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1,498
어제:
2,923
전체:
3,960,868

하모니카 묻고답하기

2018.03.14 13:07

블랜더3D 영화 소식

조회 수 4953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블랜더란?

https://namu.wiki/w/Blender


○ 블랜더 한국 사용자 모임

http://www.xn--9m1bm3gl6f.org/


○ 블랜더 전문 서적

http://www.upaper.net/fssupa/1111698

블랜더 전문 서적 작가가 저술한 여러 가지 책들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초보자부터 차근 차근 이해하기 쉽게 실무 위주로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무료 3D 저작 도구로 유명한 블랜더를 이용하여 단편 영화들이 제작, 보급되고 있습니다.


1280px-Elephants_Dream_s5_both.jpg

https://en.wikipedia.org/wiki/Elephants_Dream


800px-Big_buck_bunny_poster_big.jpg


https://en.wikipedia.org/wiki/Big_Buck_Bunny


800px-Sintel_poster.jpg


https://en.wikipedia.org/wiki/Sintel


위의 3편의 단편 영화가 모두 블랜더로 만들어졌습니다.

외국에서는 오픈 소스 그래픽 도구를 이용한 이런 시도들이 많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오픈 소스 저작 도구 전문 아티스트도 활동 중입니다.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중이죠. ㅋㅋ


이런 식으로 FOSS 및 오픈 소스 프로그램 및 OS가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면서 확장 중에 있습니다.

제가 늘 말하는 것이 이런 것을 두고 하는 말입니다.


국내에서는 아이폰 만으로 촬영하여 영화가 만들어졌다고해서 화제가 되었던 적이 있는데,

블랜더와 같은 오픈 소스 3차원 저작 도구를 이용하여 국내 단편 및 장편 영화도 만들어 지면 새로운 시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그 가능성을 위의 3가지 단편 영화가 보여주고 있습니다.


시장은 자연스럽게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니라, 개척해서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3D 그래픽에 관심 있으신 분엔 블랜더를 애용해 보실 것을 권장합니다.


윈도우, 맥OS, 리눅스 3대 OS에서 모두 만족스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


영화계에 각광받는 리눅스

http://news.joins.com/article/986081


타이타닉, 슈렛, 기타 다양한 곳에서 국내외를 막론하고 리눅스로 그래픽 작업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기사를 자세히 보면 알겠지만 예전에는 유닉스 기반의 솔라리스 그래픽 시스템을 애용하다가 윈도우 계열로 넘어오고 지금은 무료에다 커스터마이징에 최적화된 리눅스로 그래픽 분야로 넘어왔습니다.


무료, 오픈 소스, 커스터마이징의 최적화, 완벽에 가까운 커뮤니티....

삼위일체를 모두 갖춘 운영체제는 뭘까요?

바로 리눅스입니다.

이를 시장이 잘 반영해 주고 있습니다.

지금은 초창기라서 일부 영역에서만 사용되고 있지만, 이런 좋은 장점이 더욱 부각되면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리눅스를 다양하게 응용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시장이 돌아가고 만들어질 것입니다.


  • ?
    호랑애기 2018.03.14 16:12

    그렇죠 시장은 개척하는 것이죠. 우리나라에서도 blender 가 많이 사용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profile
    행복한펭귄 2018.03.15 18:26

    솔직히 3차원 그래픽 툴들이 완전하게 공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일반 대중들이 3D 툴을 이용하여 이런 시도를 할려고 하시는 분들은 상당히 적을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모든 사람들에게 그런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으니 정말 좋지만 말입니다.


    아무래도 동영상 제작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계신 분이나, 그래픽 분야에 관심이 있거나 전공 분야가 그런 사람들에게 블랜더는 더욱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블랜더는 알게 모르게 다양한 분야에서 지금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외국을 기준으로 얘기 드린 것이고 아쉽게도 한국에서는 지금은 단순한 소개 정도로만 소개되고 극히 일부의 매니아 층에서 사용 중에 있습니다. 더욱 활성화되었으면 하는 개인적 바램이 있습니다.


    블랜더 하나 만으로 영화를 제작할 수 있을 정도라면 어느 정도 가치가 있고 활용 범위가 넓은지 스스로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게임 제작에도 많이 사용됩니다. 응용 분야가 생각보다 넓습니다. 블랜더의 대중화를 꿈꿉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2 1 Kevin 2019.11.18 323112
899 하모니카_테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폰트설치.. 변경은 어떻게 하는것인가요? 9 0 신성 2019.03.25 6734
898 동기화 프로그램 syncthing에 대한 문의입니다. 1 0 신성 2019.09.16 6731
897 하모니카 6.0 블루투스 마우스 인식이 안됩니다. 2 0 레프 2022.11.30 6729
896 upzip가 안되네요, 1 file 0 예안고 2023.10.24 6729
895 CrossOver 17.5.0 출시 4 file 0 행복한펭귄 2018.05.09 6728
894 안녕하세여... 또왔어요... 8 0 아이고이아 2019.06.15 6728
893 삼* 갤럭시* 이온 노트북에 하모니카3.0 설치에러 13 0 사랑받는자 2020.05.31 6726
892 컴퓨터 사용 기록을 볼 수 있을까요? 7 0 관우 2019.12.07 6723
891 하모니카 3.0 웹 브라우저 검색 도중 다운됩니다. 1 0 포토슬럼프 2019.11.29 6722
890 cpu 온도체크 psensor 설치오류 좀 봐주세요ㅠㅠ 3 file 0 KDS 2020.06.16 6721
889 중국산 CCTV, 백도어 공포 (한국일보) 4 0 la_Nube(누베) 2018.08.08 6720
888 하모니카 4.0. 문의 1 0 나님 2020.11.26 6720
887 라이선스 중복문제. 1 0 민간인28호 2021.04.02 6719
886 [소식] 우분투 리눅스 인포그래픽 안내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09 6718
885 인텔 관련 이슈 8 0 변신 2018.01.03 6718
884 번역에 기여하려면 어떻게 시작해야합니까? 4 0 MJY 2021.01.25 6718
883 "업데이트 메니저 오류" 해결 방법 (명령어) 실행 후 무선 wifi 가 먹통이 됩니다. 13 0 youngman 2020.12.16 6717
882 하모니카 전세계 순위, \디스트로워치기준 1 file 0 꿈나무 2022.08.06 6716
881 하모니카 3.0하고 Media edition이라는 1.4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4 0 bigma 2020.04.10 6712
880 하모니카4.0 사용하고 있는데...모니터 변경후 사운드가 돌아오질 않네요... 4 0 기즈모 2021.03.28 6712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133 Next
/ 133
CLOSE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