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2,703
어제:
3,997
전체:
3,676,925

자유게시판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전자신문] 최근 침해사고는 중앙 집중형 시스템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해커들은 중앙 집중형 서버에 침투하여 시스템을 장악하고 정보를 유출해 도용 및 악용하거나, 관리콘솔에 악성코드 삽입, 정보를 삭제한 후 시스템을 무력화시켜 서비스를 불능 상태로 만든다.

 

이는 기업에 커다란 피해를 준다. 이처럼 중앙 집중형 시스템은 보안에 있어서 여러가지 취약한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중앙 집중형 시스템은 논리적인 망구성의 변경이나 우회경로가 해커들에게 쉽게 뚫릴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스템의 사용자·시스템·계정정보가 유출돼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중앙 집중형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면 전체 시스템에 접근이 불가능해지고 사용자들이 시스템 접근이 어려워진다. 또 중앙 집중형은 '단일 지점 공격'에 의한 시스템 전체가 장악되거나, 파괴될 수 있는 기술적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20250202_064132.png

 

다계층 인증 체계(Multi-layer authentication system)는 중앙 집중식의 단점을 보완하여 탈중앙화 방식으로 보안의 위험을 분산시켜 단일 지점 공격으로 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레이어별로 인증 체계를 적용하는 보안 방식이다.

 

중앙 집중형 시스템에서 탈중앙화 방식의 다계층 인증 체계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탈중앙화 보안은 단일 지점 공격을 없애고, 사용자 식별 및 인증을 정보 자산의 레이어별로 분산해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한다. 중앙 집중형 시스템에서의 해킹은 전체 시스템의 서비스 중단을 초래할 수 있지만, 분산된 시스템에서는 개별 노드(레이어)의 공격이 전체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두 번째로 중앙 집중형은 해커들의 단일 지점 공격의 표적이 되어 집중 공격을 받아 서비스가 중단돼 최악의 경우 서비스나 시스템에 접속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해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그러나, 탈중앙화 방식은 해커들의 공격으로 인한 서비스가 중단 상황을 최소화 시켜 신뢰를 증가시켜 저항력 있는 시스템이다. 즉, 탈중앙화는 분산된 형태로 운영되기 때문에 개별 노드의 고장이나 공격에도 시스템이 계속해서 운영될 수 있다. 이는 시스템의 저항력을 향상하고 서비스 중단을 방지할 수 있다.

 

세 번째로 탈중앙화된 방식은 중앙 집중화된 구조에 비해 더 빠르게 사용자 식별 및 인증을 통한 프로세스를 신속히 처리할 수 있다. 중앙 집중형 시스템에는 중계자의 처리 시간과 규제 등이 프로세스 처리 속도를 늦출 수 있지만, 탈중앙화된 시스템은 이러한 제약을 줄어 신속한 프로세스 처리가 가능하다.

  

종합적으로 탈중앙화 방식의 보안은 신뢰성, 비용 효율성, 보안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현대 사회와 기술 분야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제로 트러스트 보안은 '신뢰하지 말고 항상 검증하라'는 원칙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내외부의 모든 접속을 철저히 검증하고 최소 권한 원칙을 적용한 것이다.

 

앞서 살펴본 대로 기존 보안 전략으로는 더이상 침해 사고를 막을 수 없으며, 보안 전략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다계층 인증 체계는 제로 트러스트 보안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며, 레이어별로 인증을 강화해 네트워크 보안을 혁신하는 가장 안정적인 해결책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91 화웨이, 자체 OS 탑재 첫 노트북 출시…"MS·애플에 도전장" 0 context 2025.05.09 47
2090 현재의 보안 체계로는 이젠 침해사고를 막을 수 없다 file 0 BaroPAM 2025.05.04 91
2089 오늘부터 연휴인데 다들 어디가시나요? 0 해바라기29 2025.05.02 65
2088 SKT 유심해킹 관련한 사용자들의 대비 방안 0 context 2025.05.02 87
2087 wine mono 설치 저만 이럴까요? 1 file 0 kaboom45 2025.04.28 128
» 중앙 집중형 시스템에서 탈중앙화 방식의 다계층 인증 체계 도입의 필요성 file 0 BaroPAM 2025.04.25 1812
2085 구글이 크롬을 매각해야 할 경우 퍼플렉시티가 크롬 인수를 원해. 0 context 2025.04.24 1206
2084 다계층 인증 체계의 필요성 file 1 BaroPAM 2025.04.19 2848
2083 제로 트러스트 모델과 다계층 인증 체계와의 관계 file 1 BaroPAM 2025.04.12 2671
2082 솔직히 무섭네요 0 민지렁이 2025.04.10 1017
2081 기존 보안 솔루션으로는 이젠 막을 수 없다. file 0 BaroPAM 2025.04.06 1940
2080 사용자들이 구독 비용을 피하기 위해 LibreOffice 다운로드 증가 1 0 context 2025.03.30 930
2079 다계층 인증 체계를 도입해야 하는 이유 file 0 BaroPAM 2025.03.28 1880
2078 “작은 차이가 생산성을 바꾼다” 윈도우 기본 앱 대체 툴 10선 1 0 context 2025.03.21 902
2077 다계층 인증 체계(Multi-layer authentication system)란? file 0 BaroPAM 2025.03.18 2079
2076 밸브, 스팀OS를 데스크톱 PC에 곧 출시할 것 (펌) 4 1 context 2025.03.17 924
2075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은 한국만 쓴다? file 0 context 2025.03.15 762
2074 동시통역 이어폰이 나왔답니다. 0 하모니카7 2025.03.15 624
2073 새로운 Rust 기반 NVIDIA 'NOVA' 드라이버, 리눅스 6.15에 앞서 제출 완료(펌) 1 0 하모니카7 2025.03.12 753
2072 구글 픽셀, 데비안 기반 리눅스 터미널 실행 지원 3 file 0 하모니카7 2025.03.09 84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5 Next
/ 105
CLOSE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