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2,717
어제:
2,990
전체:
3,953,890

리눅스 팁 & 테크

조회 수 4537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AutoFS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자동으로 마운트하는 파일 시스템입니다."

즉, Samba나 NFS 서버 등에 연결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로그인할때 자동으로 마운트하고, 로그아웃하면 역시 자동으로 언마운트 합니다.


autofs를 설명하기 위해선, 미리 구축된 Samba 서버나 NFS 서버가 있어야 합니다.

앞서 samba와 nfs에 대해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클라이언트에서 autofs로 자동 마운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니다.


autofs-components-03.gif


■ autofs 설치

아래 명령으로 autofs를 설치합니다.

$ sudo apt-get install autofs


■ 설정파일 설명

마스터맵(/etc/auto_master)에 마운트 지점을 정의하고, 여기서 지정한 개별 마운트 테이블에 세부 내용을 기록합니다.

여기서 설정하는 방식에 따라 다이렉트(direct)와 인다이렉트(indirect)로 구분합니다.

① 다이렉트 방식은, 마운트할 디렉터리를 직접 지정하여 마운트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마운트 방식을 말하며,

② 인다이렉트 방식은, 로그인하는 사용자ID에 따라 자동으로 마운트 포인트를 지정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 경우, NIS 서버와 같이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부가 옵션이 필요합니다.)

※ 그러므로 아래 가이드는 다이렉트 방식에 대해 기술하도록 하겠습니다.


■ NFS 서버 연결

① 먼저 마스터맵을 열어서 아래와 같이 설정을 추가합니다.

$ sudo vi /etc/auto_master

/-        /etc/auto.direct

"/-"는 다이렉트 방식으로 설정함을 의미하고, 다이렉트맵(/etc/auto.direct)에 세부 설정을 하겠다는 뜻입니다.


② 이제 아래와 같이 다이렉트맵을 만들겠습니다.

$ sudo vi /etc/auto.direct

/media/nfs_client     -rw,soft     192.168.0.1:/var/nfs_server

마운트할 절대경로(/media/nfs_client)를 정의하고,

옵션으로 권한(rw / ro), 재시도 수준(soft / hard)을 지정하고,

마운트할 서버의 공유디렉터리 경로(/var/nfs_server)를 기록합니다.

그리고 마운트할 경로에 해당 디렉터리를 만들어 줍니다.

$ sudo mkdir /media/nfs_client


③ 이제 autofs 서비스를 구동합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NFS 마운트가 진행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udo service autofs restart


④ autofs 서비스를 시스템 시작시에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설정하면,

앞으로는 로그인할 때 자동으로 마운트가 되며, 로그아웃할때 자동으로 언마운트가 됩니다.

$ sudo sysv-rc-conf autofs on

※ sysv-rc-conf 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아래 명령으로 설치하면 됩니다.

$ sudo apt-get install sysv-rc-conf


■ Samba 서버 연결

samba 서버와 연결할때는 일부 옵션을 추가로 지정해야 합니다.

nfs 설정한 내용과 비교하면서 아래와 같이 작성해 봅니다.

$ sudo vi /etc/auto.direct

/media/nfs_client  -rw,soft  192.168.0.1:/var/nfs_server

/media/smb_client  -fstype=cifs,rw,username=***,passwd=***  ://192.168.0.1/nfs_server

파일시스템 type을 cifs로 지정하고, 접속에 필요한 사용자ID와 PW를 지정합니다.

그리고 samba 접속이므로 // 뒤로 IP(또는 PC name)을 쓰고, 그 뒤에 공유명을 지정합니다.

그 이외의 사항은 nfs 연결과 동일합니다.



[요약]  AutoFS 연결

① 설치 :  $ sudo apt-get install autofs

② 설정(NFS)

  + 마스터맵

     $ sudo vi /etc/auto_master

     /-        /etc/auto.direct

  + 다이렉트맵

     $ sudo vi /etc/auto.direct

     /media/nfs_client  -rw,soft  192.168.0.1:/var/nfs_server

     /media/smb_client  -fstype=cifs,rw,username=***,passwd=***  ://192.168.0.1/nfs_server

③ 구동 : $ sudo service autofs restart


--------------------------------------------------------------

# 개인 서버 구축 가이드 - 전체 목록

[개인 서버 구축 가이드] ① SSH 서버 (openssh-server)

[개인 서버 구축 가이드] ② FTP 서버 (vsftpd)

[개인 서버 구축 가이드] ③ 파일 공유 서버 (samba-초급)

[개인 서버 구축 가이드] ④ 파일 공유 서버 (samba-중급)

[개인 서버 구축 가이드] ⑤ 파일 공유 서버 (samba-고급)

[개인 서버 구축 가이드] ⑥ 파일 공유 서버 (nfs)

[개인 서버 구축 가이드] ⑦ 파일 공유 서버 (autofs)

[개인 서버 구축 가이드] ⑧ DB 서버 (mariadb)

--------------------------------------------------------------

  • ?
    string 2016.05.04 20:57

    아 역시 서버, 공유쪽은 어렵군요. 배울 것이 넘 많아서 큰일입니다..

