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출처: http://la-nube.tistory.com/370 [la Nube's Lab. | 라 누베 연구소]



Microsoft Out-Of-Band Security Update Patches Malware Protection Engine Flaw


99D95C455AC4E09F015EA6


(이미지 출처 : https://www.bleepingcomputer.com/news/security/microsoft-out-of-band-security-update-patches-malware-protection-engine-flaw/ )



지난 4월 3일, 마이크로소프트(MS)에서는 윈도 업데이트를 통하여 윈도 디펜더(Windows Defender)에 존재하는 보안 취약점 CVE-2018-0986에 대한 긴급 보안 패치를 발표하였습니다. 이 보안 취약점의 윈도 디펜더의 백신 엔진인 MMPE(Microsoft Malware Protection Engine)에 존재합니다.


MMPE는 악성코드를 검사하고 진단하여 제거하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백신 프로그램에 탑재되는 엔진입니다. 이 엔진을 사용하는 제품으로는 윈도 디펜더마이크로소프트 시큐리티 에센셜(MSE), 마이크로소프트 엔드포인트 프로텍션, 윈도 인튠 엔드포인트 프로텍션, 마이크로소프트 포어프론트 엔드포인트 프로텍션 등이 있습니다.



이번 보안 취약점의 등급은 크리티컬(Critical)입니다.


이번 취약점을 밝혀낸 구글의 보안 연구자에 의하면, 이 보안 취약점이 악용된 윈도 디펜더 등은 잡으라는 악성코드를 잡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공격자에게 악성코드를 무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하여 피해자의 시스템을 완벽하게 장악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게 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이번 보안 취약점의 등급을 가장 높은 등급인 크리티컬로 부여했습니다. 공격자는 피해자가 방문하는 웹사이트 방문시에 사용되는 자바스크립트 파일 내에 악성코드를 집어넣거나, 이메일의 첨부파일로 악성코드를 추가하거나, 인스턴트 메시지 클라이언트를 통해 부비트랩 파일을 보냄으로써 이 보안 취약점을 악용할 수 있습니다.


윈도 디펜더 등의 백신 엔진인 MMPE는 기본적으로 컴퓨터로 들어오는 모든 파일을 자동적으로 검사하기 때문에, 이 보안 취약점이 악용되기가 상당히 쉽다고 합니다. 게다가 윈도10에서는 타사의 백신이 없다면 윈도 디펜더가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기에, 모든 윈도10 시스템은 이번 보안 취약점에 취약하며 긴급 보안 패치를 필요로 합니다.



긴급 보안 패치는 48시간 내에 배포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나마 좋은 소식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윈도 디펜더 등의 백신 엔진인 MMPE에 대한 긴급 보안 패치를 발표하였으며, 윈도 업데이트를 하지 못하게 강제로 막아버리는 등의 일만 없다면 윈도 업데이트를 통하여 자동적으로 긴급 보안 패치가 적용됩니다.


긴급 보안 패치가 적용된 MMPE는 1.1.14700.5 버전이며, 일반적으로 48시간 내에 적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이번 보안 취약점을 발견한 구글 프로젝트 제로의 Thomas Dullien에게 특별한 감사를 전했다고 합니다.


이번에 MMPE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은 구글 프로젝트 제로에서 비슷한 사례로 4번째 발견한 것이며, 지난 12월에는 영국의 GCHQ에서 역시 비슷한 MMPE 보안 취약점을 발견하기도 하였습니다. 즉, 두 곳을 통틀어 이번에만 벌써 5번째인 유사한 보안 취약점입니다.



<참고>

https://www.bleepingcomputer.com/news/security/microsoft-out-of-band-security-update-patches-malware-protection-engine-flaw/



출처: http://la-nube.tistory.com/370 [la Nube's Lab. | 라 누베 연구소]

  • ?
    la_Nube 2018.04.04 23:23

    리눅스와 동시에 윈도를 쓰는 분들이 많을 것이므로 올립니다.

  • profile
    Kevin 2018.04.05 08:01
    항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profile
    행복한펭귄 2018.04.05 19:21

    대부분의 분들이 윈도우와 리눅스를 같이 사용하시고

    맥 매니아들은 맥OS, 윈도우, 리눅스를 같이 사용합니다.

