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다름이아니라 윈도우기반으로 사용하고 있는 데스크탑을 완전 리눅스 기반으로 바꿔 사용하려고 합니다.
초짜같은 질문이지만....
지금 컴퓨터가 C랑 D드라이브로 나눠져있는데
윈도우가 설치되어있는 C를 리눅스로 덮어버리면 D의경우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들어있는 파일등을 바로 리눅스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지
아니면 외장하드에 옴기고 포맷 후 리눅스를 설치해야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다름이아니라 윈도우기반으로 사용하고 있는 데스크탑을 완전 리눅스 기반으로 바꿔 사용하려고 합니다.
초짜같은 질문이지만....
지금 컴퓨터가 C랑 D드라이브로 나눠져있는데
윈도우가 설치되어있는 C를 리눅스로 덮어버리면 D의경우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들어있는 파일등을 바로 리눅스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지
아니면 외장하드에 옴기고 포맷 후 리눅스를 설치해야되는지 궁금합니다.
C에 리눅스를 깔면 윈도우랑 똑같이 D의 데이터를 그냥 내 컴퓨터에서 열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박정규님의 글을 보고 문득 생각이 났어요.
데이터 파티션이 자동 마운트 되도록 하기 위해 fstab을 건드리는 게 초보인 저에게는 불안하기만 하더라구요.
터미널에 쓰는 건 항상 겁이 나서요.ㅋㅋ
그래서 저는 storage device manager(pysdm)를 사용해서 정리했습니다.ㅎㅎ
필요하면 http://deviantcj.tistory.com/368 참고하시면 되고요.
개발이 중지되어서 그런지 저장소에서 설치 안 되더라고요.
패키지 파일은 그냥 검색하면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파티션 자동 마운트 시키는 거라면 굳이 fstab을 건드릴 필요없습니다.
디스크 치면 나오는 애... (gnome-disks)
원하는 파티션 마운트 옵션 편집에서 시동시 자동 마운트 한번 체크해 주면 됩니다.
쉬워요.
남아요.
번호 | 제목 | 추천 수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2 | 1 | Kevin | 2019.11.18 | 197561 |
236 |
[질문] 내부네트워크 공유폴더 접근이 안되어요.
1 ![]() |
0 | 그램마 | 2015.04.21 | 12410 |
235 | 비씨카드 로그인 팁 1 | 0 | Ohnine | 2015.04.20 | 11616 |
234 | 기업은행 쓰시는 분??? | 0 | Ohnine | 2015.04.20 | 11699 |
233 | 하모니카 RTM, RC2 차이가 뭔가요? 4 | 0 | acrix | 2015.04.19 | 13199 |
232 | RTM 기다리다가 그냥 RC2 깔아봤습니다 2 | 0 | ecotus | 2015.04.18 | 11577 |
231 | 노트북 키보드 인식문제 해결했습니다. 1 | 0 | 룰루랄라 | 2015.04.13 | 14166 |
230 | LG 노트북 키보드 인식이 어렵네요ㅜㅠ 4 | 0 | 룰루랄라 | 2015.04.10 | 13197 |
229 | RTMㅜㅠ 1 | 0 | 룰루랄라 | 2015.04.09 | 10596 |
228 | [기사] 한컴, 클라우드 오피스 '넷피스 24' 출시 | 0 | 맨솔라이트 | 2015.04.07 | 11938 |
227 | 국내 리눅스 이용자는 -_- 3 | 0 | Ohnine | 2015.04.06 | 11750 |
226 | 가장 중요한 패키지는 완성도 높은 오피스 프로그램 2 | 0 | Levinas0 | 2015.04.06 | 12211 |
225 | RTM 언제 나오나요? 3 | 0 | 룰루랄라 | 2015.04.06 | 10939 |
224 |
xcompmgr 없이도 투명하게 됩니다.
2 ![]() |
0 | bagjunggyu | 2015.04.05 | 11968 |
223 |
Paper 테마와 멋진 배경 화면들과 플랭크 테마 입니다
![]() |
0 | bagjunggyu | 2015.04.02 | 15055 |
222 |
Geary 0.10 , e-mail 클라이언트 입니다
![]() |
0 | bagjunggyu | 2015.04.02 | 12350 |
221 |
일본 모에분투 리눅스 -.-
5 ![]() |
0 | 온라인 | 2015.04.01 | 15095 |
220 | 듀얼 모니터 배치 문제 5 | 0 | 이렐린 | 2015.03.30 | 15882 |
» | 설치관련 질문있습니다. 6 | 0 | Henry | 2015.03.27 | 11261 |
218 | 하모니카 사용 4일째 익숙하질 않네요 7 | 0 | 여유파더 | 2015.03.25 | 13047 |
217 | kazam과 xcompmgr 관련 3 | 0 | onting | 2015.03.22 | 10498 |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반갑습니다 ^_^
C: 에 윈도가 D: 에 Data 가 되어 있으신가요?
1) 듀얼 부팅을 하시게 되면
윈도가 설치된 C: 에 리눅스가 일정 파티션을 차지 하면서 듀얼 뷰팅을 하게됩니다.
리눅스가 차지하게 될 공간은 설치과정 중에 사용자가 정할 수 있습니다.
설치 과정은 이글을 참고하시구요
http://hamonikr.org/index.php?mid=board_manual&document_srl=4001
D: 파티션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추천 하는 방법)
한국에 사시나요?
그러시다면 은행 거래등과 백업OS 로의 기능을 위해서
C: 윈도 파티션을 30GB 정도로 남기시고 나머지 공간을 모두 리눅스 파티션으로 이용하시길 권해 드리구요
D: 드라이브가 예상처럼 Data 파티션이면 언제든지 파일 브라우저로 연결(마운트 - mount) 해서 이용가능합니다.
리눅스는 fat16,fat32,ntfs 등의 윈도 파일 형식을 읽고 / 쓸 수 있으며
리눅스 전용은 ext4 시스템으로 만드시면 큰 용량의 파일 사용에도 좋습니다.
참고)
데이터 파티션이 별도의 파티션인 경우에는 시작하면서 파티션을 연결하지 않습니다.
별도로 이렇게 연결하시면 시작할때 data 파티션도 함께 연결 되게 할 수 있습니다.
아래글의 3번 내용입니다.
http://blog.daum.net/bagjunggyu/139
멋진 리눅스 라이프! 누리세요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