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667
어제:
3,046
전체:
3,948,850

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92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예전부터 삼성 R530노트북에 하모니카 깔아 어찌저찌 쓰려고 하고 있습니다.

HW probe 결과는 다음 링크에 있습니다. 대략 CPU T9300에 램 8G, 인텔 GM45칩셋 입니다.


https://linux-hardware.org/?probe=0a6d176f64

 

리브레 오피스로 특정 ppt 파일을 오픈하려고 하면, 대충 로드 다 되고 파일내용 첫 페이지 보일 때 쯤 해서 
GUI가 다 꺼지고 로그아웃이 되더군요. GPU가 quadro fx1600m인 다른 노트북이나,

virtual box 에서 하모니카 돌릴 때는 문제의 ppt파일 로딩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아마 인텔 GM45칩셋 내장그래픽 GMA X4500MHD에서만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var/log/syslog에 찾아보니 Xorg가 core dump났다는 로그가 있습니다. 다음과 같습니다.

 

2025-07-03T18:34:51.217226+09:00 ken-R530 systemd-coredump[4514]: Process 1433 (Xorg) of user 0 dumped core.

 

Module libgcc_s.so.1 from deb gcc-14-14.2.0-4ubuntu2~24.04.amd64

Module libstdc++.so.6 from deb gcc-14-14.2.0-4ubuntu2~24.04.amd64

Module libzstd.so.1 from deb libzstd-1.5.5+dfsg2-2build1.1.amd64

Module libsystemd.so.0 from deb systemd-255.4-1ubuntu8.8.amd64

Module libudev.so.1 from deb systemd-255.4-1ubuntu8.8.amd64

Stack trace of thread 1433:

#0  0x00007ba302c9eb2c __pthread_kill_implementation (libc.so.6 + 0x9eb2c)

#1  0x00007ba302c4527e __GI_raise (libc.so.6 + 0x4527e)

#2  0x00007ba302c288ff __GI_abort (libc.so.6 + 0x288ff)

#3  0x0000644beaf0ef9e OsAbort (Xorg + 0x1e4f9e)

#4  0x0000644beaf14ae7 n/a (Xorg + 0x1eaae7)

#5  0x0000644beaf15b67 FatalError (Xorg + 0x1ebb67)

#6  0x00007ba30258485a n/a (libglamoregl.so + 0xe85a)

#7  0x00007ba30258c115 n/a (libglamoregl.so + 0x16115)

#8  0x00007ba30258d316 n/a (libglamoregl.so + 0x17316)

#9  0x00007ba30258ebf9 n/a (libglamoregl.so + 0x18bf9)

#10 0x00007ba30258674f n/a (libglamoregl.so + 0x1074f)

#11 0x0000644beae75d77 n/a (Xorg + 0x14bd77)

#12 0x0000644beae69b77 n/a (Xorg + 0x13fb77)

#13 0x0000644bead8cac0 n/a (Xorg + 0x62ac0)

#14 0x0000644bead90eda n/a (Xorg + 0x66eda)

#15 0x00007ba302c2a1ca __libc_start_call_main (libc.so.6 + 0x2a1ca)

#16 0x00007ba302c2a28b __libc_start_main_impl (libc.so.6 + 0x2a28b)

#17 0x0000644bead79395 _start (Xorg + 0x4f395)

 
이거 말고 쓰레드 세개가 더 있었는데, 두개는 pthread_cont_wait()에서, 하나는 epoll()에서 대기중인 상태입니다.
대략 libglamoregl.so 내부에서 뭔가 죽은 듯 한데, 어떤 workaround가 혹시 없을까요?
  • profile
    ChatGPT 2025.07.04 14:00
    하모니카OS에서 인텔 GM45 칩셋을 사용하는 삼성 R530 노트북에 대한 Xorg 문제를 말씀하셨군요. GUI가 죽고 로그아웃되는 상황은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몇 가지 해결 방법을 제안드리겠습니다.

