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팁 & 테크

윈도우 10 레드스톤 1(1주년 업데이트) 이상부터 Bash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저는 레드스톤2(크리에이터 업데이트) 에서 사용했습니다. 크롬북에서 crouton 을 이용해서 했을 때도 unity로는 문제가 생겼지만 xfce는 멀쩡히 돌아갔던 처럼 이상하게 제 컴퓨터에서도 유니티는 오류가 생긴 반면 xfce 는 안정적이었습니다. 다만 검색을 통해봤을 때 다른 데스크탑환경을 돌리는 사진이나 영상도 봤기 때문에 단순히 제 노트북만의 문제일지도 모릅니다. 또한 소리 재생은 배포판 자체를 풀로 설치해도 불가능했는데 혹시나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알고 계시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1. 윈도우에 우분투 bash 기능 설치 


1. 1 설정 -> 업데이트 및 복구  -> 개발자용에 들어가서 "개발자모드" 를 선택합니다.


1. 2. 제어판 -> 프로그램 -> WIndows 기능 켜기/끄기에 들어가서 Linux 용 하위 시스템(베타) 에 체크해주고 확인을 눌러준 후 모든 설치가 끝나면 재부팅해줍니다.


참고로 우분투 이미지를 윈도우 스토어에서 받아야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로컬계정보다는 이메일 등의 윈도우 계정으로 로그인되어 있는 걸 추천하며 로컬 계정으로 하고 싶다면 최소한 윈도우스토어에 로그인이 되어있어야 하며 로컬 계정 이용시 계정 이름은 영어로 되어있어야한다고 합니다.


1. 3 CMD 를 관리자 모드로 실행 -> lxrun /install 입력 후 y 입력 -> 설치가 모두 끝나면 사용자 계정명과 비밀번호 입력


2. 우분투 다운로드 서버 변경


기본으로 미국 메인서버로 등록되어있어서 원래 느리지만 해외망마저 느린 인터넷을 쓴다면 답이 안 나옵니다. SKB 기가라이트를 쓰는데 2메가짜리 받는데 5일이 걸려서 대충 다 받으려면 우분투 LTS 20.04 나올 때 즈음에 완료될 거 같아서 급히 서버를 변경했습니다. 


2.1 cat /etc/apt/sources.list 로 현재 다운로드 서버 확인


2.2 sudo sed -i 's/archive.ubuntu.com/ftp.daum.net/g' /etc/apt/sources.list 입력으로 다음 FTP 서버로 변경 


2.3 다시 cat /etc/apt/sources.list 를 입력 후 archive.ubuntu.com 이 ftp.daum.net 으로 변경되었는지 확인


3. GUI 이용하기 


3.1 https://sourceforge.net/projects/vcxsrv/ 에서 파일을 받아 설치. 설치 후 xlaunch를 실행한 후 원하는 스타일의 창모드를 선택 후 다음으로 넘기고 넘겨서 실행해줍니다.(display number -1로 해놓은 상태에서도 실행이되지만 가끔 안 될 때가 있으면 값을 0으로 바꿔줍니다.) 이 과정은 3.2 가 완료된 후에 하셔도 됩니다.


3.2 sudo apt update 입력 후 sudo apt-get install xfce4  


xfce4 를 unity 라던가 다른 데스크탑환경으로 바꾸셔도 되며 

배포판 하나를 풀로 설치하고 싶으시다면 xubuntu-desktop 또는 ubuntu-desktop 등으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설치하는 동안에 중간중간 멈춰있는 경우가 있어서 자주 확인해주시면서 멈춰있는 것 같다면 아무 키보드 버튼을 누르면 다시 진행됩니다.


3.3 모든 설치가 끝나고 export DISPLAY=:0.0 를 입력 후 xlaunch의 모든 과정을 완료한 상태에서 xlaunch의 검을 화면을 띄운 상태에서 bash에 xfce4-session 을 입력합니다. 


주분투가 GUI 상태로 실행되며 xubuntu-desktop을 입력하셨다면 아마 문제가 없겠지만 xfce4 만 설치하신 거라면 한글이 깨져서 나올텐데 터미널에 

sudo apt install $(check-language-support) 을 입력하시면 한글이 정상적으로 표시됩니다.


굳이 데스크탑 환경으로 실행하지 않으셔도 xlaunch의 화면을 띄운 상태에서 

bash 상에서 명령어로 libreoffice 라던가 firefox 등으로 개별 프로그램을 실행하시면 그 프로그램만 독립적으로 실행이 되며 xlaunch에서 multiple windows를 선택하셨다면 마치 윈도우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보는 것처럼 깔끔한 창에서 실행가능합니다. 