    하지만 훌륭한 강좌를 연속해서 게시해주셔서 정말정말 감사드립니다!

  • ?
    maumc 2016.05.06 04:41

    강좌 감사합니다.

    저번강좌까지는 몇번 들어본거라 대강이해가 되는데, autofs는 생소했는데 덕분에 알게되었습니다.


    한가지 부탁이 있습니다. 

    추후 '개인 서버 구축 가이드 - 활용 사례'도 연재해주시길 조심스레 부탁해봅니다.

    제 경우엔, ftp나 samba활용예는 인터넷에서 몇번 접하고 따라해보아서 이해가 쉬운데 nfs부터는 활용예를 접하질 못한것 같아요.  autofs강좌를 보니 하모니카 사용자 즉 리눅스클라이언트 사용자를 염두해 두고 강좌를 연재해주시는것 같은데... 이 강좌를 하면 '이것, 저것, 요것들을 이렇게 활용할 수 있다' 라는 사용 사례가 있으면 참 좋을것 같습니다.

    무례한 부탁이지만, 이론(?)에 연계된 강좌 요청합니다. ^^;;;;


    강좌연재 다시한번 감사드리며, 응원합니다!!!!


  • ?
    프리 2016.05.07 22:33

    정말감사합니다.

    좋은 강좌 연속해서 진행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하모니카를 쓸때 백신이 필요한가요? file 1 Kevin 2024.12.06 4043
공지 하모니카 OS 주요 단축키 1 file 3 Kevin 2024.11.26 3908
공지 하모니카에서 iptime 공유기 VPN 사용하기 1 file 1 Kevin 2023.12.21 5767
공지 리눅스에서 자기 노트북의 모델명이 무엇인지 궁금할때는 dmidecode file 1 Kevin 2023.12.17 5904
공지 하드웨어 호환성을 확인하고 싶을 때는 linux-hardware.org 를 사용해보세요 2 file 1 Kevin 2023.11.23 5622
공지 하모니카 7.0 카카오톡 hidpi 설정하기 1 file 1 Kevin 2023.11.22 5740
공지 리브레오피스에서 hwp 사용하기 4 file 0 타조 2023.10.11 8243
412 재미난 과학 이야기를, 읽고 싶다면? 1 0 식혜고양이 2017.05.31 1412
411 질의:conky를 작업공간1에만 표시하고 싶습니다. 1 0 love0957 2017.05.31 5989
410 MoorDev의 우분투사용 분투기 3 0 행복한펭귄 2017.06.10 1803
409 Dos 에뮬레이터는 뭐가 ? 4 0 도원 2017.06.13 2433
408 터치 액정도 지원합니까? 1 0 도원 2017.06.13 2069
407 후지츠 u1010 활용? 3 0 도원 2017.06.15 1899
406 그래픽카드 관련 PPA인 Padoka PPA를 아시나요? 1 0 Moordev 2017.06.15 1719
405 리눅스에서 게임 콘트롤러를 사용하기위한 6가지 팁 1 file 0 행복한펭귄 2017.06.16 2428
404 리눅스에서 게임 서버 구축을 위한 모든 것 0 행복한펭귄 2017.06.16 3083
403 리눅스에서 비디오 게임 라이브 스트리밍 시작하기 2 1 행복한펭귄 2017.06.16 1625
402 해외에서 중고책을 사고 싶다면? 1 0 식혜고양이 2017.06.17 2112
401 LG랩탑 호환성 질문 드립니다. 4 0 Alvin 2017.06.18 5264
400 전 세계, 옛날 신문들의 기사를 찾고 싶다면? 1 0 식혜고양이 2017.06.18 1698
399 [해결됨]생소한 jar파일... 이거 매번 "java -jar 파일명.jar" 이렇게 해야하나요? 5 file 0 스모프 2017.06.19 5628
398 MEMU 앱플레이어 사용에 대한 문의 3 0 odin3 2017.06.19 7409
397 중동 지역의, 경제 News를 알고 싶다면? 2 0 식혜고양이 2017.06.21 1407
396 [질문] 리눅스민트 패널에 대하여 4 file 0 리눅스초짜 2017.06.24 5776
395 [백신] 7가지 무료 리눅스 안티 바이러스 3 file 0 행복한펭귄 2017.06.25 10615
394 리눅스 데스크탑 환경의 구성 요소 0 행복한펭귄 2017.06.25 1831
393 [도전] 윈도우즈 없이 컴퓨터 하기 -첫주차 11 0 리눅스초짜 2017.06.26 13141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47 Next
/ 47
CLOSE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