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2020.08.23 23:21

[잡설] 우분투도...

조회 수 739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그냥 이런 생각이 나서 자유게시판이니까 써보는 잡설입니다.

무시하셔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우분투 안 쓰고 안 깐지 좀 되긴 했는데 (사실 피씨 사용 자체를 거의 안 하기도 했지만)

그래도 가장 유명한 건 우분투고 하니까요.

 

우분투든 민트든 데비안이든 그냥 하모니카 버젼으로 깔아.

하는 말이 나오게 하는 미래 전략은 어떨까요?

 

기본적인 최소한의 편의와 한글 세팅을 완료한 우분투판 하모니카 출시를 건의해 봅니다.

우분투도 20버젼부터는 최소 설치가 추가 되서 특히나 리눅스 익숙한 분들은 대부분 최소 설치로 인스톨 진행하실 텐데요.

 

한글 입력기 님프부터, 자잘한 편의성까지 기본 세팅만 되어 있어도 귀차니즘을 덜기 위해 한국인이라면 무조건 하모니카 버젼으로 깔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국인이고, 리눅스 처음 써보려고? 우분투든 민트든 데비안이든 그냥 하모니카 버젼으로 깔아."

리눅스 고수여도 리눅스 최초 설치 후 자잘한 귀차니즘을 덜 하려고 그냥 하모니카 버젼으로 깔게끔 유도하구요. 제 생각에 고수도 굳이 하모니카로 깔게 유도하려면 한글패치를 기본으로 최소한의 편의 세팅만 된 상태여야 될 거 같아요.

 

하모니카와 우분투 공포럼과의 커뮤도 있으면 좋겠어요.

국내에 우분투든 민트든 데비안이든 리눅스를 통한 업무 환경 변화가 이루어지는 사업체가 늘어났으면 좋겠고, 하모니카가 국내 리눅스에서 가장 유명한 이름이 될수도 있지 않을까요.

 

우분투 공포럼 유저들도 지인들에게 리눅스 깔려면 하모니카 버젼으로 깔아. 라는 말이 나오게요.

그러려면 어떠한 방법이 있는지, 어떤게 좋을지, 리눅스 보급을 위한 방안을 주제로 공포럼과의 오프모임도 가져보구요.

 

유저들의 공포럼은 공포럼일 뿐이라 하모니카처럼 기업이 건수를 따내 리눅스를 보급하고 수익을 얻어서 그를 통해 유지하고 홍보하는 역할을 하는 리눅스 회사는 반드시 필요하니까요. (캐노니컬, 수세처럼요... 데비안이야 진짜 대단한합니다만...)

 

물론 이러한 아이디어는 회사도 여유가 있고 할 때, 공포럼과의 협업이나 커뮤도 있어야 겠고, 그를 통한 홍보와 수익창출이 가능해야 겠죠.

회사가 유지되려면 수익이 필요하고, 그러한 수익을 바탕으로 재투자가 이루어지고 성장할테니까요.

 

그래서 이건 그냥 뻘글이고, 비 현실적인 망상일 수도 있겠네요 -_-

현실을 몰라서요. 하하 ;;;

  • profile
    Kevin 2020.08.24 10:09

    하모니카 개발팀의 Kevin 입니다.

    말씀해주신 우분투 사용자들이 하모니카의 환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좋을것 같습니다.

    한번 추진해서 올해안에 배포할 수 있도록 해보겠습니다. 

    좋은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 ?
    storia 2020.08.25 15:03

    갑자기 생각난 것을 의식의 흐름대로 써봤을 뿐인데 긍정적으로 생각해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제 기억으로 하모니카 최초 개발팀이 출시를 할 당시 우분투 공포럼에서는 커뮤와의 소통 및 협업이 아예 안 이루어졌던 부분에 대해서 무척 아쉬워 하는 성토가 많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제가 이 바닥을 전혀 몰라서 - 그리고 공포럼과의 커뮤가 어떠한 지속가능한 플러스 요소를 가져올 수 있을지 미지수같지만,

    그래도 한글판 리눅스 데스크탑이라는 틀 안에서 관계 맺는 소통 라인이 구축되어 상생 가능한 방식으로 진행되면 어떨까 싶습니다.

