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2642 추천 수 0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998E19335A143BA9257801


11월 10일에 64비트 리눅스를 위한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가 출시되었습니다.

deb 파일로 나왔으며, 우분투 14.04 LTS 64비트 이상을 지원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파일의 이름은 naver-whale-stable_amd64.deb 입니다.

32비트용이 없다는 점과, rpm 패키지가 제공되지 않는 점이 아쉽네요.ㅜㅜ


설치 파일은 http://whale.naver.com/download/ 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또는, 터미널에서 다음을 입력하여 직접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 sudo sh -c 'echo "deb http://repo.whale.naver.com/linux/ stable/" >> /etc/apt/sources.list.d/naver-whale.list'
$ wget -q -O - http://repo.whale.naver.com/linux/stable/public.key | sudo apt-key add -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y naver-whale-stable


990AC8335A14715C124CFF


현재 버전은 1.0.37.21이며, 크로미움(크로뮴) 60.0.3112.113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구글 크롬의 크로미움 버전 62.0.3202.94와 비교하여 구버전임을 알 수 있습니다.


<데비안 9 Stretch>


데비안 9 Stretch에서 libssl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오류가 뜨면서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usr/bin/naver-whale-stable: error while loading shared libraries: libssl.so.1.0.0: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임시 방편으로 데비안 8 Jessie의 libssl1.0.0 패키지인 1.0.1t-1+deb8u7(libssl1.0.0_1.0.1t-1+deb8u7_amd64.deb)을 데비안 9 Stretch로 가져와 설치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뜨면서 역시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9388:9388:1121/112807.045993:FATAL:zygote_host_impl_linux.cc(107)] No usable sandbox! Update your kernel or see https://chromium.googlesource.com/chromium/src/+/master/docs/linux_suid_sandbox_development.md for more information on developing with the SUID sandbox. If you want to live dangerously and need an immediate workaround, you can try using --no-sandbox.
Aborted

데비안 8 Jessie의 백포트 저장소에 있는 libssl1.0.0 패키지인 1.0.2l-1~bpo8+1(libssl1.0.0_1.0.2l-1~bpo8+1_amd64.deb) 역시 같은 오류가 뜨면서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데비안 7 Wheezy와 데비안 8 Jessie 및 우분투 14.04 LTS 이상에서는 libssl1.0.0 패키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데비안 9 Stretch에서는 libssl1.0.0 패키지가 아닌 libssl1.0.2 패키지와 libssl1.1 패키지를 사용합니다.

위 오류는 libssl1.0.0 패키지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패키지 의존성 문제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데비안 8 Jessie>


데비안 9 Stretch와 달리 libssl1.0.0 패키지를 사용하고 있는 데비안 8 Jessie에서는 다음과 같은 오류가 뜨면서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2477:2477:1122/120631.384680:FATAL:zygote_host_impl_linux.cc(107)] No usable sandbox! Update your kernel or see https://chromium.googlesource.com/chromium/src/+/master/docs/linux_suid_sandbox_development.md for more information on developing with the SUID sandbox. If you want to live dangerously and need an immediate workaround, you can try using --no-sandbox.
Aborted


libssl1.0.0 패키지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위와 같은 오류가 뜹니다.

샌드박스 관련 오류인듯 한데 더 이상은 알 수가 없군요.


자세한 사항은 추후에 더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의 포럼은 http://forum.whale.naver.com/ 입니다.

위 포럼에서 각 운영체제(OS)별로 오류 제보를 받고 있더군요^^


<참고>

https://packages.ubuntu.com/search?keywords=libssl1.0.0

https://packages.debian.org/search?keywords=libssl1.0.0

https://packages.debian.org/search?keywords=libssl1.0.2

https://packages.debian.org/search?keywords=libssl1.1



출처: http://la-nube.tistory.com/288 [la Nube's Lab. | 라 누베 연구소]
  • ?
    바람곰돌 2017.11.22 00:48

    웨일 설치해서 써 봤는데요. 크롬과 차이를 그렇게 잘 모르겠던데요 ^^ 기반 자체가 크로미움이라 그런가 ^^ 저는 파이어폭스 퀀텀이 훨씬 나은 것 같습니다. 속도도 속도고요 안정성도 이쪽이 나은 듯 하네요 ^^

  • ?
    la_Nube 2017.11.22 03:38

    크로미움 기반이다 보니 비슷합니다. 기능의 차이가 발생할 뿐이죠.

    다만, 구글 크롬의 크로미움 버전이 훨씬 더 높습니다.


    저는 리눅스민트에서 우분투가 빌드한 크로미움 브라우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ㅎㅎ

    그리고 LMDE에서는 리눅스민트가 빌드한 파이어폭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ㅎㅎ

  • profile
    행복한펭귄 2017.11.22 15:26

    기능상의 차이?

    아마도 대부분의 사용자는 크롬과 파이어 폭스를 적절하게 둘 다 사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기타 유용한 웹브라우저들도 많지만 매니아가 아닌 이상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사람은 별로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그래도 오페라, 비발디와 같은 다양한 웹브라우저 업데이트 소식을 참고하여 특정 용도에 적절하게 잘 사용하면 더욱 시스템을 잘 사용할 수 있으리라 보입니다.

    어디까지나 개인의 취향입니다.

