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 게시판

어찌보면 마이크로소프트가 대단할 수 있는것이고.. 서로 지향점이 달라서 생긴 문제일 수 있습니다.

 

사실은 윈도우 환경에서 무언가를 수행할때 역시 리눅스처럼 수많은 명령어들을 필요로 합니다 다만. 이것을 우리가 직접하느냐 혹은 알아서 해주느냐의 차이지요..

 

그래서 리눅스는 너무나 다양하고 각기 파생형들도 많고 서로 사용하는 명령어가 같을수도 다를 수도 있기에.. 내가 사용하는 OS에대한 이해도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명렁어 이런것들을 찾아보게되지요. 저는 네이트온이 한국에서 잘나가던시절 2010에 2011년도 쯤으로 기억하는데..

그때 처음으로 우분투를 접했습니다..  네이트온 설치하는데 걸린시간은 장차 13시간 ... 어찌하라고 안내하는걸 보면서 하는데도 해매던 저의 모습이 기억에 납니다. 아직도 리눅스는 잘모릅니다.. 뭐할때마다 찾아봐야하고.. 그렇죠..  제가 무언가의 정보를 공유하고싶다해도.. 리눅스를 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어느정도 다 할줄안다.. 입니다...

 

우분투를 잘 사용하다가 우분투는 점점 무거워지고.. 최적화에 불만을 느끼다가 안것이 민트였습니다 민트도 리눅스 유저들 사이에선 비판도 많이 받는 그런 OS이고 우분투계열[파생]보다 당연하게.. 커뮤니티 자체가 활발하지도 않았습니다.. 한국 커뮤니티 말씀 드리는겁니다,.

 

그래서 못하는 영어로 외국사이트를 찾아다녀야 하는경우도 있었습니다.. 또한 한국어 관련해선 당연히 취약했죠..

 

국책사업이지만 리눅스OS의 한국화를 진행한다고 하는걸 보 게되었습니다 그당시는 인베슘이 할때가 아니고 다른 회사가 할때였죠.

확실한것은 민트의 사용환경이 좋아졌다는것이죠 한국화를 해서.. 한글입력등에서 많이 편해졌습니다. 어찌되었든 그 전회사는 포기를 했으니 인베슘에 넘어온거겠죠.. 이런저런 이슈들도 있지만. 그래도.. 많은부분에서 발전이 있는것도 사실이고 사용성이 좋아졌습니다..

 

리눅스는 아무리 발전해도 리눅습니다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엔 불편하죠.... 저또한 윈도우 환경이 100배는 편하고요.

그렇지만 리눅스또한 재미있습니다.. 무언가를 연구해나가는 그런 느낌도 있구요..개발일을 하는 사람이면 또 더 재미있을겁니다..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하모니카 5.0 Hanla 64bit 릴리즈 노트 [9] 0 JamesBae 2021.10.12 15646
공지 [공지] '하모니 소식' 게시판 변경 공지 [1] 0 LukeHan 2018.12.17 29375
1899 쓸만한 노트북만 나오면 하모니카로 갈아탈텐데 나오질 않네요 [1] 0 가벼운게최고 2021.01.24 659
1898 헐... (initramfs) fsck /dev/sda3 -y 명령으로 부팅 성공하니 책갈피에 이런게 수백개 생겼습니다. [3] file 0 친절한우주인 2021.01.24 632
1897 하모니카4.0을 멀티부팅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3번이나 이렇게 되면서 부팅이 안됩니다. [2] file 0 친절한우주인 2021.01.22 738
1896 gcc 로 컴파일 하고 실행할때. [2] 0 K-Lint.net 2021.01.21 663
1895 VMware에서 hamonikr-jin-4.0-amd64 동작시 전체 화면 [7] 0 아르헨홍 2021.01.19 903
1894 하모니카에서 갑자기 리눅스 민트 코드네임이 되어 버렸어요. [2] 0 khj 2021.01.18 783
1893 스타크래프트 실행법 [5] 0 hamin 2021.01.18 1227
1892 LMDE4 와 데비안. 그외 몇 가지 질문입니다.. [2] 0 K-Lint.net 2021.01.17 658
1891 마인크래프트 순정은 되는데 포지는 안되네요. [9] 0 석크 2021.01.17 936
1890 CPU 사용량이 너무 큰 것 같습니다 [12] file 1 바닷바람 2021.01.16 1426
1889 넘버원 리눅스가 배포를 중단했다고 하는데 [7] 0 6Gelemen 2021.01.16 900
1888 정부 주도 개방형 OS 생태계 잰걸음 ~~ [1] 0 프리나눔 2021.01.15 708
1887 Onedrive 동기화 관련해서 여쭙니다 [9] file 0 바닷바람 2021.01.15 899
1886 윈도 10 기본 탑재 모델에 하모니카를 설치할 수 있을까요? [4] 0 khj 2021.01.14 740
1885 마제야에서 디스코드랑 님프 설치 가능한가요? [4] 0 6Gelemen 2021.01.12 726
1884 부트로더 정리 방법 문의 드립니다. [3] 0 Japser 2021.01.11 834
1883 리눅스들를 설치하고 쓰는데..; [4] file 0 곰돌잉 2021.01.10 814
1882 리눅스 커널 업데이트 시 NVIDIA 그래픽 드라이버 문제 [2] 0 더기버 2021.01.10 1036
1881 넷플릭스 질문 [2] 0 미르나래하늘 2021.01.10 974
1880 하모니카4.0_kodi 로 넷플릭스 볼려고 합니다. 초딩도 알 수 있게 알려주세요. [4] 0 친절한우주인 2021.01.08 883
  • 하모니카 미디어 에디션
  • 설치가 필요없는 화상통화 하모니
loginbox2
아직 회원이 아니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