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사이버 보안이 국가 안보와도 직결되는 만큼 정보 보안 산업의 중요성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미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 최근 발표한 비밀번호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것이 온라인 해킹 침해를 결코 막지 못한다고 한다.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은 약한 비밀번호를 생성시킬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수십 개의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해서 결국 어디엔 가는 써 놓게 된다는 것이다. NIST는 비밀번호 가이드라인 개정을 통해 비밀번호를 특수문자를 포함한 여러 문자로 조합하고 일정 기간마다 바꾸도록 하라는 강제요건을 삭제했다.
 
Microsoft가 기업의 보안 관리자에게 권장하는 내용(보안기준)은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이 보안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 힘을 얻은 상황에서 PC 운영체계인 Windows 10과 Windows 서버의 보안 기준에서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해야 한다는 조항을 삭제했다.
 
KISA의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 조항이 이용자 불편만 초래할 뿐 보안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미약하다고 밝혔다.
 
구글이 지난 해(2021년) 자사 서비스에 자동 활성화 시킨 2단계 인증을 통해 계정 해킹을 50% 줄였다고 구글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 

최근 재택근무가 빈번해지고 기업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SMS 기반 피싱 공격이 증가했다. 범죄자들 역시 피해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공격을 감행한다. 직원 역시 고객임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쯤이면 누구나 한 번쯤 ‘복잡한 비밀번호 생성 규칙’ 때문에 짜증이 나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나온 정책’의 폐해를 드러내는 사례다.

 

20220918_053234.png

 



비밀번호를 강력히 해야 한다는 표면의 내용만을 가지고 사용자들에게 모든 부담을 전가하는 게 바로 이 ‘과도하게 복잡한 비밀번호 생성 규칙’이고, 사실 보안에 유의미한 도움이 되는 것도 아니다.

 

 

또한, SMS 통한 인증코드 전달하는 방식을 본인이 직접 인증코드를 생성해서 입력하는 방식으로 개선하면 사이버 범죄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정보자산 로그인 시 비밀번호 만으로는 결코 안전하지 않으며 매번 사용할 때마다 비밀번호를 대체 또는 추가 인증(2차 인증)할 수 있는 새로운 적용 방안(추가 인증, 비밀번호 대체, 새로운 비밀번호)이 필요하다.



20220918_053234.png

 

정보자산의 비밀번호 만으로는 결코 안전하지 않으며, 비밀번호를 매번 사용할 때마다 매번 변하거나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일회성/휘발성 같은 동적보안 솔루션으로 대체 했을 때 이점은 다음과 같다.

1. 비밀번호 단방향 암호화 불필요.
2. 비밀번호 관리지침 적용 불필요.
3. 비밀번호를 기억할 필요 없음.

4. 비밀번호 / 리셋 증후군에서 해방.
5. 사용자 정보 유출 되어도 로그인 불가능.
6. 비밀번호 도용 및 불법접속 불가능.
7. 중간자 공격에도 안전.
8. 비밀번호 분실 및 도용 등에 따른 초기화 불필요.
9. 일회성 또는 휘발성 같은 동적보안 지원.
 
"정적인 비밀번호, 서명, 사인, 지문, 안면, 홍체 등과 같은 패턴과 시그니처를 기반으로 한 정적인 보안의 시대는 끝났고, 이젠 정적인 보안이 아닌 매번 변하거나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일회성 또는 휘발성 같은 동적인 보안의 시대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12 내년에 '스마트폰 안의 주민등록증' 나온다(공유) 0 하늘구름 2023.08.23 42
1611 컴퓨터 바꿀때요. 3 0 재여이 2023.08.22 124
1610 하모니카 OS 설치 사양 에 대해 1 0 새벽별빛 2023.08.22 86
1609 개방형 OS 별 비교 분석 가능 한가요 ? 0 새벽별빛 2023.08.22 51
1608 해가 점점 더 0 다찌마와 2023.08.21 29
1607 처서 매직 0 민지렁이 2023.08.21 27
1606 부팅 문제 1 0 haseungwun 2023.08.20 42
1605 Korean-LLM : 한국어 오픈소스 LLM 리스트 2 0 하늘구름 2023.08.20 193
1604 서비스나 기업을 사칭한 피싱 공격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보안수칙 file 0 BaroPAM 2023.08.20 32
1603 임베디드 펌웨어 개발 시 코딩에 유용한 무료로 사용 가능한 AI 서비스들! 0 하늘구름 2023.08.20 49
1602 리눅스 태블릿 소식입니다~ StarLite! 0 행진하는펭귄 2023.08.18 90
1601 깃허브 코파일럿의 무료인 대안 코딩AI 공유 0 행진하는펭귄 2023.08.18 232
1600 대단한 배우의 멘탈 file 0 재여이 2023.08.18 88
1599 동영상의 자막 자동 생성하기 2 0 행진하는펭귄 2023.08.17 58
1598 AI app 또는 service를 다모아 보여주는 곳 2 0 행진하는펭귄 2023.08.16 48
1597 마스토돈 같이 써봐요~ 0 행진하는펭귄 2023.08.16 44
1596 '네이버톡' 이라는 '오픈채팅' 서비스가 있네요~ 0 말없는벌새 2023.08.14 69
1595 안드로이드 기기를 Linux 데스크탑으로 만들기 0 말없는벌새 2023.08.13 123
1594 이제 태풍이 완전 소멸된거곘죠? file 0 재여이 2023.08.11 40
1593 15인치 화면의 유튜브 머신으로 이 랩탑 어떨까요? 6 0 말없는벌새 2023.08.11 14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87 Next
/ 8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