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664 추천 수 0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리눅스는 오래전 부터 관심을 가져 왔는데..초보자가 건드리기에는 너무 어려웠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윈도우에 익숙한 사용자들도 겁먹지 않고 사용할수 있는 리눅스가 배포되서 열심히 사용하면서 배우고 있습니다.

 

리눅스를 쓰려고 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최근에 window10 사용 중에 삭제했다거나 실수로 usb탈착을 잘못하지 않았는데도

알 수없는 이유로 폴더는 살아있는데 그 폴더 안 하위폴더도 그대로 존재하는데 해당 파일들이 대량으로 사라지는 현상을 자주 보게 되면서..

복구 프로그램을 돌려봐도 아무런 흔적이 없어서 인터넷에 검색을 해보니 다른 사용자들도 이런 문제에 노출되었다는 내용을 보고

리눅스를 사용해보려고 설치하고 사용 중입니다.

 

물론 아직도 리눅스를 구동하는 언어에는 익숙하지 않습니다.

 

하모니카 커뮤니티를 통해서 저에게는 어려운 문제들을 자문하고 풀고 사용중입니다.
 

 

서론이 길었는데..

 

다름이 아니라

 

하모니카 리눅스를 필두로 우분투 그리고 민트 리눅스를 각기 다른 컴퓨터에 장착하고 사용 중입니다.

window와 유사하다는 winfx도 시도해봣으나 삭제하고 한꿈 리눅스는 맛보기로 시험삼아 깔았다가 삭제하고

현재는 위에 언급한 세가지, 하모니카, 우분투, 민트를 사용 중에 있습니다.

 

한글의 사용빈도가 높다보니..

 

한컴에서 제공하다가 배포 중지한 한글 2020 베타 버전을 입수해서 세 종류의 리눅스에 설치했는데..

하모니카 와 우분투에서는 한글2020의 메뉴 언어가 자동으로 한국어로 되어있지만 민트에서는만 영어로 설치가 되어서

설정에서 수정이 가능한지 보아도 그런 것은 보이지 않습니다.

 

기초적인 영어라 사용하는데는 별다른 문제는 없는데..알고 싶은 것이 같은 설치본인데 왜 민트리눅스에서는

사용메뉴언어가 영어로 되고 한글전환이 안되는건지 궁금합니다.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초보 리눅스 사용자...

 

..

 

스크린샷, 2021-09-19 20-17-34.png

 

  • ?
    Moordev 2021.09.19 21:21
    한글 실행 아이콘의 속성을 열면
    /opt/hnc/hwp 이런식으로 써있습니다.

    그 앞에
    export LANG=ko_KR.UTF-8
    이 한문장을 써주세요.

    그러니까

    export LANG=ko_KR.UTF-8 /opt/hnc...

    이런식으로요
  • ?

    속성을 열어보니 /opt/hnc/hoffice11/Bin/hwp %f 라고 되어있고 알려주신대로 

    export LANG=ko_KR.UTF-8 /opt/hnc/hoffice11/Bin/hwp %f 채워넣고닫고 한글 다시 여니

    첨부파일처럼

    <실행 프로그램에 오류가 생겼씁니다>..라고 경고 문구가 뜨고 실행이 안됩니다..

     

    스크린샷, 2021-09-19 21-38-36.png

     

  • ?

    한글 2022 Beta 속성_001.png

     

    명령어:   /bin/bash -c "LANGUAGE=ko_KR /opt/hnc/hoffice11/Bin/hwp %f" 

    저는 속성에 이렇게 되어 있네요 /usr/share/applications 관리자 권한 모드로 열기 하셔서 속성 수정하면 되지 않을까 싶네요

     

  • ?

    도움 말 고맙습니다.

     

    그런데 여전히 한글 2022에서 한/영 키로 전환해도 영타가 한글로 전환은 되지 않네요.

    키보드 설정에서 바꿔줫는데.. 뭘 잘못한건지...