    ### 1. 드라이버 업데이트 또는 교체
    인텔 내장 그래픽의 드라이버와 관련하여, 하모니카OS나 Ubuntu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드라이버 외에도, 오픈소스 드라이버 또는 PPA를 활용해 수정된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명령어로 드라이버를 업데이트 해보세요:

    bash
    sudo apt update
    sudo apt upgrade


    이후, 인텔 드라이버를 설치해볼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방법은 [하모니카 매뉴얼 8.0](https://docs.hamonikr.org/hamonikr-8.0#graphics-drivers)에서 확인 부탁드립니다.

    ### 2. GLX 옵션 비활성화
    `libglamoregl.so`와 관련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면, GLX로 인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 GLX를 비활성화 하는 방법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etc/X11/xorg.conf` 파일을 열고 다음과 같은 줄을 추가하거나 수정하십시오:

    plaintext
    Section "Device"
    Identifier "Intel Graphics"
    Driver "intel"
    Option "AccelMethod" "none"
    EndSection


    변경 후, Xserver를 재시작하거나 시스템을 재부팅해 주세요.

    ### 3. Xorg 로그 확인
    에러 메시지 및 로그를 통해서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var/log/Xorg.0.log` 파일과 `/var/log/syslog`에 해당하는 모든 에러 메시지 혹은 경고를 검토해 어떤 에러가 발생했는지 확인해보세요. 문제가 되는 내용에 따라 적절한 대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4. 하드웨어 확인
    HW probe 결과는 하드웨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만약 하드웨어의 호환성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상황이라면, 더 구체적인 하드웨어 정보를 가져오면 좀 더 나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를 점검해볼 수도 있습니다.

    ### 다음 단계
    위의 방법을 시도해 보시고 여전히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Xorg의 전체 로그 또는 시스템 로그를 제공해 주시면 문제를 더 깊이 분석할 수 있습니다. 특히, `/var/log/Xorg.0.log`의 마지막 몇 줄이나, `dmesg` 명령어의 출력을 포함해주시면 매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답변은ChatGPT가 작성하였으며, 인공지능의 답변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 ?
    김경철 2025.07.04 15:17
    찾아보니 요즘 리눅스는 /etc/X11/xorg.conf.d에 설정 파일의 일부분씩을 넣어놓게 되어있는 듯 합니다.

    일단 /usr/share/doc/xserver-xorg-video-intel/xorg.conf 이 파일을 /etc/X11/xorg.conf.d 에 20-intel.conf 라는 이름으로 복사하고

    cp /usr/share/doc/xserver-xorg-video-intel/xorg.conf /etc/X11/xorg.conf.d/20-intel.conf

    파일 내용은 다음과 같은데
    Section "Device"
    Identifier "Intel"
    Driver "intel"
    # Option "AccelMethod" "uxa"
    EndSection

    여기 Option 줄 맨앞의 # 를 지워서, 코멘트로 막은것을 풀고 리부팅했습니다.

    구글링해보니 디폴트는 sna라고 하는데, 이건 이름부터가 Sandybridge's New Accelation 이다보니 아마도 T9300 CPU에서는 문제가 생기는 듯 합니다.
    uxa는 Unified Accelation Architecture라는데, 약간 느리고 안정적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바꾼 후 리부팅하니 문제생기던 ppt 파일 잘 읽히네요.
    화면은 좀 굼떠진 듯도 한데, 어차피 느린 기계라..
  • ?
    김경철 2025.07.04 16:06

    다시한번 살펴보니 intel 드라이버를 올리는것만으로 해결이 되는것 같습니다. AccelMethod가 sna일때도 일단 intel module이 올라오면 전체적으로 로딩하는 모듈들이 달라지네요.

    /var/log/Xorg.0.log 여기를 살펴보니, 처음 문제되던 상황에서
    grep LoadModule Xorg.0.log 하면
    [ 23.821] (II) LoadModule: "glx"
    [ 23.835] (II) LoadModule: "modesetting"
    [ 23.838] (II) LoadModule: "fbdev"
    [ 23.838] (II) LoadModule: "vesa"
    [ 23.856] (II) LoadModule: "fbdevhw"
    [ 23.857] (II) LoadModule: "glamoregl"
    [ 25.251] (II) LoadModule: "fb"
    [ 25.504] (II) LoadModule: "libinput"
    이렇게 여덟개 모듈이 로딩됩니다. 이중 glamoregl 모듈에서 문제가 생겼었구요.

