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사용기

안녕하세요 JamesBae 입니다.

Kodi로 넷플릭스 보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다음 문서를 보고 제작하였습니다.

https://howtomediacenter.com/en/install-netflix-kodi-addon/

 

코디를 처음 실행 시키면 보이는 화면입니다.

좌측 상단의 톱니바퀴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해주세요.

kodi-0001.png

 

우측하단의 '시스템'을 클릭해주세요.

kodi-0002.png

 

좌측에 애드온 탭을 선택하여 알 수 없는 소스를 다운받을 수 있도록 체크해주어야 합니다.

kodi-0003.png

 

ESC 또는 마우스 우클릭으로 이전 화면으로 돌아옵니다.

파일 관리자를 선택합니다.

kodi-0004.png

 

소스 추가를 더블클릭합니다.

kodi-0005.png

 

 

하단에 해당 소스가 어떤 소스인지 알아볼 수 있도록 명칭을 입력해줍니다 > netflix

<없음> 부분을 클릭합니다.

kodi-0006.png

 

해당 창이 나오면 다음 주소를 입력해 준 뒤 확인을 누릅니다.

kodi-0007.png

 

확인을 누른 후 다음과 같이 netflix 폴더가 생겼다면 정상적으로 등록 된 것입니다.

kodi-0008.png

 

ESC를 계속 눌러 처음화면으로 돌아옵니다.

애드온을 선택합니다.

kodi-0009.png

 

좌측 상단의 박스그림이 그려져 있는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kodi-0010.png

 

'압축 파일에서 열기' 를 선택합니다.

kodi-0011.png

 

 

netflix라고 되어있는 부분을 선택합니다.

kodi-0012.png

 

압축파일을 선택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kodi-0013.png

 

'저장소에서 열기' 를 선택합니다.

kodi-0014.png

 

'CastagnalT Repository for Kodi 18.x (LEIA)' 를선택합니다.

kodi-0015.png

 

비디오 애드온을 선택합니다.

kodi-0016.png

 

Netflix를 선택합니다.

kodi-0017.png

 

우측 하단의 설치 버튼을 누릅니다.

kodi-0018.png

 

가장 최신버전을 선택합니다.

kodi-0019.png

 

추가 애드온을 설치한다는 내용입니다.

확인을 눌러줍니다.

이외에 추가적으로 창이 나온다면 '예'를 눌러 진행합니다.

kodi-0020.png

 

설치가 완료되면 열기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열기를 선택합니다.

설정은 입력한 넷플릭스 계정의 로그아웃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kodi-0021.png

 

로그인을 하지 않았다면 어떤 방법으로 로그인을 할지 물어봅니다.

기본적으로 이메일과 비밀번호로 로그인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선택해줍니다.

kodi-0022.png

 

가족이나 여러명이 하나의 계정을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이 선택화면이 나올 수 있습니다.

kodi-0023.png

 

 

넷플릭스 메인화면입니다.

원하시는 영화, 드라마 등을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검색하는 기능이 존재하는 것 같지만 동작을 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kodi-0024.png

 

영화를 선택하면 추가로 플레이어를 설치하는 내용이 나올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를 볼때 자막 또는 어떤 언어로 더빙 된 영상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접속했을 때의 대부분 영상들은 한국어로 더빙되어 있었습니다.

우측하단의 자막 버튼과 설정 버튼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kodi-0025.png

 

자막 버튼입니다.

3번째가 한국어로 자막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4번째가 영상을 실행했을 때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한국어 더빙)

kodi-0026.png

 

설정 버튼입니다.

오디오 스트림 전환을 통해 원어, 더빙 등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습니다.

kodi-0027.png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하모니카에 openbox 적용하기 (저사양PC용) [6] 1 마이쮸가이 2022.04.13 2810
공지 하모니카에서 공유한 공유폴더를 윈도우에서 접속하기 [13] 1 JamesBae 2022.04.12 2441
공지 저사양 하모니카 사용자를 위한 최적화 [3] 0 마이쮸가이 2021.03.23 21514
공지 나만에 하모니카 라이브/복원 usb를 만들기 **1.9.4한글버전(casper부팅 버그FIX)** [6] 0 마이쮸가이 2021.03.23 16462
공지 하모니카로 오락실 게임 즐기기 [5] 0 Kevin 2021.02.01 17264
공지 하모니카 4.0에서 스팀 설치하기(+게임 설치) 0 JamesBae 2021.01.22 10552
공지 하모니카로 구축하는 홈시어터 환경 [2] 0 Kevin 2021.01.20 17089
공지 하모니카에서 홈텍스 연말정산 하기 [1] 0 jullee 2021.01.20 17963
공지 하모니카 에서 OneDrive 사용하기 [7] 0 Kevin 2021.01.15 18453
» 하모니카 4.0 - Kodi로 넷플릭스 시청하기 [6] 0 JamesBae 2021.01.08 21592
69 하모니카 OS 에서 화면 색조절 하기 file 0 yeji 2020.11.01 641
68 하모니카 OS 에서 디스크 사용량 분석하기 file 0 yeji 2020.11.01 601
67 하모니카 OS 에서 도구로 마인드맵 만들기 file 0 yeji 2020.11.01 598
66 하모니카 OS 에서 다양한 문자 사용하기 file 0 yeji 2020.10.31 552
65 하모니카 OS 에서 가상 키보드 사용하기 [1] file 0 yeji 2020.10.31 910
64 하모니카 OS 에서 Zoom 사용하기 file 0 yeji 2020.10.31 725
63 하모니카에서 움짤만들어보기 file 0 jullee 2020.10.31 547
62 하모니카에서 컴퓨터 상태 확인해보기 [1] file 0 jullee 2020.10.31 1005
61 하모니카에서 드롭박스 사용하기 file 0 jullee 2020.10.31 1102
60 기본 터미널 말고 다른 터미널 사용해보기 file 0 jullee 2020.10.31 687
59 하모니카에서 ms office 사용하는 방법 file 0 jullee 2020.10.30 1196
58 하모니카에서 카카오톡 한글 중복 입력문제 해결하기 [3] file 0 jullee 2020.10.26 4744
57 하모니카 OS 에서 업데이트 관리하기 file 0 yeji 2020.10.01 868
56 하모니카 OS 에서 테마 바꾸기 file 0 yeji 2020.09.30 869
55 하모니카 OS 에서 PC 보안 관리하기 file 0 yeji 2020.09.30 760
54 하모니카 OS 에서 원격 서버로 파일 보내기 file 0 yeji 2020.09.30 686
53 하모니카 OS 에서 다른 OS 써보기 file 0 yeji 2020.09.30 834
52 하모니카 OS 에서 영상 편집하기 [1] file 0 yeji 2020.09.30 1218
51 하모니카에서 아이콘 커스터마이징 하기 file 1 0=2 2020.09.30 886
50 하모니카에서 호스트네임(컴퓨터 이름)바꾸기 file 0 0=2 2020.09.30 847
  • 하모니카 미디어 에디션
  • 설치가 필요없는 화상통화 하모니
loginbox2
아직 회원이 아니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