체험해볼 걸 다 해보시고 설치된 리눅스등을 전부 지우고 싶으시다면 다시 한 번 관리자모드로 cmd 를 실행 후


lxrun /uninstall/ full 을 입력해서 모두 지우신 후에 xlaunch 삭제 후 개발자모드를 원래 설정했던 상태로 돌려주시고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에서 아까 체크했던 리눅스 하위 시스템의 체크를 해제한 후 재부팅해주시면 원상태로 돌아옵니다.


아쉽게도 가상머신 등의 방법이 아닌 네이티브 수준으로 돌아가길 기대했는데 노트북 자체가 그렇게 좋은 편이 아니어서인지 생각보다 좀 많이 아쉬운 성능이었고 오히려 가상머신에 설치했을 때가 더 나은 것 같다는 느낌도 들었습니다.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하모니카 jin 또는 우분투 20.04 에서 한글2022 설치방법 [7] 0 떠똘2 2021.05.26 10508
공지 윈도우 '그림판' 프로그램의 리눅스 버전 - kolourpaint4 [5] 0 하늘땅별땅 2021.05.17 4556
공지 드래곤 퀘스트 XI S 데모 스팀버젼 세이브 데이터. 본편에 연동시키기. [4] 0 만화가엄두 2021.03.10 5200
공지 나만의 단축명령 만들어 사용하기 팁 [3] 0 Japser 2021.03.06 3781
공지 HamoniKR용 통합관제시스템 VIVEex [2] 0 NXware 2020.02.10 5639
공지 아치리눅스 + xfce4 + i3 후기입니다. [2] 1 가벼운게최고 2019.11.12 7950
공지 [설치기] 리눅스민트 19 클린 설치 후기 [3] 0 바람곰돌 2018.07.12 10521
공지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편집기 [11] 0 Kevin 2018.05.29 11589
공지 [사용기] 음악재생기와 NAS 그리고 환경꾸미기 [13] 0 바람곰돌 2018.05.03 9138
공지 리눅스 대초보자의 Deepin OS 사용 후기 공유합니다. [22] 1 PEACH 2018.04.27 13466
공지 작은 교회에서 커뮤니티 실비아판 사용하기 [24] 0 산돌이네 2018.04.01 9413
공지 리눅스 사용기 및 팁엔테크 게시판 사용 도움말 0 관리자 2014.11.03 57419
906 League of Legends를 하모니카에 설치하기. [1] 0 onting 2015.04.26 29313
905 리눅스에서 egg 포멧 파일 압축해체 하는 방법 [2] file 0 onting 2015.02.23 26155
904 우분투 16.04에서 각종 유틸 및 그래픽 드라이버 설치하기 [6] 0 string 2016.04.21 26123
903 리눅스 하드디스크 배드섹터 검사 및 치료 방법 [6] 0 행복한펭귄 2016.08.04 25352
» 윈도우 10에서 우분투 Bash 기능과 데스크탑 설치 후 GUI 사용하기 [15] 0 휘베스드님로인 2017.05.31 24375
901 zip 압축풀때 한글파일명 오류 해결방법 [4] file 0 legoboss 2016.03.03 22588
900 마인드맵 프로그램 XMind 추천합니다 [10] file 0 윙혼 2016.02.01 22545
899 만자로를 쓰다가 [3] 0 꼬꼬댁 2018.04.28 21799
898 국내, 해외 잡지를 무료로 읽고 싶다면?! [2] 0 식혜고양이 2017.10.25 20506
897 윈도우즈와 리눅스의 TXT 호환 문제, 압축파일 한글깨짐 문제 [1] 0 Ohnine 2015.03.21 20423
896 김프(GIMP)를 사용하고 싶으신 분께... [17] file 0 행복한펭귄 2016.02.25 18613
895 음악파일(MP3 등)의 한글 정보(Tag)가 깨질경우 조치 방법 file 0 remo 2014.12.06 17886
894 [개인 서버 구축 가이드] ④ 파일 공유 서버 (samba-중급) [1] file 0 legoboss 2016.04.06 17315
893 문명5 한글화 하는법 [10] 0 가벼운게최고 2020.01.04 16801
892 우분투 18.04 LTS Bionic Beaver를 써보았습니다! [18] 0 la_Nube 2018.04.28 16450
891 리눅스에서 fan 속도 조절하기 [7] file 0 kalin 2017.01.20 16088
890 데비안 9.2 firmware 설치 문제입니다. [12] 0 krhamoni 2017.12.02 15735
889 Linux Mint 에서 software를 install 하는 방법들 [1] 0 codemaker 2015.02.11 15636
888 리눅스에서 HTS 사용은 언제쯤 가능할까? [3] file 0 행복한펭귄 2016.02.01 14913
  • 하모니카 미디어 에디션
  • 설치가 필요없는 화상통화 하모니
loginbox2
아직 회원이 아니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