     

    추가 도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스크린샷, 2021-09-20 12-25-35.png

     

    스크린샷, 2021-09-20 12-25-52.png

     

  • ?
    떠똘2 2021.09.20 14:51

    한글이 설치되어 있는 폴더에서 찾으시면 나올겁니다 /platforminputcontexts 이폴더에  libqt5im-tian.so <--티엔 또는 libqt5im-nimf.so <-- 님프 중 원하시는것 넣으면 될듯하네요 kime는 사이트에서 다운후 libkime-qt-5.11.3.so  붙여넣으니 바로 한글입력이 되네요  

    입력기는 님프나 tian kime 현재 3개는 테스트 하니 정상 입력됩니다 입력기는 설치후 재부팅한다음 한글 입력됩니다

    예을 들어 kime 설치

    wget https://github.com/Riey/kime/releases/download/v2.5.5/kime_debian-buster_v2.5.5_amd64.deb

    다운로드후 터미널 입력창에  sudo apt install ./kime_debian-buster_v2.5.5_amd64.deb

    설치후 im-config 실행 kime 입력기 선태하시면 됩니다  하모니카 4.0 jin 경우 시작 메뉴에 한글 입력기가 표시 안되는 증상 있는되요 

    패널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문제 해결 모든 설정을 기본값으로 복구 하시면 입력기가 나타납니다

    재부팅하셔야 한글 입력이 정상적으로 됩니다

    나머진 입력기는 게시판 찾아 보시면 될듯하네요

  • ?
    haseungwun 2021.09.20 19:29

    알려주신 정보 고맙습니다.

     

    아래에 다른 분 moordev님이 알려주신 내용대로 먼저 해봤는데..한영전환이 가능해졌습니다.

     

    알려주신 내용은 기억해 두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
    Moordev 2021.09.20 14:51
    /opt/hnc/hoffice/Bin 안에 있는 qt폴더의 이름을 바꾸시면 시스템 QT를 쓰게 됩니다.

    간혹 일부 라이브러리가 없을수도 있는데
    sudo apt install qt5-default qtwayland5

    이걸로 시스템 QT라이브러리를 설치하시면 될겁니다.
  • ?

    qt폴더이름을 바꾸고

     

    sudo apt install qt5-default qtwayland5

    를 실행하고 재부팅하고 나니 한영전환이 한/영 키로 가능해졌습니다.

     

    조언 고맙습니다.

     

    힘들지만 즐거운 추석명절 보내시기 바랍니다.

     

     

    ..스크린샷, 2021-09-20 19-22-25.pn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51 프린세스메이커3 리눅스에서 구동하기 0 Moordev 2020.12.31 638
750 xrdp 로그인 시 1 0 vecter 2020.12.30 595
749 고전게임 에코퀘스트 file 0 Yueunseon 2020.12.30 590
748 블루투스 관련 문의 드립니다. 6 0 limbirdy 2020.12.28 723
747 버추얼박스 디스크를 로컬설치된하모니카에 마운트 할 수 있을까요? 2 0 Japser 2020.12.28 575
746 센트OS 대안은 누구?...록키리눅스 "내년 2분기 첫 릴리즈 내놓겠다" 1 0 프리나눔 2020.12.26 667
745 nimf 설치 질문 7 file 0 Yueunseon 2020.12.25 661
744 텍스트 인코딩 관련 문의 1 0 Japser 2020.12.24 604
743 FreeCAD 설치에 관한 문의입니다. 2 0 잘몰라요. 2020.12.24 714
742 cmake로 된 소스를 AMD64에서 ARM64패키지로 만드는법을 아시는 분 3 0 Moordev 2020.12.24 712
741 좋은 클립보드 프로그램 있나요? 2 0 whale 2021.01.07 595
740 레드햇은 왜 센트OS 리눅스를 버렸나 2 0 프리나눔 2020.12.22 729
739 KDE에 오류가 납니다. 3 0 잘몰라요. 2020.12.22 584
738 우분투 snap store 파일 설치 관리 기능에 대해 4 0 Japser 2020.12.18 773
737 터미널 실행 단축키 설정에 관한 질문입니다. 1 0 잘몰라요. 2020.12.18 742
736 英 테크 유튜버, 최신 안드로이드 기기 대신 리눅스 스마트폰 구매한다? 2 0 프리나눔 2020.12.17 715
735 하모니카 인터페이스를 우분투에서 사용할 수 없나요? 1 0 잘몰라요. 2020.12.15 754
734 하모니카 kde 간단 후기 2 file 0 Fomalhaut 2020.12.13 900
733 사지방 부팅시 'VPN 서버 연결시간이 초과되었습니다' 오류 1 0 전역하고픔 2020.12.11 2590
732 금융사이트 지원 프로그램 file 0 민트쪼아요 2020.12.10 692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95 Next
/ 9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