     

    아마 하모니카의 결과물보다도

    공포럼과의 소통이나 관계 구축의 정도가

    하모니카의 보급과 인정에 더 큰 지분을 차지할 것 같습니다.

     

    어쨌거나 하모니카를 통한 보급이 더 활발해지고 하모니카의 이득도 늘어나고

    그외 함께 공포럼을 포함한 국내 리눅스 유저들의 지지율과 인식이 크게 높아지고

    안정된 수익을 바탕으로 공포럼 및 유저들과의 활발한 커뮤를 통해 모두가 참여하는 느낌으로 하모니카라는 한글 리눅스판의 방향이 제시되어

    하모니카가 한글 데스크탑 리눅스 역사의 이정표가 되어 보기를 기원해 봅니다.

     

    이 댓글도... 그냥 이렇게 되면 이렇게 될까? 하는 상상을 의식의 흐름대로 써서 보시기에 난감한 내용이 있다면 웃으며 흘러 넘겨 주세요.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88 KT 에서 블록체인 인터넷을 접목하는데 성공했다네요 1 0 LukeHan 2018.07.24 976
1287 과기정통부, 제로트러스트 개념·보안원리·핵심원칙 설명하는 가이드라인 나왔다 file 0 BaroPAM 2023.07.12 974
1286 우분투 19.04 (디스코 딩고) 시리즈 공식 발표 1 file 0 행복한펭귄 2019.04.19 974
1285 귀여운 커서 2 file 0 Ooooh-Soorry 2019.10.18 971
1284 [배포판] Q4OS 3.6 발표 2 file 0 행복한펭귄 2019.04.19 968
1283 반갑습니다. 방화벽 관련 궁금한 게 있습니다. 5 file 0 가인드리 2020.04.22 967
1282 lutris로 게임을 깔고있는데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도와주세요 1 0 라루미 2020.03.05 967
1281 2018년 5월 11일 님프 이슈 닫음. 그리고 5월 16일 유료화 언급 4 0 아리수진 2019.06.15 963
1280 [문의]영어 대문자 사용하고 한글로 돌아오면. 6 0 보생 2018.11.26 963
1279 크롬에서 나오는 현상 캡처 인터넷익스플로러에서 파일 올림 7 file 0 세벌 2019.06.12 960
1278 visual studio 에서 c언어를 연습하고싶습니다 1 0 라리컨디 2020.11.27 959
1277 카카오톡 설치오류 3 file 0 고구마 2020.10.11 959
1276 부팅순서를 바꾸기 위해서 Grub Customizer 설치했는데 글꼴이 안보이네요. 어떻게 해야하나요? ㅠ 3 file 0 자유의지 2019.12.05 959
1275 리눅스 민트 19 타라에서 comix 설치 2 0 soulowner 2018.10.17 959
1274 노트북에서 사용시 배터리 2 0 Jiet 2021.11.10 956
1273 <질문>사지방에서 wireshark를 사용해도 될까요? 2 0 saroro 2020.09.30 956
1272 MX Linux 18.1 버전이 발표되었습니다 2 file 0 행복한펭귄 2019.02.13 956
1271 하모니카 프로젝트의 도덕성에 대해 묻습니다. 1 0 김호동 2019.06.10 954
1270 Flowblade 2.0은 새로운 비디오 편집 도구 및 새로 고친 UI와 함께 제공됩니다 3 file 0 행복한펭귄 2019.02.08 953
1269 DJMAX Respect V가 이제 리눅스에서 실행됩니다(Xinecode 안티치트 지원) 2 0 Moordev 2022.06.28 951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95 Next
/ 9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