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출처: http://la-nube.tistory.com/370 [la Nube's Lab. | 라 누베 연구소]



Microsoft Out-Of-Band Security Update Patches Malware Protection Engine Flaw


99D95C455AC4E09F015EA6


(이미지 출처 : https://www.bleepingcomputer.com/news/security/microsoft-out-of-band-security-update-patches-malware-protection-engine-flaw/ )



지난 4월 3일, 마이크로소프트(MS)에서는 윈도 업데이트를 통하여 윈도 디펜더(Windows Defender)에 존재하는 보안 취약점 CVE-2018-0986에 대한 긴급 보안 패치를 발표하였습니다. 이 보안 취약점의 윈도 디펜더의 백신 엔진인 MMPE(Microsoft Malware Protection Engine)에 존재합니다.


MMPE는 악성코드를 검사하고 진단하여 제거하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백신 프로그램에 탑재되는 엔진입니다. 이 엔진을 사용하는 제품으로는 윈도 디펜더마이크로소프트 시큐리티 에센셜(MSE), 마이크로소프트 엔드포인트 프로텍션, 윈도 인튠 엔드포인트 프로텍션, 마이크로소프트 포어프론트 엔드포인트 프로텍션 등이 있습니다.



이번 보안 취약점의 등급은 크리티컬(Critical)입니다.


이번 취약점을 밝혀낸 구글의 보안 연구자에 의하면, 이 보안 취약점이 악용된 윈도 디펜더 등은 잡으라는 악성코드를 잡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공격자에게 악성코드를 무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하여 피해자의 시스템을 완벽하게 장악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게 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이번 보안 취약점의 등급을 가장 높은 등급인 크리티컬로 부여했습니다. 공격자는 피해자가 방문하는 웹사이트 방문시에 사용되는 자바스크립트 파일 내에 악성코드를 집어넣거나, 이메일의 첨부파일로 악성코드를 추가하거나, 인스턴트 메시지 클라이언트를 통해 부비트랩 파일을 보냄으로써 이 보안 취약점을 악용할 수 있습니다.


윈도 디펜더 등의 백신 엔진인 MMPE는 기본적으로 컴퓨터로 들어오는 모든 파일을 자동적으로 검사하기 때문에, 이 보안 취약점이 악용되기가 상당히 쉽다고 합니다. 게다가 윈도10에서는 타사의 백신이 없다면 윈도 디펜더가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기에, 모든 윈도10 시스템은 이번 보안 취약점에 취약하며 긴급 보안 패치를 필요로 합니다.



긴급 보안 패치는 48시간 내에 배포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나마 좋은 소식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윈도 디펜더 등의 백신 엔진인 MMPE에 대한 긴급 보안 패치를 발표하였으며, 윈도 업데이트를 하지 못하게 강제로 막아버리는 등의 일만 없다면 윈도 업데이트를 통하여 자동적으로 긴급 보안 패치가 적용됩니다.


긴급 보안 패치가 적용된 MMPE는 1.1.14700.5 버전이며, 일반적으로 48시간 내에 적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이번 보안 취약점을 발견한 구글 프로젝트 제로의 Thomas Dullien에게 특별한 감사를 전했다고 합니다.


이번에 MMPE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은 구글 프로젝트 제로에서 비슷한 사례로 4번째 발견한 것이며, 지난 12월에는 영국의 GCHQ에서 역시 비슷한 MMPE 보안 취약점을 발견하기도 하였습니다. 즉, 두 곳을 통틀어 이번에만 벌써 5번째인 유사한 보안 취약점입니다.



<참고>

https://www.bleepingcomputer.com/news/security/microsoft-out-of-band-security-update-patches-malware-protection-engine-flaw/



출처: http://la-nube.tistory.com/370 [la Nube's Lab. | 라 누베 연구소]

  • ?
    la_Nube 2018.04.04 23:23

    리눅스와 동시에 윈도를 쓰는 분들이 많을 것이므로 올립니다.

  • profile
    Kevin 2018.04.05 08:01
    항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profile
    행복한펭귄 2018.04.05 19:21

    대부분의 분들이 윈도우와 리눅스를 같이 사용하시고

    맥 매니아들은 맥OS, 윈도우, 리눅스를 같이 사용합니다.

