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리눅스 부팅문제.
2022.03.02 23:02
컴퓨터를 이사하느라 그저 옮긴것 밖에는 없는데..부팅 화면에서 하모니카를 선택하면 부팅되다가 터미날만 깜박거려서 하모니카 설치본으로 부팅하고 부팅복구를 돌렸는데 오류메세지가 뜹니다.
전에도 한번 이런 적이 있어 그냥 재설치했는데..
오류가 어떤 형태이고 해결책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최초 시작은 부팅되다가 initramfs로 깜박거리기만 합니다.
..
댓글 4
-
마이쮸가이
2022.03.03 00:18
-
haseungwun
2022.03.06 00:07
알려주신대로 했지만 계속 오류가 나서 (사실 제대로 따라 햇는지 조자 잘 모릅니다) 결국 하모니카 5.0으로 새로 깔았습니다.
아직도 이해도가 많이 모자랍니다.
하여튼 고맙습니다. -
유리
2022.03.06 20:48
커널 관련 파일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부팅이 되지 않으므로,
아래의 과정으로 해당 파일을 고칠 수 있는 환경으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 시디로 부팅합니다. 그런-다음 터미널을 열어서 다음을 실행합니다.
- sudo su
- lsblk
- /dev/vda1 /boot/efi, /dev/vda5 /
- mount /dev/vda5 /mnt
- mount -t vfat /dev/vda1 /mnt/boot/efi
- for fs in proc sys dev dev/pts; do mount --bind /$fs /mnt/$fs; done
- cp /mnt/etc/resolv.conf /mnt/etc/resolv.conf.chroot
- cp -L /etc/resolv.conf /mnt/etc
- chroot /mnt /bin/bash
- ping google.co.kr
lsblk에서 나오는 정보는 달라질 수 있으니, 맞게 수정하십시오.
그런-다음 아래 명령으로 initramfs을 새롭게 만듭니다.
- update-initramfs -u
그래도 부팅이 되지 않으면, 다시 위의 과정을 진행한 후에, 커널 관련 패키지를 다시 설치해 볼 수 있습니다.
이걸 하실 줄 알면, 시스템이 반 이상 날아가도 다시 복구할 수 있습니다.
현재 부팅이 잘 되고 있어도 이 과정을 연습해 볼 수 있습니다.
initramfs 업데이트 또는 커널 재실치는 시스템에 문제를 야기하지 않습니다.
-
haseungwun
2022.03.09 18:15
친절한 설명 고맙습니다.
번호 | 제목 | 추천 수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244 |
하모니 업데이트 중..
[2] ![]() | 0 | haseungwun | 2022.05.23 | 241 |
1243 | 가입인사 드려요 [1] | 0 | 길라임 | 2022.05.18 | 154 |
1242 |
[진학사캐치] AI 업계 취업의 모든 것 ! 캐치 커리어콘 #AI편 사전 신청중(~5/26)
![]() | 0 | pje | 2022.05.17 | 204 |
1241 | 한성 놋북 쓰면서 느낀점 [2] | 0 | 다찌마와 | 2022.05.17 | 283 |
1240 | jpg파일 pdf변환 방법 [3] | 0 | 해중이 | 2022.05.16 | 214 |
1239 | 블루투스 키보드 먹통 해결 방법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 0 | 잘몰라요. | 2022.05.14 | 206 |
1238 | 갤버즈2 사용중인데 [1] | 0 | 다찌마와 | 2022.05.12 | 185 |
1237 | 안녕하세요 가입인사 드립니다. [1] | 0 | 해일군 | 2022.05.11 | 140 |
1236 | 안녕하세요~ [1] | 0 | 어리굴젓 | 2022.05.11 | 115 |
1235 |
[무료교육] [한컴아카데미] IoT 센서활용 플랫폼 구축을 위한 임베디드 SW개발자 교육생 모집
![]() | 0 | 한컴아카데미 | 2022.05.11 | 116 |
1234 | 가입인사 올립니다. | 0 | 다찌마와 | 2022.05.11 | 133 |
1233 | 이동형 불루투스 테이블 | 0 | 잘몰라요. | 2022.05.09 | 163 |
1232 | 가입인사 드립니다. ^^ [2] | 0 | 하늘가 | 2022.05.08 | 164 |
1231 | 2022. 성남 메타버스 청년채용박람회 정보 | 0 | 밀크 | 2022.05.06 | 123 |
1230 | 도메인 질문 [2] | 0 | 해중이 | 2022.05.06 | 167 |
1229 | 노트북 추천좀 해주세요 [4] | 0 | 홍쿠주 | 2022.05.03 | 345 |
1228 | 노이즈캔슬링 이어폰 [5] | 0 | 홍쿠주 | 2022.05.03 | 254 |
1227 | 서버관리 [1] | 0 | 해중이 | 2022.04.25 | 245 |
1226 | 리눅스용 북스캔앱, OCR 앱 좋은 거 있나요? [2] | 0 | 해인 | 2022.04.22 | 271 |
1225 | 블루투스도 [1] | 0 | 두다모 | 2022.04.20 | 216 |
보통 리눅스는 초기 부팅시 램에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하여 시스템 시작을 준비하게 되는데
해당 문제는 예측이긴 하지만 모종의 이유로 파일시스템(파티션)을 제대로 읽지 못하는 경우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알고 있습니다.
usb 로 부팅하셔서 터미널을 열고
lsblk ### 루트 파티션 확인
확인된 루트 파티션 체크
예시: sba1이 루트 파티션인 경우
fsck -y /dev/sda1 ###sba1 부분에 확인된 본인의 파티션을 반영하세요.
sudo reboot ### usb를 제거하고 재부팅하여 시스템이 정상 부팅되는지 확인합니다.
혹 다시 (initramfs)_ 프롬프트가 나오는 경우 프롬프트 상태에서
fsck (대상경로) 엔터로 다시 파일시스템 체크를 해 주고 다시 재부팅 해 보셔요.
예시 : fsck /dev/sda1
sudo rebo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