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소스 이야기

learninglab.jpg


이제 깃허브에 커밋해 보기 위해 이런저런 포스팅을 찾으러 다니지 않아도 됩니다.

깃허브에서 직접 깃뉴비들을 위한 '러닝랩 Learning Lab'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 깃허브 계정 생성 과정에서부터 리포지토리 생성, 커밋, PT 그리고 머징 과정까지 직접 실습해 볼 수 있습니다.

그뿐만이 아닌 깃허브 사용에 필요한 요소 총 5가지의 커리큘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1. 깃허브 입문하기
- 이슈를 통해 소통하는 방법
- 알림 관리 방법
- 브랜치 생성 방법
- 커밋 생성 방법
- PR을 통해 차이점을 안내하는 방법

2. 마크다운으로 소통하기
- 마크다운을 활용해 댓글 또는 텍스트파일에 리스트, 이미지, 링크 추가하기
- 깃허브 저장소에서 마크다운을 어디에 어떻게 활용하는 방법

3. 깃허브 페이지 
- 깃허브 페이지 구축하기
- Jekyll을 사용한 템플릿/테마 설정
- YAML front matter(YFM) 활용법
- 사이트 커스터마이징
- 블로그 포스트 작성 및 수정 방법

4. 깃허브 프로젝트 마이그레이션
- 자신의 코드 저장소 확인하기
- 저장소에 코드를 소개하는 방법
- .gitignore과 같은 중요한 깃파일 생성 방법
- 자신의 프로젝트에 다른 개발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문서화 작업

5. 머지 컨플릭트/충돌 관리하기
- 머징 진행 절차에 대한 이해와 충돌 이유
- 간단하거나 심화한 머지 충돌사항을 순조롭게 해결하는 방법
- 같은 팀 멤버 사이의 머지 충돌을 최소화하는 방법

* 곧 '6. 오픈소스에 기여하는 방법: 친근한 매핑 프로젝트에 첫 오픈소스 기여활동 해보기' 커리큘럼이 추가 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커리큘럼을 수강해 보았습니다.



1. 수강하고 싶은 커리큘럼을 선택해 신청합니다.
github_ll_courses.jpg



2.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만 진행이 가능하다고 나타납니다.
github_ll_crs_2.jpg


3. 앱 설치 후 다시 커리큘럼을 선택하면 진행이 시작됩니다.
github_ll_crs_3.jpg


github_ll_crs_4.jpg



4. 아래 귀여운 깃허브 러닝봇이 안내해 준 스탭1을 따라 진행하면
github_ll_crs_5.jpg


5. 바로 그 아래 스탭2번의 코멘트가 생깁니다.
github_ll_crs_6.jpg


github_ll_crs_8.jpg


6. 진행하다 보면 브랜치의 뜻 또는 커밋의 기본 매너 등 다양한 꿀팁을 함께 알려주고 있습니다. 
초보자의 입장에서는 정말 쉽게 실습할 수 있는 좋은 가이드입니다.
github_ll_crs_7.jpg


7. 이렇게 PR과 머징까지 완료하고 첫번째 커리큘럼이 끝나면 표시가 나타납니다.
github_ll_crs_9.jpg


8. 1번 커리큘럼을 진행한 결과물은 슬라이드 형태의 깃허브 페이지입니다.

github_ll_crs_10.jpg


* 언제든지 다시 똑같은 커리큘럼을 배워볼 수 있다고 하니 더 좋습니다.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는지에 대한 두려움 없이 혼자서도 실습할 수 있습니다.
학생 및 입문자들에게 책이나 블로그 포스트 보다도 더없이 좋은 가이드라고 생각합니다.
교육용 가이드로 널리 알려졌으면 좋겠습니다.


깃허브 러닝랩: https://lab.github.com/
깃허브 러닝랩 커뮤니티 포럼: https://github.community/t5/GitHub-Learning-Lab/bd-p/learn

깃허브 러닝랩 소개 동영상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픈소스 이야기 게시판 이용안내 [3] Kevin 2018.04.13 1523
56 리눅스 배포본과 데비안 프로젝트 Kevin 2020.05.11 926
55 리눅스 이야기: 네트워킹 Kevin 2019.07.19 1954
54 FreeCAD 한국어 번역 함께 해 보아요 [8] 세벌 2019.06.26 2735
53 리눅스 이야기: 리눅스 vs. 미닉스 2부 Kevin 2019.05.27 1563
52 리눅스 이야기: 리눅스 vs. 미닉스 1부 Kevin 2019.02.22 1499
51 리눅스 이야기: 진정한 자유 운영체제 [1] Kevin 2018.12.27 1394
50 리눅스 이야기: 운영체제를 만들자! [7] Kevin 2018.12.03 1879
49 LibreOffice Korea [2] 세벌 2018.11.27 1508
48 김프 2.10.8 나왔습니다. [1] 세벌 2018.11.14 1064
47 XFree86과 X.Org Kevin 2018.08.13 1105
46 X11의 탄생 [4] Kevin 2018.07.25 1356
45 X-Window 탄생 [1] Kevin 2018.06.21 1850
44 오픈소스란 무엇인가요? [1] file Kevin 2018.06.01 10575
43 [TED2016] 리눅스의 기본 철학(한글 자막) [1] file PEACH 2018.05.15 990
42 ‘리눅스 아버지’처럼 성공하기 위한 11가지 조건 file PEACH 2018.05.15 858
» 깃허브 러닝랩 - 혼자서 아무것도 없이 깃허브 마스터 가능합니다. [2] file PEACH 2018.05.11 1784
40 The C programming language 2nd edition [2] 세벌 2018.05.11 2173
39 Contributor Covenant: 컨트리뷰터/기여자들의 행동 강령 규약 [1] file PEACH 2018.05.08 1092
38 사내에서 눈치를 안 보고 오픈소스 프로젝트 하기 [1] file PEACH 2018.05.07 1829
37 김용욱 - 오픈소스로 해외취업하기 [1] PEACH 2018.05.02 962
  • 하모니카 미디어 에디션
  • 설치가 필요없는 화상통화 하모니
loginbox2
아직 회원이 아니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