    여하튼 윈도우는 두 부류 모두 사용하다보니 윈도우 보안 문제도 고려의 대상이 될 수 밖에 없네요.


  • ?
    바람곰돌 2018.04.05 09:34

    매번 감사드려요 ^^

  • ?
    Playing 2018.04.05 10:17

    좋은 글 잘 봤습니다

    운영체제를 만드는 회사의 보안 프로그램에 자체 문제가 있다니요...

    지금까지 세월이 얼마인가요

    갑자기 없다가 생겼다고 보긴 힘들지요

    보안을 높이기 위한 사용자들의 고난은 앞으로도 계속 될꺼 같습니다 ;;

  • ?
    재팔 2018.04.05 11:29

    좋은 정보 매번 감사합니다.

  • ?
    Moordev 2018.04.05 16:57

    발견이 되어서 다행이긴 합니다.

    Windows Defender는 3rd Party 백신을 설치하면 자동으로 비활성화 되는 특성이 있습니다만(제대로 된 백신 설치 전까지 임시로 쓰라는 말이지요.) 그러한 물건으로 인하여 보안구멍이 생기면 더더욱 안 되겠지요.


    일단 패치는 당연히 해야하고 Windows Defender를 믿고 쓰는 것이 아닌 믿을 수 있는 보안 솔루션을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 ?
    Ohnine 2018.04.05 19:13
    취약점이 이번에 나오긴했지만 윈도우디펜더도 최근에 엄청 좋아진걸로 알아요. 개인적으로는 클린하게 쓰면서 디펜더를 사용하는 걸 선호합니다 ^^.
    물론 7 버젼은 mse 따로 깔아야 함~~~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3013
2444 usb 로 설치 를 쉽게 할 수 있는 어플도 같이 배포해 주셨으면 좋을 거 같습니다. 그리고 백업 복원기능 도요 2 0 aaa777 2015.01.22 20655
2443 리눅스민트 18.3 실비아(MATE) 정식버전 한국어판 배포 32 0 Moordev 2017.11.28 17543
2442 VirtualBox에 설치가 안되나요? 6 file 0 lucas 2014.12.03 17097
2441 루트 비번 뭐에요? 4 0 금총이 2014.12.02 17059
2440 리눅스 편하게 쓸 수 있는 세상? 2 0 세벌 2014.12.15 16911
2439 하모니카 5.0 Hanla 64bit 릴리즈 노트 9 file 0 JamesBae 2021.10.12 16745
2438 그래픽 카드가 시스템 정보에서 보이지가 않습니다. 원래 표기가 안되는 겁니까? 4 file 0 친절한우주인 2014.11.29 16596
2437 바이러스백신 프로그램 추천 부탁드려요 6 0 프리 2015.01.05 16100
2436 설치하려고 부팅시 문제 ::바이오스 사진 올려드렸습니다:: 10 0 레디크 2015.02.16 16086
2435 커뮤니티 배포판 마당을 통해 배포판 공급 활성화시키기 23 0 행복한펭귄 2017.12.02 15856
2434 [질문] MAME 에뮬레이터에서 게임 즐기는 방법 알려주셈 6 file 0 행복한펭귄 2016.01.19 15571
2433 윈도우 10과의 멀티부팅 9 0 cloud 2015.11.16 15463
2432 드디어 기다리던 한국형 OS가 나왔네요 1 0 허창원 2014.12.01 15359
2431 크롬북 C720. 설치가 되지 않습니다. 2 0 coffee 2014.11.27 15158
2430 아래아한글(HWP)설치 가능합니까? 5 0 하모니카기대맨 2014.12.29 15102
2429 우분투 사용하다가 하모니카 베타로.. 정식버젼이 기대됩니다. 3 0 잉구탱구 2014.12.03 14950
2428 .bashrc 사용자 설정 추가해 주세요 1 0 레인 2014.11.17 14588
2427 하모니카 4.0 Jin 64bit 릴리즈 노트 10 file 0 Kevin 2020.11.18 14425
2426 UEFI 설치.. 2 0 파도소리 2014.12.02 14028
2425 키보드 입력이 안됩니다. 2 0 난무료게임만햐 2014.12.02 1395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