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924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안녕하세요

 

마이쮸가이님 께서 쓰신 systemback 에 대한 글을 보고 저도 사용을 해봤는데요.

설치는 잘 되는데 live system create 를 실행하니 아래처럼 에러가 나오고 중지됩니다.

(리눅스 민트 20.1에서 사용중..)

 

error_systemback.jpg

이런 유형의 백업툴은 처음이라 시작부터 스텝이 꼬이네요..

검색을 해봐도 성공사례만 나올뿐 저처럼 에러나 백업실패에 대한 내용은 없고..ㅜㅜ

 

원인과 해결방법, 조언 부탁드립니다. 

 

  • ?
    Moordev 2021.04.03 09:39
    혹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셨나요?
  • ?
    마이쮸가이 2021.04.03 12:37

    정확하게 어느 단계에서 실패가 나는지 알려주시면 해결책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백업을 진행하면서 sblive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단계인지 

    이것이 만들어지고 iso로 변환되는 과정인지 ........보통 제가 systemback 사용하면서 해당 메시지를 보는 경우는

    백업이미지인 sblive가 만들어지고 iso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sblive가 4g 용량을 넘어서 과정이 취소되는 경우였는데

     

    특별히 이미지 생성과정에서 iso만들기를 클릭하지 않으셨다면 셋팅에서 iso 자동 변환에 체크가 되어 있지 않나 

    확인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4G 용량이 넘는 것은 sblive 이미지만 만들고 write to target 으로 usb에 바로 써야 정상적으로 백업 usb로 만들 수 있습니다.

     

  • ?
    마이쮸가이 2021.04.03 13:40

    좀 더 검색을 해 보니 일단 제가 작성해 놓은 글에 포함된 systemback-install_pack-1.9.4 버전이 20.04까지만 고려되어

    만들어 진 것이라 해당 버전이 20.10을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전 하모니카 4.0을 사용하고 있고 업데이트를 통해 20.10을 사용하며 업데이트 이후에 systemback 을 이용해 백업usb를 만들었으니

    20.10이라도 사용하지 못 하는 것은 아닐 것 같습니다. 

     

    검색해서 나온 결과 중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백업 작업 공간이 부족한 경우와

    이미지가 너무 커서 오류가 나는 경우,

    그리고 해당 버전이 사용하는 리눅스를 지원하지 않아서 백업생성 중 디렉토리 구조가 달라서 실패하는 경우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는 백업 파일 생성 전 INCLUDE를 통해서 백업에 포함하고 싶은 홈 디렉토리의 내용을 직접 지정을 해 주신 후 

    백업 파일 생성 과정에서 옵션 includ user data file 의 체크를 해제해 주시고 진행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위 옵션을 활성화 하는 경우 홈 디렉토리를 통으로 복사하는 과정에서 필요없는 썸네일 , 캐시폴더 등과 같이 필요없는 것도

    일률적으로 같이 백업에 포함되어 용량과 시간을 더 차지하게 되고 systemback에 고려되지 않은 리눅스 버전을 사용시에

    이 과정에서 오류가 드물게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include를 이용 포함하고 싶은 폴더, 파일을 지정하고 백업 시스템 생성에서 유저 데이터 관련 옵션을 해제하고 진행 하셨는데도

    말씀하신 오류가 난다면 아쉽지만 systemback의 다음 버전을 기다리시는 것이 좋을 같습니다. 

     

     

       

  • ?
    블랙커피 2021.04.03 14:28

    답글 감사드려요

    리눅스 민트 20.1 이 우분투 20.04 기반이니까 안될 이유가 없다고 생각했거든요.

    iso 자동변환 체크도 해제했고 sblive 이미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자꾸 저런 에러가 뜹니다

    timeshift 같은 백업도구 보다는 live 이미지 형태로 백업을 하는게 마음에 들어서 포기하기도 그렇고..

    당분간 삽질 좀 해야겠네요.  도움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
    마이쮸가이 2021.04.03 15:55

    터미널 열어서

     

    DBGLEV=3 systemback-sustart                       엔터

     

    하시면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터미널을 통해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이 방법으로 시도해 보셔서 오류나는 부분을 확인하시는 것이 해당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 ?
    블랙커피 2021.04.04 15:31

    DBGLEV=3 systemback-sustart


    이 명령어로 테스트를 해보니 ~/.local/share/recently-used.xbel 에서 발목을 잡네요.

     

    파일 관리자나 메뉴에서 [최근 사용한 항목] 은 보이지 않게 recently-used.xbel 파일 속성을 바꿔났는데

     

    그거 땜에 백업에 실패하는거였습니다.

     

    sudo chattr -i ~/.local/share/recently-used.xbel

     

    이렇게 해주고 다시 백업을 해보니 깔끔하게 완료되네요..^^

    해결해 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 ?
    마이쮸가이 2021.04.04 17:54

    해결하셨다니 다행입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3011
901 [진기명기]리눅스 서버가 단돈 5달러 file 0 행복한펭귄 2016.08.23 5346
900 오픈오피스로 바꾸고 싶습니다 6 0 쟝바스키아 2021.06.18 5352
899 리눅스민트 18.2 Sonya 정식 출시 - 2017년 7월 2일 7 0 la_Nube 2017.07.04 5356
898 리눅스 초보자 가입인사 드립니다. 11 0 하얀노트북 2017.07.23 5357
897 ★★★ 소프트웨어 중심의 사회 ★★★ 0 행복한펭귄 2016.08.20 5372
896 인터넷 뱅킹이 하모니카라서 가능한가요? 은행에서 리눅스를 지원해서 가능한가요 1 0 세벌 2016.04.15 5376
895 주요 리눅스 배포판 커널 업데이트 3.10.0-514.21.2.el7, 2.6.32-696.3.2.el6 5 0 la_Nube 2017.06.21 5381
894 운영진 분들께 건의사항......... 7 0 식혜고양이 2016.04.16 5387
893 하.. 2 0 식혜고양이 2016.04.19 5392
892 5일차 주저리 주저리 - 바보상자와 도구상자 그 어디쯤... 2 0 maumc 2016.04.17 5394
891 안녕하세요. 하모니카 설치 해보니 좋네요.^^ 2 0 sapaksa 2016.05.22 5395
890 [소식] 스팀OS 2.68 베타 릴리즈 1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14 5414
889 우분투 Linux Kernel 보안 취약점 CVE-2017-1000364 2 0 la_Nube 2017.06.20 5423
888 리눅스 GNU C Library 보안 취약점 CVE-2017-1000366 1 0 la_Nube 2017.06.20 5425
887 공기관의 리눅스 확산에 여러분의 힘이 필요합니다. 5 0 chychy 2016.04.19 5427
886 리눅스가 게임용으로 쓸만한가? 0 행복한펭귄 2017.04.25 5446
885 WINE 1.8.2 버전 발표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18 5459
884 리눅스 민트 18.2 소냐 베타 버전 지금 다운로드 받아볼 수 있습니다 file 0 행복한펭귄 2017.06.07 5460
883 우와! 요즘 커뮤니티에 강좌의 붐이 이는것같아 좋습니다! 8 0 Sound:D 2016.04.01 5463
882 우분투 TLS(gnutls) 보안 취약점 CVE-2017-7507, CVE-2017-7869 2 0 la_Nube 2017.06.14 5472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