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출처: http://la-nube.tistory.com/401 [la Nube | 라 누베]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69008


리눅스 커널의 최신 버전에서 8년 전부터 있어왔던 권한 상승 취약점이 발견됐다. 보안 업체 체크포인트(Check Point)가 발견한 내용이다. 이 취약점은 로컬의 사용자들이 높은 권한의 드라이버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며, 이를 통해 민감한 커널 메모리에서 읽기와 쓰기를 실시할 수 있다고 한다. 이 취약점은 CVE-2018-8781이라는 이름으로 등록됐다.


-본문 중 일부


--


<Debian>


보안 취약점 CVE-2018-8781에 대하여...


데비안 9 Stretch (Stable)

 - linux 3.2.101-1 에서 보안 패치가 완료됨 (fixed)


데비안 8 Jessie (OldStable) // 리눅스민트데비안에디션(LMDE) 2 Betsy

 - linux 3.16.56-1 에서 보안 패치가 완료됨 (fixed)


데비안 7 Wheezy (OldOldStable)

 - linux 4.9.88-1 에서 보안 패치가 완료됨 (fixed)


--


<Kali Linux>


보안 취약점 CVE-2018-8781에 대하여...


칼리 리눅스 (Rolling Release from Debian Testing)

 - linux 4.15.17-1kali1 에서 보안 패치가 완료됨 (fixed)


--


<Ubuntu>


보안 취약점 CVE-2018-8781에 대하여...


우분투 18.04 LTS Bionic Beaver

 - GA 커널 linux 4.15.0-20 은 취약점의 영향을 받지 않음 (not-affected)


우분투 16.04 LTS Xenial Xerus // 리눅스민트 18.3 Sylvia

 - HWE 커널 linux-hwe 4.13.0-39 및 그 이하 버전은 취약하나, 아직 보안 패치가 없음 (needed)

 - GA 커널 linux 4.4.0-122 및 그 이하 버전은 취약하나, 아직 보안 패치가 없음 (needed)


우분투 14.04 LTS Trusty Tahr // 리눅스민트 17.3 Rosa // 하모니카 2.1

 - HWE 커널 linux-lts-xenial 4.4.0-121 및 그 이하 버전은 취약하나, 아직 보안 패치가 없음 (needed)

 - GA 커널 linux 3.13.0-145 및 그 이하 버전은 취약하나, 아직 보안 패치가 없음 (needed)


우분투 12.04 LTS Precise Pangolin // 리눅스민트 13 Maya

 - 2017년 4월 28일 지원 종료


--


<CentOS>


보안 취약점 CVE-2018-8781에 대하여...


CentOS 7

 - kernel-3.10.0-693.21.1.el7 및 그 이하 버전은 취약하나, 아직 보안 패치가 없음 (Affected)


CentOS 6

 - kernel-2.6.32-696.23.1.el6 은 취약점의 영향을 받지 않음 (Not affected)


CentOS 5

 - 2017년 3월 31일 지원 종료


--


보안 패치가 발표된 데비안(LMDE 등 포함) 및 칼리 리눅스 사용자께서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통해 보안 패치를 하기 바랍니다.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dist-upgrade


--


*여기에서 말하는 우분투는 다른 모든 우분투 공식 및 비공식 변형판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주분투, 루분투, 쿠분투, 우분투 그놈, 우분투 마테, 우분투 벗지, 우분투 스튜디오, 우분투 기린, 엘리멘터리OS, 페퍼민트OS, 리눅스라이트, 조린OS 등을 모두 포함합니다.


*위 정보는 우분투 12.04 ESM(Extended Security Maintenance)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위 정보는 작성자가 주로 사용하는 리눅스 배포판에 대해서만 작성하였습니다.


--


<참고>

https://access.redhat.com/security/cve/cve-2018-8781

https://security-tracker.debian.org/tracker/CVE-2018-8781

https://people.canonical.com/~ubuntu-security/cve/2018/CVE-2018-8781.html



출처: http://la-nube.tistory.com/401 [la Nube | 라 누베]
  • profile
    행복한펭귄 2018.05.06 12:17

    오래된 취약점이 하나 둘 씩 발견되고 다행스럽게도 빠르게 대응하니 다행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3011
1361 리눅스 커널 4.6 공개 1 0 행복한펭귄 2016.05.21 5851
1360 리눅스 커널 5.0.8 미만에서 RCE 취약점 발견됨 1 0 la_Nube(누베) 2019.05.21 863
1359 리눅스 커널 로컬 권한 상승 취약점(CVE-2017-6074) 0 la_Nube 2017.03.10 7956
1358 리눅스 커널 서비스 거부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la_Nube(누베) 2018.08.21 555
1357 리눅스 커널 업데이트 시 NVIDIA 그래픽 드라이버 문제 2 0 더기버 2021.01.10 1233
1356 리눅스 커널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3 0 la_Nube 2017.04.16 7060
1355 리눅스 커널(Kernel) 보안 업데이트 - 3.16.43-2+deb8u3, 4.10.0-33, 4.4.0-93, 3.13.0-129, 2.6.32-696.10.1.el6 0 la_Nube 2017.09.04 3977
1354 리눅스 커널(Kernel) 보안 업데이트 - 4.8.0-58 ☞ 4.10.0-27 0 la_Nube 2017.07.21 4008
1353 리눅스 커널(Kernel) 보안 업데이트 - Debian 9, CentOS 6 0 la_Nube 2017.10.09 2824
1352 리눅스 커널(Kernel) 보안 업데이트 - Ubuntu, Linux Mint, HamoniKR 3 0 la_Nube 2017.10.11 3181
1351 리눅스 커널(Kernel) 보안 업데이트 - 데비안, 우분투, 리눅스민트, 하모니카 등 0 la_Nube 2017.09.19 3918
1350 리눅스 커널(Kernel) 보안 업데이트 - 우분투, 리눅스민트, 하모니카 0 la_Nube 2017.08.11 4721
1349 리눅스 커널(Kernel) 보안 업데이트 4.9.30-2+deb9u3, 3.13.0-126 1 0 la_Nube 2017.08.09 4384
1348 리눅스 커널(Kernel) 보안 취약점 CVE-2017-11176 0 la_Nube 2017.07.17 4402
1347 리눅스 커널(Kernel) 보안 취약점 CVE-2017-11472, CVE-2017-11473 0 la_Nube 2017.07.21 4120
1346 리눅스 커널(Kernel) 업데이트 - RHEL, CentOS 0 la_Nube 2017.07.17 4299
1345 리눅스 커널(Kernel) 업데이트 - Ubuntu 5 0 la_Nube 2017.07.19 5036
1344 리눅스 컴퓨터를 암호화하는 KillDisk 랜섬웨어 발견 4 0 la_Nube 2017.04.26 8548
1343 리눅스 타깃 비트코인 채굴 마이너 결합된 버터플라이 랜섬웨어 유포 8 0 la_Nube 2018.03.21 595
1342 리눅스 터미널은 어떻게 이용하나요? 2 0 Tara 2019.10.03 3364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