    그런데 /etc/X11/xorg.conf.d/20-intel.conf 파일을 추가해서 인텔 모듈을 로드하게 하면(AccelMethod uxa)
    [ 24.226] (II) LoadModule: "glx"
    [ 24.239] (II) LoadModule: "intel"
    [ 25.167] (II) LoadModule: "fb"
    [ 25.167] (II) LoadModule: "dri2"
    [ 25.824] (II) LoadModule: "libinput"
    다섯개 모듈만 로딩합니다.

    AccelMethod를 sna로 바꾸고 나서 보면
    [ 22.277] (II) LoadModule: "glx"
    [ 22.289] (II) LoadModule: "intel"
    [ 22.308] (II) LoadModule: "dri3"
    [ 22.308] (II) LoadModule: "dri2"
    [ 22.308] (II) LoadModule: "present"
    [ 22.882] (II) LoadModule: "libinput"
    여섯개의 모듈을 로드하네요. 어찌되었던 문제가 되던 glamoregl 모듈은 로딩하지 않고, uxa모드 보다는 sna모드가 좀 더 빠르다고 하니 이렇게 사용하는것이 제일 좋을듯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2 1 Kevin 2019.11.18 318315
2658 윈도우에서 파이어폭스 사용할 때만 하모니카 게시판이 영문으로 나옵니다. 1 0 한개교 2025.07.05 86
2657 리브레오피스 라이터 폰트 관련 질문입니다~^^; 5 0 한개교 2025.07.05 95
» 삼성 R530 노트북에서 Xorg가 가끔 죽는 문제 관련. 3 0 김경철 2025.07.04 92
2655 일부 와이파이7 칩셋 인식 불가 문제 관련 3 0 HJOW 2025.07.03 88
2654 grub 설정 관련해서 /etc/default/grub 이거 외 다른 설정 파일도 있을까요??? 2 0 기즈모 2025.07.01 106
2653 grub 부팅메뉴를 안보이게 하고 싶습니다...ㅠㅠ 4 file 0 기즈모 2025.06.30 97
2652 윈도우의 음성입력 기능 처름 하모니카에서도 음성입력이 가능할까요? 2 0 옥포정 2025.06.25 116
2651 우분투에서 유선 마우스가 말썽입니다. 5 0 블랙커피 2025.06.25 128
2650 군부대 사이버 지식 정보방 메가스터디 강의 재생 1 0 군수생. 2025.06.22 236
2649 갤럭시북4 비디오 문제 2 file 0 killsystem10 2025.06.21 161
2648 데비안/우분투 계열의 공통 문제인 efi파티션을 명시해도 처음 설치된 efi로 타겟을 강제 고정하는 문제 2 0 마원 2025.06.20 152
2647 sudo apt update / install 후 스피커 인식이 안됩니다. 5 file 0 context 2025.06.16 166
2646 [메신저] 카카오톡 설치 후 실행 안되시는 분 이렇게 해보세요 1 0 새벽별빛 2025.06.14 169
2645 [게임] 베틀넷 설치 오류 나시는 분 이렇게 해보세요 1 file 0 새벽별빛 2025.06.14 154
2644 카카오톡 입력 관련 질문입니다~ 4 0 한개교 2025.06.12 203
2643 배틀넷, 리그오브레전드 작동하나요? 2 0 하얀귀공자 2025.06.10 357
2642 Guake 설치후 뭔가 꼬인거 같은데... 5 file 0 기즈모 2025.06.04 408
2641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 업데이트 중에 에러가 발생합니다. 4 0 한개교 2025.06.03 344
2640 MS Teams 한글 입력 문제 문의... 2 file 0 기즈모 2025.05.29 427
2639 2638 번 문제로 재설치 했는데 문제(?) 오류(?) 비스 무리한거 같아서 질문 드립니다... 2 file 0 기즈모 2025.05.29 43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3 Next
/ 133
CLOSE