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일부로 윈도우7 가시는분들도 많이 계시네요
2023.02.05 01:11
일부 게임 또는 소프트웨어 때문에 윈도우7으로 가시는분들을 봤습니다
실제로 보기는 또 처음이네요 아직까지도 윈도우7으로도 호환이 된다 또는 윈도우10으로 호환이 된다
이런것을 보면 호환성 문제는 앞으로 해결이 되려면 굉장히 오랜시간이 걸릴것 같네요
댓글 3
-
포토슬럼프
2023.02.05 10:19
-
Moordev
2023.02.05 12:45
사실 OS는 자신이 어떤 프로그램을 쓰느냐에 따라 결정될 수밖에 없습니다.
회사에서 팔았던 오래된 장비가 있는데 이거 수리 때문에 윈도XP를 아직도 굴리고 있습니다. 요 장비용 컴파일러가 윈도XP 이하에서만 돌아가거든요. 그래서 윈도XP를 돌릴 펜티엄4 컴퓨터가 한쪽에 있습니다
윈도7을 쓰는 것도 같은 이유겠지요. -
KongS
2023.02.05 13:14
최근에 Windows 7에 대한 블로그 글도 올린적 있고 Windows 7이 2023년 1월 경에 업데이트가 되서 기존에 크롬 및 다른 웹 브라우저가 가동이 안되었던 문제가 해결이 되었었습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산업현장에서는 아직도 XP 및 Windows 7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관련 드라이버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지원하는것 까지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XP 및 Windows 7을 선호하는것이지요 저같은 경우는
API, MFC를 쓰려고 일부러 XP를 설치했습니다. 물론 Visual Studio 를 설치하면 쓸수 있지만 Visual Studio 2022 버전 같은 경우 설치시 200G가 넘는 용량을 차지해서 C드라이브에는 부담스러워서 D드라이브에 설치해도 C 드라이브에 Common 파일이 100G를 차지하지요
Win API 하나 사용하겠다고 저 큰 용량의 Visual Studio를 사용할바엔 C# Progming 할때는 Sapien Powershell Studio를 사용하고
API 나 MFC 프로그래밍을 할때는 일부러 XP에서 Visual Studio 6.0 을 선호합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API 혹은 MFC를 잘 이용을 안하죠 앞으로 없어질 기술 같이 보이는데
요즘은 Android 및 C#에서 XML을 활용하기 때문에 앞으로 C# 및 WPF가 대세가 되겠지만 C# 및 WPF를 이용하기 위해서
비싸고 무거운 Visual Studio 2022를 선택할 이유가 없다고 봅니다 ^^
맥에서 게임이 되지 않는다고 하여 윈도우로 가는 것과 같은 것이지요. 맥이나 안드로이드에서 윈도우 게임을 돌릴 수 없는 것과 같이 리눅스에서도 윈도우 게임을 돌리기 힘들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