

6.png

 

맨 아래의 블루투스 항목이 켜져있습니다.

7.png

 

토글 버튼을 통해 간단하게 블루투스를 꺼줬습니다.

8.png

 

실제로 블루투스가 꺼진 것도 확인됩니다.

9.png

 

다음은 processes 항목입니다. 아래와 같이 모든 프로세스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0.png

 

Uninstaller 항목에선 쉽게 설치된 패키지들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11.png

 

resources 항목은 cpu 사용 기록 등을 확인할 수 있네요.

12.png

 

helpers 항목에선 host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13.png

 

apt repository manager 항목은 apt 레포지토리 리스트를 제공합니다. 편집, 삭제, 추가도 가능합니다.

14.png

 

마지막으로 settings 항목에선 다음 설정들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stacer가 자동실행 되도록 할 수도 있고, cpu, memory, disk의 사용률이 일정 수준을 넘어가면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15.png

 

  • profile
    행복한펭귄 2021.03.24 11:14
    시스템 최적화 툴
    https://www.tecmint.com/ccleaner-alternatives-for-ubuntu/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 최적화 툴 많이 있습니다. 사용해 보시고 용도에 맞는 것을 선택 최적으로 시스템 운영하세요.
  • profile
    행복한펭귄 2021.03.24 11:22
    리눅스 퍼포먼스 모니터링 커맨드 툴
    https://www.tecmint.com/command-line-tools-to-monitor-linux-performance/amp/

    최적화 툴과 함께 퍼포먼스 모니터링 툴을 잘 엮어 사용하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물론 GUI용 모니터링 툴도 얼마든지 있습니다.
  • profile
    행복한펭귄 2021.03.24 14:35
    리눅스 베스트 모니터링 툴
    https://www.netadmintools.com/linux-monitoring-software

    전문적이기는 하지만 일반 사용자도 참고해서 사용하면 많은 도움됩니다. 참고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하모니카에서 안드로이드앱을 구동하려면.. Waydroid 알아보기 2 file 1 레티 2023.12.28 1866
공지 하모니카에 openbox 적용하기 (저사양PC용)_20231216갱신 6 file 2 마이쮸가이 2022.04.13 3581
공지 하모니카에서 공유한 공유폴더를 윈도우에서 접속하기 13 file 1 JamesBae 2022.04.12 2971
공지 저사양 하모니카 사용자를 위한 최적화 3 1 마이쮸가이 2021.03.23 22464
공지 나만에 하모니카 라이브/복원 usb를 만들기 **1.9.4한글버전(casper부팅 버그FIX)** 6 file 0 마이쮸가이 2021.03.23 16868
공지 하모니카로 오락실 게임 즐기기 5 file 0 Kevin 2021.02.01 18152
공지 하모니카로 구축하는 홈시어터 환경 2 1 Kevin 2021.01.20 17485
공지 하모니카에서 홈텍스 연말정산 하기 1 file 0 jullee 2021.01.20 18374
공지 하모니카 에서 OneDrive 사용하기 7 file 0 Kevin 2021.01.15 19029
228 하모니카에서 롤(LOL)설치해서 플레이 해보자! 0 Goro 2020.09.30 2796
227 하모니카OS에서 제공해주는 시스템 설정 알아보기 7탄!!! 0 Goro 2020.09.30 2188
226 하모니카에서 맥처럼 써보자!!! 0 Goro 2020.09.30 2527
225 하모니카os 에서 시스템 및 서비스 모니터링 툴을 쉽게 사용해 보자 0 Goro 2020.09.30 2448
224 하모니카OS 커뮤니티 사이트 살펴보기!! 0 Goro 2020.09.30 2230
223 하모니카에서 시작메뉴 편집하기 file 1 JamesBae 2020.09.30 2770
222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드는 3가지 방법 file 1 JamesBae 2020.09.30 7706
221 하모니카에서 듀얼모니터 사용할 경우 주모니터 순서바꾸기 file 0 0=2 2020.09.30 3073
220 자주 쓰는 애플리케이션 단축키 변경하기 file 0 0=2 2020.09.30 740
219 하모니카에서 호스트네임(컴퓨터 이름)바꾸기 file 0 0=2 2020.09.30 908
218 하모니카에서 아이콘 커스터마이징 하기 file 1 0=2 2020.09.30 940
217 하모니카 OS 에서 영상 편집하기 1 file 0 yeji 2020.09.30 1245
216 하모니카 OS 에서 다른 OS 써보기 file 0 yeji 2020.09.30 884
215 하모니카 OS 에서 원격 서버로 파일 보내기 file 0 yeji 2020.09.30 719
214 하모니카 OS 에서 PC 보안 관리하기 file 0 yeji 2020.09.30 790
213 하모니카 OS 에서 테마 바꾸기 file 0 yeji 2020.09.30 949
212 하모니카 OS 에서 업데이트 관리하기 file 0 yeji 2020.10.01 936
211 하모니카에서 카카오톡 한글 중복 입력문제 해결하기 3 file 0 jullee 2020.10.26 5467
210 하모니카에서 ms office 사용하는 방법 file 0 jullee 2020.10.30 1516
209 기본 터미널 말고 다른 터미널 사용해보기 file 0 jullee 2020.10.31 82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