  • profile
    행복한펭귄 2017.11.22 15:24

    파이어폭스 퀀텀 소식

    http://news.softpedia.com/news/firefox-quantum-now-rolling-out-to-all-supported-ubuntu-linux-users-update-now-518588.shtml


    파이어폭스 퀀텀은 기존 브라우저 보다 무려 2배나 속도가 빨라지고 안정적으로 변화를 주었다고 합니다.

    직접 사용해 보시죠. 우분투 기반으로 이미 공개되었고, 수세 기반은 조만간 공개한다고 합니다.


    수세 기반 파이어 폭스 퀀텀 곧 있으면 공개됩니다.

    http://news.softpedia.com/news/firefox-quantum-now-available-on-opensuse-tumbleweed-linux-4-14-coming-soon-518612.shtml


    파이어폭스 퀀텀에 높은 점수를 주셨네요.

    웨일, 크롬, 파이어폭스, 기타 웹브라우저 장단점을 잘 파악해서 복합적으로 잘 사용해야겠군요,

  • profile
    행복한펭귄 2017.11.22 15:28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가 국내 웹브라우저를 대표하는 웹브라우저로서 발전하길 기대합니다.

    단순 기능의 개선 정도가 아닌 뭔가 특별한 지향점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 지켜봐야겠죠.


    다행스러운 것은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한다는 측면에선 열린 기획이라 보입니다.

    성공적인 웹브라우저로 성장하길...

  • ?
    kalin 2017.11.22 22:17
    시도 자체만으로 박수를 보냅니다. 한컴이나 안랩을 보면 국가에서 대놓고 밀어줘도 리눅스는 마이너라서 무시하는데 네이버의 리눅스를 지원하는 시도는 대단하네요. 이제 리눅스에서도 네이버로 스포츠 라이브를 볼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손흥민보고싶은데 말이죠
  • profile
    행복한펭귄 2017.11.23 19:41

    그러게 말입니다. 국내 유명한 포탈과 기업들은 리눅스를 마이너로 취급하지 말고 제대로 지원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일 좀 했으면 좋겠습니다.


    FOSS 자료실과 리눅스 소프트웨어 제작 및 배포 모두 고려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데스크탑 분야를 제외하곤 이미 리눅스가 대세라는 것은 증명되었는데, 이제 데스크탑 분야도 차분하게 지원할 분위기가 충분히 된 것으로 보입니다.

    모든 기업들이 투자했으면 좋겠습니다. 리눅스에....

    msn040.gifmsn040.gifmsn040.gif

  • profile
    행복한펭귄 2017.11.30 19:40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도 충분히 테스트해 본 후 다음 버전(리눅스 민트 19버전대)에는 한글화 버전에 기본 프로그램으로 세팅해서 보급하면 아마도 좋을 것 같습니다.


    국내 한국 사용자들이 필수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웹사이트 등을 발굴하여 기본 세팅해서 보급하면 더욱 좋을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3010
1380 ME 1.4에서 3.0으로 가려면 재설치를 해야 하는 건가요? 2 0 한개교 2019.11.28 1164
1379 hp 노트북 르누아르탑제 제품을 사용중입니다. 8 0 보툴리눔톡신 2021.03.16 1166
1378 하모니카(리눅스) OS 처음 사용자입니다. 5 0 파파스머프 2020.01.20 1167
1377 하모니카 라이브 usb 관련 질문입니다. 4 0 한개교 2019.12.09 1168
1376 넷플릭스 질문 2 0 미르나래하늘 2021.01.10 1174
1375 하모니카 me 32비트가 없어서 하모니카 로사를 깔았네요 4 0 혼지거 2019.03.18 1177
1374 하모니카 사용 중 파티션 분할 후 윈도우 설치법 2 0 코코멜로디 2020.12.11 1180
1373 삼성 프린터 출력이 안됩니다. 1 file 0 kis 2020.01.15 1182
1372 하모니카 os 에 파일질리아 가 깔려있는데 사용 해도 되는것인가요? 1 0 GV솔그린 2020.01.01 1183
1371 os설치 중에 스냅샵이라는게 나오는데 이게 뭔가요? 2 file 0 쭈매니저 2020.01.09 1184
1370 민트리눅스 19.1 사용하고 있습니다. 화면이 버벅임이 있는데요..해결방안좀 부탁드립니다. 9 0 신성 2019.03.15 1185
1369 구름 os 사용가능한가요 ? 1 0 사과나무79 2018.01.23 1189
1368 [추가] 히모니카 5.0에서 4K 10bit 영화 볼 때 비디오 가속이 안됩니다. 왜 이럴까요? 28 file 0 친절한우주인 2022.02.24 1189
1367 grub 메뉴삭제 방법 문의합니다. 3 file 0 신성 2019.08.21 1193
1366 카카오톡 로그인이 안되네요~ 4 file 0 하늘땅별땅 2021.03.08 1193
1365 우분투 18.04 LTS Bionic Beaver 파이널 베타 12 0 la_Nube 2018.04.09 1195
1364 xp-pen 액정 타블렛이 팬이 인식이 안되네요.. 1 0 송파 2020.05.22 1198
1363 최초 설치시 그래픽드라이버 설정 오류 1 0 구담 2019.12.06 1199
1362 2018년 5개의 게임용 리눅스 운영체제 12 0 행복한펭귄 2018.03.15 1201
1361 하모니카 usb 넣어서 잘 사용합니다. 2 0 꿈나무 2020.02.04 1201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23 Next
/ 12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