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공지
하모니카 팀에서 한글입력기 nimf 를 포크해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2019.10.29 22:40
깃허브 저장소 : https://github.com/hamonikr/nimf
댓글 17
-
한개교
2019.10.30 00:34
-
자유의지
2019.10.30 11:53
홍동님께 무한 감사를 드리고 또한 님프를 포크해서 유지발전시켜줄 하모니카에도 감사드립니다. 제대로된 한글입력기 배포가 시급했는데 관리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축복받으실 거에요. -
김호동
2019.11.06 03:52
인사가 늦었습니다. 하모니카에서 nimf 를 관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유지보수에 참고하시라고 몇몇 이슈를 알려드리겠습니다.
snap 으로 설치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nimf 표시기가 두개 이상 뜰겁니다.
그 문제는 snap 패키지 버그입니다.
아래 이슈 읽어보세요.
https://github.com/ubuntu/snapcraft-desktop-helpers/pull/169
https://github.com/snapcrafters/sublime-text/issues/27
그리고 개발 외적인 이슈로 PKGBUILD 이슈가 있는데 타인이 작성한 PKGBUILD 를 제가 가로챈 것이 아니라 제가 직접 작성한 파일입니다. PKGBUILD 파일은 제가 작성한 nimf/debian/control 파일을 기반으로 작성한 단순하고 기계적인 파일입니다. 저작권상의 문제가 없습니다.
그리고 archlinux 의 nimf-git AUR 이슈가 있는데, git push -f 하려던 이유는 기여자분들 존중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PKGBUILD 파일을 nimf 저장소의 nimf/ 디렉토리에 위치시키고 AUR 을 git reset 하고 git push -f 하여 nimf 저장소를 통째로 올리면 패키지 제작이 자동화되기 때문에 단지 git push -f 가 되는지 테스트를 수행했을 뿐입니다. 강행하지 않았습니다. 우분투 PPA, rpm 용 패키지 제작이 자동화되어 있어서 nimf-i18n/nimf 에 커밋을 하면 우분투 launchpad, fedora copr 에 있는 nimf 저장소가 동기화되어 자동으로 패키지가 제작됩니다. 다만 아치리눅스는 위 이슈로 인하여 그렇게 하지를 못하고 있었습니다. 약 1년 전부터 다른 분이 nimf AUR 을 새로 만들어서 관리하고 계십니다.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커밋을 조작했다는 주장이 있는데 그것은 사실과 다릅니다. 과거에 사용했던 이메일을 2018년에 변경하면서 해시코드가 변경된 적이 있습니다.
https://cogniti-works.blogspot.com/2018/01/nimf_19.html?m=1
dasom 개발을 재개합니다 (2019년 8월 작성)
https://kldp.org/node/162077
아마 이 일 때문에 커밋 조작을 주장하시는 분이 있는 것 같은데, 제가 작성하였지만 커밋 조작을 주장하시는 분 이름으로 올라간 매우 중요한 커밋이 여러 개 있습니다. git rebase 를 통하여 제 이름으로 원상 복구하는 작업을 했는데 그건 커밋 조작이 아니라 원래대로 복구해 놓은 것이죠. 어이없게도 신고 당해서 github 계정 삭제되었습니다.
nimf-i18n/nimf 에는 제 이름으로 원래대로 복구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았습니다.
그분은 dasom 때부터 기여하신 분인데 제가 그동안 욕먹을 짓을 많아 해서 상호 감정의 골이 깊어져 이렇게 악순환이 된 거 같습니다.
그분이 무슨 죄가 있겠습니까. 이게 다 제가 그릇이 작아서 발생한 일들입니다.
nimf-i18n/nimf 2019.08.14 최신 버전에는 권리 주장하기 어려운 컴파일 에러 수정, 오탈자 수정 이런 기여 제외하고, 남아있는 기여 받은 코드는 일본어 관련 코드가 있습니다.
nimf-anthy: Added a way to type the 'Small Kana'
https://gitlab.com/nimf-i18n/nimf/commit/ccaf7320c7fb4458516ce67faff8c437e3ae5023
사실 이 부분도 일본에서 입력하는 방법이라 권리 주장이 어려운 부분입니다.
따라서 기여자분께 라이선스 변경 동의를 구하지 않고 하모니카에서 라이선스를 LGPL 에서 GPL 로 변경하였더라도 문제 소지가 없는 것 같습니다. LGPL 라이선스 상 그게 가능합니다.
그리고 과거 커밋 보존도 의무 사항이 아니라서 2019.08.14 소스코드만 가져와서 새로이 커밋 히스토리를 구축하셔도 문제가 없습니다. 옛날엔 커밋 히스토리 없이 소스코드 배포하면서 오픈소스 프로젝트하는게 유행이었습니다. git 가 나오면서 유행이 변한거죠.
그리고 돈 버는 것은 나쁜게 아닙니다.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돈버는 기업으로 구글, 래드햇, 우분투 등 많은 회사가 있습니다. 돈이 있어야 밥을 먹고 살고 개발을 하죠.
제가 그동안 욕먹을 짓을 해서 상호 감정의 골이 깊어져 이렇게 악순환이 된 거 같습니다.
제가 사용자 응대도 개떡같이 하고 불특정 다수를 욕하는 등 그릇이 작아서 악순환이 계속되고 그 과정에서 건강이 악화되는 등 결국 그만두었지만,
하모니카는 선순환되어 성공하셔서 사용자분들에게 사랑받는 기업이 되기를 바랍니다.
