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 게시판
질문이 있습니다!!
2022.03.14 23:14
제 데스크탑이 망가져서 노트북을 주로 사용하려고 삼성 노트북에 우분투를 설치하는데 뭔가 다르더라고요
설치 과정중에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려면 보안 부팅 키? 같은걸 만들어야 된다고 뜨는데 만들었거든요?
그리고 설치가 끝난 후에 usb를 빼고 엔터치고 재부팅될때 perform mok management라는 게 나왔어요
이게 뭔지 모르고 뭘 눌러야할지 몰라서 가만있다가 절전모드로 갔는데 갑자기 뭐라 뜨더니 꺼졌습니다
보안 부팅인가 뭔가랑 관련있다는데 하나도 모르겠네요
저게 뭐고 어떻게해야하나요
설치 과정중에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려면 보안 부팅 키? 같은걸 만들어야 된다고 뜨는데 만들었거든요?
그리고 설치가 끝난 후에 usb를 빼고 엔터치고 재부팅될때 perform mok management라는 게 나왔어요
이게 뭔지 모르고 뭘 눌러야할지 몰라서 가만있다가 절전모드로 갔는데 갑자기 뭐라 뜨더니 꺼졌습니다
보안 부팅인가 뭔가랑 관련있다는데 하나도 모르겠네요
저게 뭐고 어떻게해야하나요
댓글 3
-
마이쮸가이
2022.03.15 01:45
-
Moordev
2022.03.15 07:43
시큐어부트는 윈도에서도 허구한날 꼬여서 그냥 끄는게 속편합니다.
처음 컴퓨터 사고 OS설치 전에 시큐어부트 끄는게 일상입니다.(어차피 OS설치하려면 UEFI설정에 들어가야하므로)
윈도우도 시큐어부트로 고통받는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윈도우 업데이트하다가 시큐어부트로 인해 롤백해야하는 경우도 많더군요. -
whale
2022.03.17 23:16
2222
booting in Insecure mode 뜨는 거 싫어서 이것 저것 해서 고치긴 했는데,
딱 거기까지 에요.
아무른 가치가 없는 거 같네요...
MOK management에 MOK는 Machine Owner Key를 의미합니다.
간단하게 인증되지 않은 서드파티 앱이나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읽어 드리는 과정에
암호입력을 통해 인증하는 키를 발급하고 부팅과정에서 키가 있는 것만 부팅이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편하실 것 같습니다.
해당 부분을 해제하는 방법 중 가장 간단하게는
바이오스 상태에서 시큐어부트 옵션을 해제하고 재설치를 하시는 것 입니다.
MOK management 부분은 리눅스 고급사용자 분들도 이것저것 꼬여서
재설치하게 만드는 경우가 많아서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하시는 것이면
시큐어부트 해제 후 재설치를 추천 드립니다.
이미 설치된 것을 사용하는 부분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서 대처하시면 될 것 같네요.
참조링크 1 : https://practicaluse.tistory.com/19
참조링크 2 : https://davi06000.tistory.com/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