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2,967
어제:
3,628
전체:
3,841,751

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5121 추천 수 0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68369

--

인터넷 접속만으로 감염될 수 있는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Drive-By-Downloads) 유포 방식으로 무장한 ‘갠드크랩(GandCrab)’ 랜섬웨어가 활동을 재개한 것으로 드러났다.

갠드크랩 랜섬웨어가 기존 마이랜섬(매그니베르)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두 랜섬웨어 제작자 간의 관계가 있을 가능성도 제시했다.

-본문 중 일부

--

리눅스는 감염 대상이 아니라서 괜찮긴 한데... 마냥 강 건너 불구경은 아니네요.
  • ?
    Moordev 2018.04.15 22:34

    윈도우를 타겟으로 하고 있지만 윈도우에 연결된 파일을 감염시킨다면 대책없이 리눅스 서버도 감염됩니다.


    참 답이 없네요.

  • ?
    la_Nube 2018.04.15 23:25

    네 그렇죠. 그게 문제죠.

  • profile
    행복한펭귄 2018.04.16 09:32

    참 답답하네요. 개인이 나름 노력해도 운이 없으면 걸릴 수도 있다는 얘기네요.

    그리고 리눅스 시스템에도 WINE, 삼바와 같이 윈도우 시스템과 연계된 부분이 있는데, 이런 것들을 통해서 이런 시스템이 감염되고 활동할 수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더욱 치명적이네요.

    참으로 기술이 잘 활용되어야 하는데 이런 쓸데없는 짓으로 인해 전 세계 사람들이 불안에 떨면서 컴퓨터를 사용해야 하니 정말로 한 숨이 다 나옵니다.

    이런 것을 근본적으로 대책을 세울 수는 없는 것인지 묻고 싶습니다.

  • ?
    la_Nube 2018.04.16 10:57

    일단 이런 종류의 랜섬웨어는 기본적으로 윈도 시스템의 취약점이 있어야 된다는 전제 조건이 달려 있습니다.

    따라서 윈도 업데이트가 항상 최신인 상태로 유지된다면 감염이 되지 않습니다.

    아울러 주된 감염 경로인 윈도7과 익스플로러보다는 윈도10과 크롬 등으로 옮겨간다면 감염확률이 매우 떨어지죠.


    리눅스 랜섬웨어도 결국 패키지들의 업데이트를 미루고 미루다 감염되고 마는 것이니까요.


    결론은 업데이트를 미루지 않는 것과 백업만이 랜섬웨어를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 profile
    Kevin 2018.04.16 10:45
    음. 이건 계속 백업하고 모니터링을 매일 하는 수밖에 없네요.
  • ?
    la_Nube 2018.04.16 10:59

    요샌 랜섬웨어의 종류가 워낙에 많고,(이제 변종까지 합하면 천 개는 넘은 것으로 보입니다.)

    또, 악용되는 취약점의 범위가 넓다보니 다들 고생이죠.


    백업하고 모니터링하고 업데이트 안 미루고... 이게 현재로서는 유일하네요.

  • profile
    One 2018.04.18 08:27
    꾸준히 업데이트 해야겠네요.. 미루지말고
  • profile
    행복한펭귄 2018.04.18 09:14

    그러게 말입니다. 사용자 수준과 아무 상관없이 이 방법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고 하네요.

    그러면 그렇게 하는 것이 정도인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2 1 Kevin 2019.11.18 280392
1486 [질문] 브레이브 브라우저로 인한 업데이트 에러 5 0 관우 2019.03.10 7210
1485 트레이 캡쳐 file 0 cancaodosang 2019.03.10 5906
1484 MX Linux도 좋긴 하네요. 하지만... 6 0 경은 2019.03.07 7276
1483 우분투 서버 nginx webdav 한글 깨짐오류 질문 7 0 경은 2019.03.05 5448
1482 HamoniKR-ME 64bit 1.2 간단 사용기 2 file 0 seo 2019.03.02 6217
1481 하모니카 한글 안됨 8 0 cancaodosang 2019.03.01 7472
1480 HamoniKR-ME 삭제하고 윈도우 깔고 싶은데요.. 2 0 wonjoo 2019.02.27 5994
1479 하모니카 OS 업데이트에 대해 궁금합니다 6 0 seo 2019.02.26 5739
1478 공격자들이 리눅스 컨테이너를 탈출해 호스트의 루트 권한을 탈취할 수 있는 RunC 결점 발견 1 0 la_Nube(누베) 2019.02.24 6284
1477 MX linux18로 리눅스에 입문했어요~~ 6 0 saltman 2019.02.22 5911
1476 리눅스민트 19.1 원격접속 질문 file 0 포토슬럼프 2019.02.20 4625
1475 공격자들이 리눅스 시스템에서 루트 권한을 얻을 수 있는 Snapd 결점 발견 1 0 la_Nube(누베) 2019.02.19 5707
1474 리눅스 민트 카카오톡 한글깨짐 현상 문의 4 file 0 민트유저 2019.02.15 6038
1473 [질문] 민트리눅스 19.1 버전 사용중입니다. 윈도우로 원격 접속 때문에 문의 드립니다. 2 0 June1046 2019.02.08 6528
1472 [질문] 윈도우에서 HamoniKR-ME 64bit 1.1 로 원격접속을 하고싶습니다. 1 0 wonjoo 2019.02.02 5993
1471 [질문] comix 설치가 안됩니다. [Mint 19.1 Tessa 64bit] 5 0 관우 2019.01.31 6443
1470 데비안 9.7 나왔습니다. 5 0 세벌 2019.01.25 4814
1469 [질문] nimf indicator 관련 질문입니다~ 2 0 한국형개혁주의교회건설의꿈! 2019.01.23 6136
1468 [질문] 민트19.1에서 와인을 어떤 패키지로 깔아야 할까요? 2 0 가필드 2019.01.15 6599
1467 해시합이 맞지 않습니다.는 어떻게 해결하나요? 2 file 0 관우 2019.01.07 5791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133 Next
/ 13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