래드햇, 우분투 캐노니컬 회사처럼 성공하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제가 툭 하면 사람들과 싸우고 그릇이 참 작고 부족한 사람인데 nimf 에 기여해 주시고 애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기즈모
2020.11.11 14:39
호동님 덕분에 본격적으로 리눅스 쓰기 시작 해서 한참 삽질 할때 다솜기 덕분에 리눅스에 편하게 정착 하게 되서 고맙게 생각 하고 있습니다.
건강 회복 하시길 바랍니다. 덕분에 님프도 잘 사용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Kevin 입니다.
좋은 한글입력기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주신점 항상 감사하고 있습니다.
건강이 악화되어서 더이상 관리가 힘드신 상황이라고 하시니 좀 쉬시면서 천천히 하시면 좋겠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
Ooooh-Soorry
2019.11.08 17:30
조솜스럽게... 님프 자체가 한국어 입력이 가장 편한 입력기인데, 님프 소스 관리에 하모니카팀과 함께 호동님도 스스로 자유롭게 부담없이 하고 싶을 때 참여하셔도 괜찮을 것 같은데요. 스트레스 받을 주체를 넘기고 개인이 아닌 그룹 커뮤니티로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
세벌
2019.11.09 06:34
저는 ibus-hangul에 익숙해져서... 님프가 편한 점이 무엇인지 조심스럽게 여쭈어 봅니다.
-
nimf의 장점이라면 ibus에서 일부 프로그램에서 발생하는 한글 자음과 모음 벌어짐 문제를 해결한 입력기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자세한건 이곳을 읽어보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
김호동
2019.11.27 01:14
소프트웨어 사용자가 많아지면 기술 지원 요청(각종 어플 버그 수정, 기능 추가, 설치/패키지 문의 등)도 증가하는데, 기술지원을 해드리는 자원봉사자 또한 증가할 것이라 잘못 예상했습니다. 제가 직장인이다보니 시간이 없어서 기술 지원을 제때 해드리지 못하거나, 타 어플 버그를 해결하지 않겠다고 하면 불만을 가지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고 그 불만들이 표출되면서 안티가 늘어나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너무 안타까워 직장보다 한글 문제, nimf 에 많은 신경을 쓰다보니 업무 지장으로 인한 손실이 생기고 잠 못자서 건강이 악화되는 등 저 혼자 감당하기에는 너무 많은 노동량이었습니다. 따라서 한글 문제에 집중하면 수익이 발생하는 사업 모델을 만들어 직장을 그만두고 한글 문제에 집중해야만 사용자분들의 눈높이에 맞는 원활한 기술 지원이 가능하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libreoffice, ibus, fcitx, uim, nimf 사례를 볼 때 무료 오픈소스 모델은 사용자분들의 눈높이를 맞출 수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제가 전에 실험했었던 기부금, 후원금, 직접 판매 모델은 실패했고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을 계속 모색 중입니다. 필요하다면 배포판을 새로 만들지도 모르겠네요. (L)GPL 이 아니라면 각종 어플 버그 패치를 개발하여 그걸 사이트에 올려놓으면 돈이 될텐데요. 각종 어플들은 한달 기부금/후원금이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에 이르는데 그 어플들의 버그를 제가 무임으로 고쳐서 오픈소스 라이선스로 무료로 배포하는 것도 참 호구같은 짓이죠.
타 어플 버그 안 고쳐준다고 악성 루머에 욕 많이 먹었는데 저는 정말 억울합니다. 타 어플들은 기부금, 후원금 받고 사업도 하여 수익을 발생시킵니다. 오픈소스 이 바닥은 도덕적 해이가 난무하는 곳이고 트라우마가 남아 다시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하지 않겠습니다.
-
세벌
2019.11.27 07:42
좋은 프로그램 개발하고도 욕먹는 일은 없기를 바래요. 피해의식에서 제발 벗어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데비안 웹 사이트 번역 하고 있습니다. 돈 한푼 받는 거 없고요. 그럼 저도 호구인가요?
저 말고도 많은 분들이 오픈소스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그 분들도 다 호구인가요?
-
Ooooh-Soorry
2019.12.07 09:45
오픈소스는 본인이 금전전 육체적 심리적 여유가 될 때 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무리하게 하면 자기 손해가 맞아요. 운이 좋으면 돈도 되겠지만 여건이... -
Ooooh-Soorry
2019.12.07 09:41
데비안 기본 저장소 패키지로 인가되면 좋겠습니다. 그냥 기본 apt로 깔게요. 데비안에서도 쓰고... -
현재는 하모니카 배포환경에서만 지원하고 있습니다만 말씀해주신 의견 잘 모아서 반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
telnet
2020.02.07 08:32
nimf 입력기 너무 너무 좋습니다. 저는 잘 모르는 초보이지만 nabi부터 입력기를 써봤지만 nimf만큼 안정적인 입력기는 없는 것 같습니다. 하모니카에서 기본 입력기로 계속 쓸 수 있다는 소식이 너무 반가울 뿐입니다.
-
6Gelemen
2020.02.14 10:07
리눅스 민트에서 키가 다운이 안됩니다.
-
OctopusET
2020.03.16 00:02
qt4에서 qt5로 업그레이드 할 방도가 없을 까요
-
kungmo
2020.08.17 12:37
감사합니다. 덕분에 우분투 20.04에서도 님프를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글 입력기로 ibus, fcitx, uim, nimf를 다 써봤지만 님프가 최고인 것 같습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 걱정했는데 안심이 되네요.^^ 호동님께서 19.10까지는 챙겨 두셨던데 이후에는 어찌 될까 했습니다만 덕분에 마음을 놓았습니다. 늘 발전하는 하모니카가 되기를 바라며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