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사용기

하모니카에는 기본적으로 절전관리를 위해 TLP가 설치되어 있고

기본 설정으로도 충분히 제 기능을 하지만 노트북 사용자는 배터리 러닝 타임을

늘리기 위해 좀 더 상세한 설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터미널을 열고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상세한 설정을 하고 저장하여 적용할 수 있지만

아무래도 텍스트 형태로 진행함으로 설정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sudo xed /etc/tlp.conf

 

이 글은 하모니카 노트북 사용자가 TLPUI 라는 패키지 설치를 통해

좀 더 상세한 TLP설정을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데에 의의가 있습니다.

 

우선 터미널을 열고 아래 명령어를 순서대로 복사/붙여넣기 후 엔터로 설치를 진행합니다.

 

wget https://ppa.launchpad.net/linuxuprising/apps/ubuntu/pool/main/t/tlpui/tlpui_1.5.0-1~focal_all.deb --no-check-certificate

 

sudo dpkg -i tlpui_1.5.0-1~focal_all.deb

 

혹은 아래 링크로 이동하여 자신에 리눅스 버전에 맞는 것을 다운로드 후 더블클릭으로

설치합니다. 참고로 현재 TLP 는 1.5가 가장 최신임으로 해당하는 DEB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다운로드 링크 : https://ppa.launchpad.net/linuxuprising/apps/ubuntu/pool/main/t/tlpui

 

설치가 끝나면 프로그램 메뉴에서 TLPUI 를 찾아 실행하시거나 터미널을 열고

TLPUI 입력 후 엔터로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프로그램 창이 나타납니다.

프로그램 창 좌측에 챕터중 원하는 것을 선택하고 우측에서 본인이 원하는 설정을

하고 우측 상단의 SAVE를 눌러 저장 후, RELOAD를 클릭하여 바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Tlp-UI_002.png

 

 

그래픽에서 AC/BAT 에 따른 클럭 설정과

 

프로세서에서 CPU 거버너, 클럭을 설정

특히 platform profile on bat 설정(low-power추천)은 꼭 해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usb에서는 절전모드시 자동 비활성과 usb denylist 를 체크 후 비활성화에서 제외할

usb 항목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터미널을 열고 lsusb 엔터 하여 usb 주소를 확인 후 edit를 통해 직접 입력해 적용하거나

edit를 누르면 기본적으로 활성화 된 usb 목록이 나오니 원하는 부분을 클릭후 확인 하여 적용 합니다.

 

Thinkpad battery 항목에서 충전제한 관련 설정을 할 수 있는데

이는 상시전원(AC)를 사용하는 노트북 사용자의 경우 배터리 보호에 상당한 도움이 됩니다.

보통 배터리의 컨디션을 오래 지속시키는 플래토 구간은 40-80%이니 참고하셔요.

 

 

삭제 : sudo apt remove tlpui

 

이상입니다. :)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하모니카에 openbox 적용하기 (저사양PC용) [6] 1 마이쮸가이 2022.04.13 2713
공지 하모니카에서 공유한 공유폴더를 윈도우에서 접속하기 [13] 1 JamesBae 2022.04.12 2376
공지 저사양 하모니카 사용자를 위한 최적화 [3] 0 마이쮸가이 2021.03.23 21320
공지 나만에 하모니카 라이브/복원 usb를 만들기 **1.9.4한글버전(casper부팅 버그FIX)** [6] 0 마이쮸가이 2021.03.23 16361
공지 하모니카로 오락실 게임 즐기기 [4] 0 Kevin 2021.02.01 17122
공지 하모니카 4.0에서 스팀 설치하기(+게임 설치) 0 JamesBae 2021.01.22 10466
공지 하모니카로 구축하는 홈시어터 환경 [2] 0 Kevin 2021.01.20 17047
공지 하모니카에서 홈텍스 연말정산 하기 [1] 0 jullee 2021.01.20 17937
공지 하모니카 에서 OneDrive 사용하기 [7] 0 Kevin 2021.01.15 18393
공지 하모니카 4.0 - Kodi로 넷플릭스 시청하기 [6] 0 JamesBae 2021.01.08 21392
248 하모니카 Genymotion, 안드로이드폰, BlueStack Netflix 시청하기 0 KongS 2023.01.21 295
247 하모니카 Blender ...?? [4] file 0 KongS 2022.12.26 314
246 하모니카 6.0 에 AutoPsy 설치 성공기 ^^ [2] file 0 KongS 2022.12.19 278
245 하모니카6.0 사용기 및 시연. 근데 이번에 너무 이쁘게 잘 만들었음 ㅋㅋ [2] 0 친절한우주인 2022.12.10 527
244 리눅스 초보의, <하모니카 6.0 태백> 간단 설치기 입니다. [2] file 0 유니스 2022.12.06 516
243 하모니카에서 SSH, SFTP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Tabby 사용하기 [1] file 0 JamesBae 2022.12.02 478
242 벌써 6.0이라니 하모니카팀 건강챙기며 개발하시는거 맞죠? [1] file 0 가림토 2022.11.28 216
241 하모니카 6.0 간단 사용 후기 [2] 0 파인트리 2022.11.26 443
240 hamonikr 5.0 -> 6.0 으로 upgrade 했습니다. [3] 0 youngman 2022.11.22 318
239 하모니카에서 pipewire(오디오서버)를 사용해 보자 file 0 마이쮸가이 2022.10.27 281
238 삼성전자 외장형 DVD 인식 관련 [2] 0 youngman 2022.10.07 168
237 네트워크에 컴퓨터가 보이지 않을 경우 [1] 0 산돌이네 2022.10.05 248
236 시스템 대기모드 해제 후 usb가 활성화 되지 않을 때 대처법 0 마이쮸가이 2022.10.04 181
235 하모니카 update 및 upgrade 장애 관련 문의 (9/27) [3] 0 youngman 2022.09.28 226
234 [설치완료] 조립PC (MSI PRO H610M-C EX) +하모니카 OS의 사용 후기 [4] file 1 칩헤드 2022.09.04 743
233 조립PC 사용기 포스팅(넌지시하모 님) file 0 taiyin 2022.09.01 226
232 조립 PC 사용기 이벤트 [1] file 0 youngman 2022.08.02 349
231 HAMONIKR 5.0 + 민트 20.3 + 우분트 22.04 사용 중입니다. [17] 0 youngman 2022.05.17 1555
» 하모니카에 절전설정을 해 보자(feat TLP, 노트북 사용자추천) file 0 마이쮸가이 2022.05.07 535
  • 하모니카 미디어 에디션
  • 설치가 필요없는 화상통화 하모니
loginbox2
아직 회원이 아니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