    여하튼 윈도우는 두 부류 모두 사용하다보니 윈도우 보안 문제도 고려의 대상이 될 수 밖에 없네요.


  • ?
    바람곰돌 2018.04.05 09:34

    매번 감사드려요 ^^

  • ?
    Playing 2018.04.05 10:17

    좋은 글 잘 봤습니다

    운영체제를 만드는 회사의 보안 프로그램에 자체 문제가 있다니요...

    지금까지 세월이 얼마인가요

    갑자기 없다가 생겼다고 보긴 힘들지요

    보안을 높이기 위한 사용자들의 고난은 앞으로도 계속 될꺼 같습니다 ;;

  • ?
    재팔 2018.04.05 11:29

    좋은 정보 매번 감사합니다.

  • ?
    Moordev 2018.04.05 16:57

    발견이 되어서 다행이긴 합니다.

    Windows Defender는 3rd Party 백신을 설치하면 자동으로 비활성화 되는 특성이 있습니다만(제대로 된 백신 설치 전까지 임시로 쓰라는 말이지요.) 그러한 물건으로 인하여 보안구멍이 생기면 더더욱 안 되겠지요.


    일단 패치는 당연히 해야하고 Windows Defender를 믿고 쓰는 것이 아닌 믿을 수 있는 보안 솔루션을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 ?
    Ohnine 2018.04.05 19:13
    취약점이 이번에 나오긴했지만 윈도우디펜더도 최근에 엄청 좋아진걸로 알아요. 개인적으로는 클린하게 쓰면서 디펜더를 사용하는 걸 선호합니다 ^^.
    물론 7 버젼은 mse 따로 깔아야 함~~~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5585
2466 [질문]화면 회전 가능할까요? 1 0 바람곰돌 2016.11.07 6723
2465 [문의] 디클라우드 사용가능할까요? 0 Geenie 2016.11.09 6208
2464 nvidia shield table에, Linux가 설치되나요~? 1 0 식혜고양이 2016.11.19 6197
2463 문의]업데이트 오류 및 소프트웨어 검색오류 6 file 0 파란나무 2016.11.22 6364
2462 하모니카, 리눅스민트17 사용자입니다. 오늘 처음설치하였습니다.. 그런데 테마기능은 어디서...? 1 0 hensum2007 2016.11.22 6533
2461 문의]파이어폭스기능 6 0 파란나무 2016.11.24 6324
2460 리눅스 한글화 우분투 16.04 (퍼옴) 4 file 0 sdaabay 2016.11.26 7245
2459 ubuntu smartphone 소식이네요! 1 0 식혜고양이 2016.11.27 6290
2458 [설치] 라이브USB 설치후 바탕화면만 존재 5 file 0 유호준 2016.11.28 6612
2457 리눅스 민트 1 0 ศรีНью-ЙоркX 2016.11.28 5989
2456 확실히 데비안계열보다는 우분투계열이 쓰기 편한 듯 하네요 7 0 바람곰돌 2016.11.30 6615
2455 리눅스 민트 시나몬 1 file 0 ศรีНью-ЙоркX 2016.11.30 7012
2454 centOS 6.8을 깔아놓고 써보니까 리눅스민트나 하모니카가 훨씬 낫네요. 3 0 바람곰돌 2016.12.02 6557
2453 하모니카의 소스코드 공개를 요청합니다 1 0 onting 2016.12.05 6167
2452 [질문] antiX 16 한글입력기 문제 5 0 바람곰돌 2016.12.06 7626
2451 [해결] 업데이트 관리자 문제 4 0 krhamoni 2016.12.06 6559
2450 ukuu 데비안에서 작동됩니다. 5 0 바람곰돌 2016.12.08 6253
2449 하모니카 리눅스 제작진 여러분에게 건의 드립니다. 1 0 krhamoni 2016.12.07 5911
2448 리눅스 스팀 5 0 ศรีНью-ЙоркX 2016.12.09 6777
2447 실행 파일 (application/x-executable) 1 file 0 ศรีНью-ЙоркX 2016.12.10 783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