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2,911
어제:
4,751
전체:
3,937,589

자유게시판

2021.11.26 15:40

포맷 문의

조회 수 1483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디스크에서 볼륨 포맷을 하면 '지우기'가 있고,

 

'기존의 데이터 덮어쓰기, 오래 걸립니다.'라고 되어 있는데요,

 

포맷 방식을 검색해 보니,

 

빠른포맷, 일반포맷, 로우포맷이 있고, 제로필 등의 용어도 나오는데,

 

하모니카의 지우기의 포맷은 어떤 방식인지요?

 

아울러 윈도우에서 빠른포맷 체크 해제하고 일반적으로 하는 포맷도 제로필로 덮어쓰기 하여,

 

저장장치의 복구가 굉장히 어려운 방식인지 문의드립니다.

  • ?
    Moordev 2021.11.26 17:12
    하모니카의 기본 옵션은 일반포맷을 채택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윈도우의 빠른포맷 체크해제도 일반포맷입니다.

    디스크의 포맷이란건 일종의 건물을 세우기위한 땅다지기 정도라고 합니다. 데이터들을 건물이라 생각하면 포맷은 재개발을 위해 터다지기를 하는 셈이지요.

    대충 예시로 들면

    빠른포맷 : 재개발을 위한 주소말소만 끝낸상황 거기에 뭐가 있던 그건 관심없고 서류상 빈땅이 된 것. (그래서 빈것으로 표기되어있지만 건물들은 그대로 있음)

    일반포맷 : 기존 건물도 해체하고 건물을 올리기 좋게 구역나누기까지 완료된 상황.

    로우포맷 : 지하를 완전히 파내서 땅 속 구조물(수도관이나 통신관 같은것)까지 해체 및 재설치 작업하는 것. 그래서 로우포맷 툴을 잘 못 쓰면 구조물을 잘 못 건드려 디스크가 망가지기도 합니다. (요즘 로우레벨 포맷은 저렇게 까지 안 건드린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제로필 : 지하는 건들지 않지만 땅위의 모든것을 치워버리는 것. 그냥 허허벌판으로 만들어버리는 겁니다.
  • ?
    마이쮸가이 2021.11.26 17:19

    하모니카나 윈도우나 포맷방식은 같습니다.

    정도로 사용된 용어의 차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지우기 = 빠른포맷 = 지웠다 치고 필요할 때 마다 쓰기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지우고 새로 쓰기 때문에 복구가 용이합니다.

                                   말 그대로 지웠다 치는 것이기에 해당 영역에 새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 이상 다른 영역의 데이터는 남아 있습니다.

     

    일반포맷 = 기존의 데이터 덮어쓰기 = 지정된 볼륨의 데이터를 0으로 덮어쓰기 합니다.

                                                           해당 영역을 0으로 다시 쓰기 했으므로 고도의 장비로 복구하지 않는 이상 일반인이 프로그램을 통해

                                                           복구하는 것은 힘듭니다. 0으로 채우기는 하지만 지정된 영역에 새로 데이터를 쓰는 작업이므로 시간이 걸립니다.

     

    로우포맷 = 공장 초기화 = 파티션 볼륨 단위가 아닌 디스크를 초기화 합니다. 디스크의 모든 영역을 0 혹은 더미 데이터를 덮어쓰기 하고 마지막에는

                                          파티션 정보까지 삭제하여 디스크를 완전히 초기화 합니다.

                                         

    일반포맷과의 차이점이라고 하면 일반포맷은 파티션 기준으로 포맷을 진행하고 로우포맷은 디스크 기준으로 포맷을 진행함으로

    로우포맷의 작업량이 더 많아 시간이 더 걸린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500 기가짜리 디스크에 포함된 100기가의 파티션을 포맷하는 것과 500기가를 통으로 포맷하는 것은 그 물리적 양의 차이가 있습니다.

    게다가 로우포맷을 진행하는 여러 방법 중 0 혹은 더미 데이터를 덮어쓰기 하는 과정을 2-3회 반복하는 경우도 있어서 그 시간 차이는 더 커진다고 봅니다.

     

    일반인 영역에서 보안을 위해 포맷을 진행하신 다면 일반포맷으로 어느정도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보통은 일반포맷 정도를 추천합니다만

    아주 민감한 데이터의 파기는 시간을 들여 로우포맷을 하던지 아니면 아예 디가우징 하여 디스크를 파기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 ?
    탁구공 2021.11.26 17:42
    친절한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궁금증이 깔끔하게 해소되었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20 다계층 인증 체계가 필요한 핵심적인 이유 file 0 BaroPAM 2025.07.05 20
2119 넷플릭스, 美 NASA와 맞손…우주 탐사 실시간 중계한다 0 context 2025.07.02 28
2118 한국의 검색 AI 서비스들 공유! 0 context 2025.07.04 36
2117 건강과 장수의 비결!!! 0 진리수호 2025.06.25 45
2116 Google, 리눅스 재단에 에이전트2에이전트 프로토콜 기부 0 context 2025.06.27 54
2115 구형 아이폰7 을 어떤 용도로 사용하면 좋을까요? 현재 시점에서요. 1 0 context 2025.06.30 55
2114 2025 에너지바우처 총정리 0 leegori 2025.06.20 56
2113 다계층 인증 체계와 다중 인증(MFA)과의 차이 file 0 BaroPAM 2025.06.15 72
2112 여러분들 긱뉴스 사이트 아시죠~ 0 context 2025.06.18 79
2111 삼성폰 이번 업데이트 불편하신분들 해결방법 공유해봅니다. file 0 해바라기29 2025.06.13 82
2110 혹시 아치 사용하시는 분이 좀 계신가요. 3 0 powwow 2025.07.01 104
2109 AMD, OpenAI의 최신 칩을 활용한 AI 서버 공개 (feat. 엔비디아) 0 context 2025.06.15 105
2108 SKT와 예스24 사고를 바라 보면서 file 1 BaroPAM 2025.06.21 116
2107 벌써 부터 하모니카 9.0이 기대되는 것은 무엇때문일까요? 1 0 가림토 2025.07.02 121
2106 제 구형 amd 노트북에서 fedora 42 설치도 쉬워지고 부트 그룹 오류도 안나네요. 1 0 가림토 2025.06.27 122
2105 네이버 페이, 오프라인 결제 단말기 내놓는다 0 context 2025.05.30 130
2104 윈도우 10 지원 종료전에 꼭 해야하는 것 2 file 0 해바라기29 2025.06.30 135
2103 세레브라스 WSE-3 최고 속도 AI 칩 0 leaveoiop 2025.05.17 145
2102 한 판 깨기도 어려운 캐주얼 게임 0 context 2025.06.20 150
2101 가입 인사 드립니다. 0 깔치 2025.05.12 16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6 Next
/ 106
CLOSE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